- CCTV 환경에서 비정상/안전위협 행동패턴 인식 기술
본 기술은 CCTV 영상에서 사람을 검출/추적하고 이동궤적 및 행동 패턴 들을 분석하여 비정상적 경로 및 배회 인식, 실신, 무단투기 및 군집이상 행동 등을 인식하는 기술임. 본 기술은 지능형 CCTV 감시 서비스 분야에 활용 가능함
- 년도2013
- 담당자휴먼인식기술연구실 | 김건우 (042-860-5427)
- 패킷 필터 기반의 산업용 방화벽 기술
본 기술은 제어시스템 인트라넷 부정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통신통로에 위치하여 네트워크의 트래픽 검사를 통해 비인가 시스템/서비스 접근을 제어하는 기술임. 본 기술은 전력, 가스, 오일 등의 국가 주요기반시설을 겨냥한 멀웨어 서비스거부 공격, 비인가 시스템/서비스 등으로부터 가용성 보장에 활용 가능함
- 년도2013
- 담당자제어시스템보안연구실 | 김병구 (042-860-4888)
- 휴대형 무선랜 취약성 분석 도구
본 기술은 노트북 등의 휴대형 장치에 장착하여 보안 분석대상이 되는 무선네트워크상에서, 무선랜 AP 및 단말간의 모든 채널을 감시하여 프레임을 수집하고 이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채널상태, 패킷 종류, 암복호 통신방식 등에 대한 다양한 그래프로 제공함은 물론 단말과 AP간의연결 정보를 사용자가 분석이 용이하도록 하는 GUI를 제공함. 이것을 활용하여, 분석화면에서 직접 모의공격을 실행함으로써 현재 무선망의 안전성 유무를 판단해 볼 수 있음
- 년도2013
- 담당자ICT융합보안연구실 | 김신효 (042-860-5485)
- CMOS 레이더 (근거리, 고해상도) - 감시정찰, 바이오 응용
UWB 방식의 CMOS IBR(Impulse Biometric Radar)은 표적의 위치 및 자세, 호흡 등의 생체적 특성을 탐지하는 감시정찰 레이더 센서의 핵심 기술로서 감시 정찰 및 인명 구조 등의 업무에서 사람/동물 등을 탐지 및 식별할 수 있는 기술임. 정확한 거리 및 위치 측정이 가능한 높은 해상도를 제공하므로 민수용 응용분야가 다양함
- 년도2013
- 담당자RF/Analog SoC 연구실 | 박필재 (042-860-1372)
- 저전력 임베디드 CPU 기술
본 기술은 저전력 임베디드 CPU에 관한 기술로서 높은 에너지 효율성을 갖는 저전력·고성능 모바일멀티프로세서 기술과 병렬 컴파일러, 임베디드 OS, 온칩디버거 등의 통합 개발환경을 제공함. 본 기술은 스마트폰, TabletPC, 차세대 모바일 컴퓨팅 단말, 자동차용 AV 등에 이르는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함
- 년도2013
- 담당자멀티미디어프로세서연구실 | 변경진 (042-860-5831)
- 조명기구를 이용한 에너지하베스팅 기술
본 기술은 조명기구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 간섭 신호로부터 전력을 얻는 기술로, 조명기구 구동 시 발생하는 전도성 및 방사성 전자기파 간섭 신호를 취득하여, 이로부터 부하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을 생성하는 기술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전원 공급 장치로 활용이 가능한 기술이다.
- 년도2013
- 담당자휴먼인터페이스SoC연구팀 | 박경환 (042-860-6121)
- ETRI 데이터 배포 서비스 기술 2012
본 기술은 많은 수의 통신 개체들이 상호 밀접하게 연동되어 대규모의 분산 응용을 구성할 경우 이들 간에 고신뢰의 효율적인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Data Distribution Service(DDS) 기반 데이터 중심 통신 미들웨어 기술에 관한 것임
- 년도2013
- 담당자CPS연구실 | 이수형 (042-860-1261)
- Pre Association Message 기반 로컬 푸쉬 전송 기술
최근 모바일 시장이 커짐에 따라 근접기반 모바일 서비스 요구 증가 하고, 인프라 망의 용량 부족 현상이 나타남. 이에 따라 모바일 사용자 또는 소규모 상인이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고, 통신 인프라 없이도 주변 기기로 광고 가능한 로컬 푸쉬 전송 기술을 개발함
- 년도2013
- 담당자CPS연구실 | 이수형 (042-860-1261)
- 듀얼os관리기술(qplus-hyper)
본 기술은 하나의 시스템에 두 개 이상의 운영체제를 동작시키는 기술로 자동차의 전자장치에 적용되어 동일한 기능을 더 적은 개수의 ECU 혹은 AP로 구현 가능토록 함
- 년도2013
- 담당자차세대OS연구실 | 김태호 (042-860-1099)
- 모바일 단말용 PAM(Pre-Association Message) 기반 로컬 푸쉬 기술
본 기술은 근접 모바일 서비스 요구 증가로 디바이스 밀집도가 높고 잦은 이동환경에서 디바이스 간 접속의 불편함 개선 필요 대두됨. 따라서 모바일 사용자 또는 소규모 상인은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고, 통신 인프라 없이도 주변 기기로 광고 가능한 기술임.
- 년도2013
- 담당자모바일서비스플랫폼연구실 | 이경희 (042-860-4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