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 contents

INTRO

Vol.224

표준,
모두를 위한 약속

표준은 일종의 규칙으로, 일상의 모든 것과 연관되어 있다.
우리가 먹는 음식은 식품 표준에 맞춰 제조·가공된 것이다.
음식을 담는 용기도 모두 표준에 맞춰 제작되었다.
원과 같은 화폐 단위와, 센티미터(cm)나 킬로그램(kg)과 같은 길이·무게 단위도 표준이다.

표준이란

국제표준화기구인 ISO는 표준을 ‘공통적이고 반복적인 사용을 위해 제시된 규칙이나 지침’ 또는 ‘제품의 특성, 관련 공정, 생산 방법을 규정한 합의된 문서’라고 정의한다. 즉, 표준은 사회 구성원들이 합의한 공통 규격으로, 여러 분야에서 작업 능률을 증진하고 경제성을 향상하고자 마련된 것이다.

표준은 정보통신산업에서도 필요하다. 정보통신산업에서의 표준 제정은 장치 간 데이터를 원활히 주고받기 위한 규약인 프로토콜을 마련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보통신표준은 기존 산업의 표준과는 다르다. 기존 산업과 달리 정보통신산업은 여러 산업이 융·복합되어 있어, 표준화로 기술을 선도하거나 시장을 지배할 가능성이 높다.

일회용 비밀번호(OTP: One Time Password) 자동생성 단말기는 정보통신표준화의 대표 사례다. 이는 금융사에서 안전한 전자거래를 위해 제공하는 것으로, 2007년 시작되어 국내 다수 금융사가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다. 해당 서비스에는 ‘일회용 패스워드 OTP 통합인증서비스 프레임워크’라는 표준이 적용됐다. 이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표준으로 제정되어 있어 국외 금융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다. 실제로 해당 표준은 싱가포르에서도 금융·공공 서비스에 활용 중이다.

정보통신표준만의 특성

호환성의 대표 예시: PDF는 어도비에서 개발한 문서 양식이다. 다양한 회사의 프로그램으로 편집/공유할 수 있다.

정보통신표준의 특성은 ▲상호운용성과 호환성 ▲네트워크효과 ▲고착효과 ▲쏠림현상으로 나뉜다. 상호운용성은 다른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를 받거나 반대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뜻한다. 스마트 스피커를 통해 집 안의 다양한 기기를 다룰 수 있는 것이 그 예다. 호환성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환경이 달라도 동등한 서비스가 이뤄지는 것이다. 일례로 어도비(Adobe)에서 개발한 PDF는 현재 다양한 장치와 소프트웨어에서 통용된다. 이 덕분에 사용자는 호환성을 걱정하지 않고 여러 방법으로 문서를 편집·공유할 수 있다.

네트워크효과는 특정 제품에 대한 수요가 다른 제품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특정 제품의 소비자가 늘어날수록 그들이 더 많은 효용을 얻는 효과다. 대표적인 예로 인터넷 통신 규칙인 인터넷 프로토콜(IP)이 있다. 많은 장치들이 IP를 표준으로 채택하면서 점점 더 많은 장치가 통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인터넷은 폭발적으로 성장했고, 다양한 서비스가 탄생하게 되었다.

고착효과는 생산자·소비자가 서비스·기술을 전환할 때 발생하는 비용 때문에 기존에 사용 중이던 서비스·기술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표준을 선점하는 기업이 경쟁 기업의 시장진입을 어렵게 만들어, 표준을 전환하기 어렵게 할 때 발생한다. 스마트폰 운영체제 시장에서도 고착효과가 존재한다. 현재 모바일 운영 체제 시장의 99 %는 구글의 안드로이드(Android)와 애플의 iOS가 점유하고 있다. 이에 이해관계자들이 윈도우즈 모바일(Windows mobile)이나 블랙베리 OS(Blackberry OS)와 같은 운영체제에 투자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이들은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어렵다.

쏠림현상은 특정 기술이나 제품이 네트워크효과에 의해 시장을 지배하는 현상이다. 이를 설명하는 예시로는 블루투스가 있다. 블루투스는 가까운 장치끼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표준 기술이다. 블루투스 개발 초기에는 기기 간 호환성 문제나 보안 문제와 같은 단점이 부각됐다. 그러나 많은 장치가 이를 표준으로 채택하면서 단점보다도 사용 편의성이 압도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그 결과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서 사실상 표준이 됐다.

표준의 종류와 중요성

정보통신표준에는 네트워크 기반으로 한 정보통신산업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

표준은 표준을 제정한 주체에 따라 국제표준·지역표준·국가표준·단체표준으로 나눈다. 국제표준은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채택하는 표준이다. 대표적인 표준화기구로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가 있다. 지역표준은 지역을 기반으로 다수 국가가 참가하는 지역표준화기구에서 제정하는 표준이다. 지역표준화기구에는 아시아·태평양 전기통신협의체(APT) 등이 있다. 마찬가지로 국가표준은 우리나라의 국립전파연구원, 국가기술표준원 등 국가표준화기구에서 설정하는 표준이다.

표준은 성격에 따라 공식표준과 사실표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공식표준은 국제지역·국가표준화기구에서 제정한 것으로 가장 공신력 있는 표준이다. 표준화기구 회원국 모두가 의사 결정 권한을 갖고, 대다수의 합의가 있어야 표준이 제정된다. 반면 사실표준은 국가 개념 없이 시장 내 이해관계자들이 모여 제정하는 표준이다. 대표적인 사실표준화기구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이동통신 규격을 만드는 곳으로 미국, 유럽의 통신 사업자들이 가입되어 있다. 이들이 만든 표준은 시장에서 지배적인 위치에 있는 기업들이 제정한 표준이기 때문에 사실상의 표준으로 취급된다.

이렇듯 정보통신표준에는 네트워크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한 정보통신산업만의 특징이 반영됐다. 때문에 ‘표준 제정’에도 남다른 의미가 있다. 정보통신산업에서 표준을 획득하는 것은 표준과 얽힌 경제 시장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갖는 것과 같다. 따라서 여러 국가에서 신기술을 개발하는 것만큼 표준 선점을 중요하게 여긴다. 이제 표준은 단체·국가의 힘을 공고히 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에서는 정보통신표준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을까? 궁금하다면 한번 즈음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는 것도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