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보도자료] ETRI, 메타버스 국제표준 주도권 확보_240705_F.hwp
Embargo |
없음 |
|
||||
배포일자 : 2024.7.9.(화) |
배포번호 : 2024-43호 |
|||||
문의 |
ICT전략연구소 |
표준연구본부장 |
이승윤(042-860-5508) |
E-mail : syl@etri.re.kr |
||
표준연구본부 |
지능정보표준연구실장 |
이원석(042-860-6104) |
E-mail : wonsuk.lee@etri.re.kr |
|||
지능정보표준연구실 |
책임연구원 |
강신각(042-860-6117) |
E-mail : sgkang@etri.re.kr |
|||
대외협력부 |
홍보실장 |
정길호(042-860-0670) |
E-mail : khchong@etri.re.kr |
|||
홍보실 |
행정원 |
이서진(042-860-0635) |
E-mail : seojin@etri.re.kr |
|||
매수 : 보도자료 3매(참고자료 1매, 사진자료 8매) |
배포처 : ETRI 홍보실 |
ETRI, 메타버스 국제표준 주도권 확보
- 메타버스 국제표준 문서 52건 개발 주도...글로벌 영향력 확대
- 메타버스 핵심 6개 표준문서 주도적 개발...플랫폼 연동 기반 마련
국내 연구진이 참여해 주도해 온 국제연합(UN) 산하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메타버스 포커스그룹(Focus Group) 활동이 총 52건의 사전국제표준 승인이라는 성과를 내고 성공적으로 종료되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난달 12일부터 이틀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제7차 메타버스 포커스그룹(FG-MV) 회의에서 의장인 ETRI 강신각 박사 주재로 21건의 사전표준문서(Deliverable)를 승인, 향후 메타버스 시장에서 큰 교두보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ETRI는 지난 1년 6개월에 걸친 메타버스 포커스그룹 의장 활동을 통해 총 52건의 사전표준문서가 최종 승인되는 결과를 도출했다. 이는 다른 포커스그룹 활동과 비교해 볼 때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성과이다. ITU는 매우 짧은 FG-MV 활동 기간을 고려하여 더욱 놀라운 성과로 평가했다.
ETRI는 ▲메타버스 개요 ▲플랫폼 상호운용성 ▲디지털트윈 기반 가상-현실 세계 통합 등에 관한 6개의 표준문서를 주도적으로 개발했다. 아울러 ▲메타버스 정의 및 용어집 ▲플랫폼 간 사물 식별정보 상호운용성 ▲신뢰할 수 있는 메타버스 등 4개의 표준문서를 국내・외 기관과 공동으로 개발하는 등 총 10건의 표준문서를 개발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이로써 우리나라의 기술이 미래 메타버스 시장을 선점하는 데 크게 미칠 영향과 향후 우리 연구진의 역할이 기대된다. 특별히 전 세계 메타버스 산업계와 이용자의 최대 관심사인 플랫폼 및 서비스의 상호운용성 기반을 세계 최초로 마련했다는 점에서 미래 메타버스 산업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ITU는 FG-MV의 제안을 바탕으로 지난달 14일 제네바에서 UN의 18개 기관이 참여하는 제1차 UN 가상 세계의 날(UN Virtual Worlds Day)을 열었다. UN 산하 주요 국제기구 등에서 350명 이상이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해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미래 세상 구현을 추진키로 했다.
메타버스 포커스그룹(FG-MV)은 한국(ETRI)이 주도적으로 제안해 지난 2022년 12월 ITU-T 전기통신자문그룹(TSAG) 회의에서 참여한 국가 대표 및 산업체 회원 기관의 만장일치로 설립됐다. ETRI 강신각 박사가 의장으로 단독으로 추천되어 선출된 바 있다.
또한, 전 세계 주요 지역 간 균형을 고려해 정부, 산업계, 학계, 국제기구 등에서 11명의 전문가가 부의장으로 선임되었다. 기술 분야별로 총 9개의 작업반(WG, Working Group)과 주요 세부 주제에 대한 20개의 타스크그룹(TG, Task Group)이 구성, 운영되었다. 이렇듯 FG-MV에는 500명 이상의 전문가가 참여하여 메타버스에 대한 사전 표준화 연구활동을 수행했다.
FG-MV는 사우디아라비아, 중국, 멕시코, 스위스에서 전체 회의를 총 7회 개최했고, 총 155회의 전문가 회의에서 1,156건의 기고서 검토를 통해 60여 개 표준개발 과제에 대한 표준문서 개발 작업을 수행했다.
FG-MV 활동과 연계, 메타버스에 대한 이용자 및 전문가의 참여와 표준화 활동 촉진을 위해 ITU 메타버스 포럼도 총 5회 열렸다. 온라인 방송 플랫폼에 17,000명 이상이 참여하는 사상 최대의 기록을 세우는 등 여러 가지 지표에서 기록을 경신하면서 획기적인 성과를 창출하여 활동 기간 내내 많은 주목을 받았다.
ETRI 방승찬 원장은 “메타버스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을 크게 진보시켜 이용자 및 산업과 사회 전반에 큰 변혁을 가져올 미래의 플랫폼 및 서비스 기술로 여겨지고 있다”고 말했다.
ETRI는 연구진 주도로 ITU의 메타버스 국제표준화 연구 활동을 한 것은 미래 기술에 대한 영향력 확대 관점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으며, 연구원 기관운영계획의 목표 중 하나인 ‘세계적 연구기관 도약 및 국제선도’와도 부합한다고 밝혔다. 또한, 의장국으로서 우리나라가 관련 국제표준화 활동을 주도하면서 메타버스 표준화에 대한 대한민국의 영향력이 크게 제고된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콘텐츠과 이병진 과장도 “메타버스는 정부에서도 적극적으로 지원중인 디지털혁신기술의 하나로서 이번 메타버스 포커스그룹의 활동은 메타버스의 기술적 측면 뿐만 아니라 정책적 측면에서 중요한 안전성, 접근성, 포용성, 지속가능성 그리고 규제 및 경쟁 이슈까지 폭넓게 다루어 더욱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FG-MV의 성과는 오는 10월 개최되는 ITU-T 세계표준총회(WTSA-2024)를 거쳐 차기 연구회기(2025~2028)에 주요 연구반(Study Group)에서 본격 추진될 메타버스 표준개발 활동의 기반으로 활용된다. <보도자료 본문 끝>
용어설명 |
1) 포커스그룹(Focus Group)
- ITU-T 산하 연구반의 활동을 돕고, ITU 회원이 아닌 외부 전문가의 참여를 장려하여 신속히 해결해야 할 특정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한 조직
2) 메타버스 포커스그룹(FG-MV: ITU Focus Group on metaverse)
- ITU-T 메타버스 표준화 전담하는 포커스그룹
3) Deliverable(사전표준문서)
- 포커스그룹의 표준화 활동 결과로 산출되는 표준문서. ITU-T 연구반(SG)에 제공되어 후속 표준화 작업을 통해 ITU-T 공식표준문서로 채택되게 됨
4) ITU-T 전기통신표준화자문반(TSAG :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Advisory Group)
- ITU가 급변하는 정보통신표준화 환경과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1993년 설립한 자문그룹
5) ITU-T 세계표준총회(WTSA : World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Assembly)
- 4년마다 개최되는 ITU-T의 최상위 협의체로 ITU-T에서 수행되는 표준화 활동 방향 및 전략, 세부 연구반 구조, 의장단 선출, 차기 연구회기 표준화 추진계획 등을 승인
참고 |
ETRI 주도 개발 메타버스 핵심 6개 표준문서 목록 |
구분 |
내용 |
1 |
Overview of metaverse (메타버스 개요) |
- 메타버스 기본 개념, 생태계 모델, 주요 서비스 제공 참여사업자 전반적 설명 - 메타버스 특성, 주요 분야 활용 사례, 사용자 경험, 일관된 환경, 경제·환경·사회·문화적 가치 창출 분석 |
|
2 |
Service scenarios and high-level requirements for metaverse cross-platform interoperability (메타버스 플랫폼간 상호운용성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나리오 및 상위 요구사항) |
- 메타버스 크로스플랫폼 상호운용성을 위한 서비스 시나리오 및 상위 수준 요구사항 제공 - 메타버스 플랫폼 간 상호운용 환경 조성 필요성 제시 및 4가지 유형의 크로스플랫폼 상호운용성에 대한 서비스 시나리오와 요구사항 제공 |
|
3 |
High-level interoperability architecture for cross-platform metaverse (메타버스 플랫폼간 상호운용성 제공을 위한 상위 수준 구조) |
- 크로스플랫폼 메타버스를 위한 상위 수준 상호운용성 아키텍처 제공 - 메타버스 플랫폼 간 통합 및 협업을 위한 기능 아키텍처, 핵심 구성 요소, 상호작용 개요, 참조점 및 동작 절차 제공 |
|
4 |
Requirements for the metaverse based on digital twins enabling integration of virtual and physical worlds (디지털트윈 기반으로 가상 및 실제 세계를 연계하는 메타버스 요구사항) |
- 디지털 트윈 기반 가상 및 물리적 세계 통합을 위한 서비스 시나리오와 요구사항 제공 - 유스케이스와 서비스 시나리오 소개, 디지털 트윈, 메타버스, 시스템 상호작용 관련 요구사항 정의 |
|
5 |
Reference model for the metaverse based on a digital twin enabling integration of virtual and physical worlds (디지털트윈 기반으로 가상 및 실제 세계를 연계하기 위한 메타버스 참조모델) |
- 가상 및 물리적 세계의 통합 실현을 위한 디지털 트윈 기반 메타버스 참조 모델 제공 - 상호작용 참조 모델 수립 및 디지털 트윈 기반 메타버스 참조 모델 확립 |
|
6 |
Metaverse standardization landscape for gap analyses (갭 분석을 위한 메타버스 표준화 추진 현황) |
- 주요 표준 개발 기구(SDO)의 기존 표준 및 개발 중인 표준 현황 분석 - 상호운용 가능한 메타버스 관련 표준 개발 촉진을 위한 메타버스 표준화 갭 분석 데이터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