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ETRI 보도자료] ETRI, 사람처럼 스스로 배우는 AI...이제는 수면 상담까지_250610_F.hwp

닫기

Embargo

-

배포일자 : 2025.06.12.(목)

배포번호 : 2025-46호

인공지능창의연구소

지능정보연구본부장

권오욱(042-860-6513)

E-mail : ohwoog@etri.re.kr

지능정보연구본부

복합지능연구실장

송화전(042-860-5836)

E-mail : songhj@etri.re.kr

복합지능연구실

책임연구원

김현우(042-860-6143)

E-mail : kimhw@etri.re.kr

대외협력부

홍보실장

정길호(042-860-0670)

E-mail : khchong@etri.re.kr

홍보실

행정원

이서진(042-860-0635)

E-mail : seojin@etri.re.kr

매수 : 보도자료 3매(참고자료 1매, 사진자료 7매)

배포처 : ETRI 홍보실

ETRI, 사람처럼 스스로 배우는 AI...이제는 수면 상담까지

- 스스로 지식 축적하고 진화하는 자율성장형 수면상담 AI개발

- 자율성장형인간이해형 AI 협력 구조...개인 맞춤 수면 관리 가능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사람의 개입 없이 스스로 지식을 쌓고 진화하자율성장형 수면상담 AI 에이전트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이번 기술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수면 정보를 AI가 스스로 습득하고, 개인의 상태와 반응에 따라 상담 방식을 진화시키는 똑똑한 AI 상담 시스템이라고 설명했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수면 부족 상태를 인식하고, 맞춤형 해결책을 제안하며,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개개인의 특성과 선호를 학습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ETRI가 개발한 이번 기술의 핵심은 두 종류의 인공지능이 역할을 분담하여 협력하는 이중 AI 구조에 있다. 하나는 상황을 추론하고 판단하는 자율성장형 AI이며, 다른 하나는 사람의 상태와 의도를 이해하고 적절히 대응하는 인간 이해형 AI이다.

이 두 AI는 역할을 분담하여 협력하면서 기존 지식뿐 아니라 새로운 경험을 통해 얻은 정보까지 학습해 상담 수준을 점점 고도화해 나간다. 특히, 기존에 학습된 데이터가 없어도 새로운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제로샷 러닝(Zero-shot Learning) 방식이 적용돼, 예상치 못한 질문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ETRI 연구진은 실제 사용 환경에서의 기술 검증을 위해 다수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수면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문 상담사의 상담 내용을 분석해 고품질 AI 학습 데이터를 구축했다.

상담을 통해 생성된 정보는 지식 그래프 형태로 축적되며, 사용자 수가 증가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상담의 정밀도와 개인화 수준이 높아진다. 이는 마치 사람처럼 지식을 기억하고 스스로 진화하는 수면 AI라 할 수 있다.

또한, 수면 패턴, 활동량, 대화 이력, 설문 결과 등 다양한 정보를 통합해 새로운 지식으로 전환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담 내용을 지속적으로 진화시킨다. 이러한 정보 처리 과정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반의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통해 구현된다.

해당 기술은 단순한 수면 상담을 넘어, 수면 질환자뿐 아니라 정서적 위로가 필요한 사용자에게도 맞춤형 상담이 가능하며, 향후 스마트워치나 가전제품 등과 연동해 실시간 케어 서비스로도 확장될 수 있다.

기존 인공지능이 정해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답변을 제공하는 수동형 AI였다면, 이번 기술은 인간처럼 스스로 사고하고 학습하며 진화하는 능동형 AI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ETRI 송화전 복합지능연구실장은 이번 기술은 단순한 수면 상담에 그치지 않고, 디지털 헬스케어, 지능형 홈 서비스, 고령자 돌봄 등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AI가 사람처럼 상호작용하며 지식을 축적하고 확장해 나가는 진정한 의미의 진화형 인공지능기술이다고 밝혔다.

ETRI는 이번 수면 상담 기술을 시작으로 향후 식습관, 운동, 감정관리 등 다양한 삶의 영역으로 자율성장형 AI의 활용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누구나 일상에서 AI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지능화 사회 구현에 앞장설 방침이다.

이번 기술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자율성장형 복합인공지능 원천기술 연구과제의 일환으로 개발됐으며, 현재까지 SCI급 논문 12편, 국내외 특허 46건을 출원 등 기술적 성과도 이미 입증되었다. <보도자료 본문 끝>

용어설명

1) 자율성장형 AI (Self-Improving AI) : 외부 개입 없이 환경과 상호작용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고 지식을 확장하는 형태의 인공지능.

2) 제로샷 러닝 (Zero-shot Learning) : 학습되지 않은 새로운 문제를 기존에 학습한 지식을 기반으로 해결하는 인공지능 학습 방식.

3) 지식 그래프 (Knowledge Graph) : 개념과 개체 간의 관계를 연결 지어 구성한 그래프 구조로, AI가 지식 간 연결성과 의미를 파악하고 추론할 수 있게 해준다.

4) RAG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 외부에서 정보를 검색해오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텍스트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생성 모델의 정확성과 정보력을 높여주는 구조.

5) 이중 AI 협업 (Dual-AI Collaboration) : 상황을 스스로 판단하고 학습하는 자율성장형 AI와, 인간의 상태와 의도를 이해해 적절히 반응하는 인간 이해형 AI가 협력하는 통합형 AI 시스템.

참고

자율성장형 수면상담 AI 에이전트 기술 개요도

[자율성장형 수면 상담 에이전트 기술 개념도]

[자율성장형 수면 상담 에이전트 SW 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