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콘텐츠 바로가기

ETRI Webzine

VOL.143
December 2019

Special — 사회문제 해결을 넘어 인류 삶의 질을 높이는 SW 기술

사회문제 해결을 넘어
인류 삶의 질을 높이는
SW 기술

최근 사회문제의 근원적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 사업’, ‘과학기술 기반 사회문제 해결 종합실천계획’, 산업통상자원부의 ‘따뜻한 R&D 중장기 전략’ 등이 추진되었다. 이는 그동안 선진국 추격을 위해 경제성장의 도구로 가능했던 기술이 국민을 위한 과학기술로 변화하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국민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SW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페이스북 공유하기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카카오톡 공유하기

경제성장을 넘어 사회문제 해결하는 ICT

최근 미세먼지, 유해물질, 환경오염, 지진 및 신종 감염병 등 각종 자연 및 사회문제가 국민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 2015년 메르스, 2016년 지카 바이러스와 경주지진, 2017년 포항 지진과 연중 상존하고 있는 미세먼지와 조류 인플루엔자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러한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과학기술의 역할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증대함에 따라 과학기술 혁신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정책이 부상하고 있다. 이는 그동안 선진국 추격을 위해 과학기술이 맡아왔던 경제성장의 역할기능이 이젠 국민의 생활을 위한, 사회와 함께 하는 과학기술로 변화하는 것이다. 사회문제 해결 R&D에 대한 개념은 국민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문제를 사회문제로 정의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R&D 및 이의 적용과 확산을 위한 제반 활동으로는 먼저 초연결 기반의 지능화 혁명인 제4차 산업혁명은 D(Data)·N(Network)·A(Artificial Intelligence)라 정의할수 있다. 최근 ICT 기반의 지능화 기술은 경제·사회 전 분야의 기반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혁명적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지능화 기술기반 혁신으로 국가적 난제의 해결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경제성장을 넘어 사회문제 해결에 이르는 ICT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 것이다. 이에 미국, 일본, 독일 등은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 ICT를 다양한 분야에 활용한 기술혁신을 지속적으로 강화하여 국가 현안을 해결하고,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을 하고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해 전 산업·사회의 지능화 혁신을 통한 경제성장과 삶의 질 향상을 동시에 달성하고자 ‘사람 중심 경제’의 실현에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바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선제적 대응을 위해 ICT 혁신 역량을 강화하고,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등 신성장 기회를 창출하고자 하는 노력 등이 이에 해당할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1월, ‘I-KOREA 4.0 : ICT R&D 혁신전략’을 수립, 발표했다. 또 핵심 전략과제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ICT R&D 역할을 확대하는 계획도 제시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선제적 대응을 위해 ICT 기술혁신 역량을 강화하고,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ETRI

사회문제 해결형 ICT R&D에 적극 대응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부터 사회문제 해결형 ICT R&D 신규투자를 본격화하여 사회이슈 및 공공문제 해결을 위한 R&D에 총 514억 원 규모를 편성, 지원했다. 또한, 올해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사회문제 해결형 ICT R&D에 신규로 예산을 투자하여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지상전술체계 등 국방 분야부터 범죄예측 및 방지, 디지털 성범죄 피해 예방 등 안전분야에 편성을 늘려 사회문제를 해결하려는데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또 긴급구조용 지능형 정밀 측위, 소방훈련 콘텐츠 개발, 국가기간망 사이버 공격 대응 등 사회이슈 및 공공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중심 과제를 기획하여 지원했다.

또한, ICT 전문기관인 ETRI도 인공지능 기술로 국가지능화 기반을 마련하고, 공공·국민 생활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있다. 특히 ETRI의 지능화융합연구소는 국민 생활문제 해결에 앞장서 노력하는 연구 조직으로, ‘국가지능화 종합연구기관’을 표방하는 ETRI 비전에 발맞춰 인공지능 기술을 바탕으로 주력분야의 산업을 지능화하여 국민 삶의 질을 개선하고자 노력중이다.

특히 ETRI는 국민 체감도가 높으며, 향후 기술발전에 따른 중요성이 강조되는 ‘정보보호 분야’를 주요 선결과제로 보고 있다. 소프트웨어(SW)로 활용 가능한 보안기술을 개발해 중소기업과 국민이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연구진의 목표다. 또한, 각 연구단을 통해 제조업, 산업 안전, 국방, 도시교통,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응하는 인공지능 기반 솔루션 개발을 모색하고 있다.

ETRI가 주최한 ‘교통혼잡 문제해결을 위한 지능형 SW 포럼’ 현장 모습

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SW 기술개발의 길

일례로 드론 배송을 활용해 택배 업무 가중을 줄이는 기술, 소방대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위치확인 기술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미 부서별로 많은 아이디어를 도출해냈으며, 현재 구체화하는 과정에 있다. 또한, 최근 연구진은 교통 정책을 미리 검증해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SW)를 개발한 바 있다. 데이터만 입력하면, 어느 도시든 클라우드로 분석할 수 있어 사전 도시교통 정책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연구진은 본 기술의 이름을 클라우드 기반 교통혼잡 예측 시뮬레이션 기술 ‘솔트(SALT)’라고 명명했다. 연구진은 서울시와 경찰청, SK텔레콤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제공 받아 지역 도로망과 신호체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었다. 여기에 실측 교통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 수요까지 추정해 분석기술을 만들었다. 그 결과 연구진은 서울 강남의 24시간 교통 흐름을 5분 안에 시뮬레이션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기존에 이동량을 측정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 ‘수모(SUMO)’보다 18배 빠른 성능이다.

연구진이 개발한 교통 시뮬레이션 기술은 인공지능 기계학습이나 딥러닝이 할 수 없는 교통환경 분석도 가능하다. 즉, 신호체계 변경, 새로운 다리 건설 등 변수가 나타나면 기계학습, 딥 러닝 방식은 매번 새로운 모델을 생성해 적용해야 하지만, 연구진이 개발한 모델은 매번 다른 입력값이 제공되어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이번 개발된 인공지능을 이용한 도로, 기상, 축제나 행사 정보를 종합한 예측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가령 송파동 주민센터 앞에서 도로 공사가 시작되거나 예정된 대형 스포츠 행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효과를 ‘솔트’는 통계값과 시각 자료로 예측, 분석 값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기술은 교통 정책의 사전 검증뿐만 아니라 불법주차 탐지, 상습 정체구간 파악, 기상 영향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전망이다.

이런 사회적·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국은 해외 시장 개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한편, 지속적인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디지털 기반의 신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신성장동력 산업육성에 정책을 집중하고 있다. 이런 사항을 고려하여 대한민국도 ICT R&D를 추진함에 있어 국가의 경제·사회적 난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접근하는 R&D 체계로 또 다른 혁명의 파고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