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보도자료 - ETRI, 와이브로 유공자 표창받아 080103-001.hwp
Embargo : 없습니다.
문 의 처 |
홍보실장 한강희(042-860-3900) E-mail : khan@etri.re.kr 기술홍보팀장 김희철(042-860-3915) E-mail : k21human@etri.re.kr 기술홍보팀 정길호(042-860-3917) E-mail : khchong@etri.re.kr |
||
배포번호 : 2008 - 003 배포일자 : 2008.1.15(화) |
매수 : 보도자료 2매 |
배포처 : ETRI 홍보실 |
ETRI 와이브로 유공자, 표창받아
- 안지환 그룹장 철탑산업훈장 등 5명, 연구개발 공로로 수여
- 세계최초 기술개발, 국제표준 견인...이동통신 새역사 써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최문기)에 의해 세계최초로 개발, 국제표준이 된 휴대인터넷, 와이브로(WiBro) 기술의 연구개발 공로로 연구원 5명이 유공표창을 받았다.
ETRI는 15일, 이동통신연구단 안지환 그룹장(철탑산업훈장)을 비롯, 권동승 책임연구원(산업포장), 박윤옥 팀장(대통령표창), 윤철식 팀장(대통령표창), 이광천 팀장(국무총리표창)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고 밝혔다.
와이브로 기술은 ETRI가 지난 2002년부터 심혈을 기울여 연구개발끝에 2005년말 최초 시연에 성공, 지난해 10월, 와이브로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선정된 순수 국내 토종기술로 세계 3G기술에 등극한 첫 번째 작품으로 높게 평가된다.
와이브로 기술은 이동중에도 광대역 인터넷 접속(상향 5.2Mbps, 하향 25Mbps)이 가능한 신개념의 무선 정보통신서비스이다. 3세대 기술중에는 유일하게 ETRI에 의해 개발된 와이브로가 4세대 기반기술인 OFDM(직교주파수분할방식)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이번 국제표준으로 채택된 와이브로 기술은 정보통신부의 IT839전략의 핵심과제로, 기획부터 세계시장 진출을 목표로 기술개발과 표준화, 주파수분배를 연계, 추진한 최초의 국가 종합프로젝트이며, ETRI가 주축이 되어 삼성전자, KT, SKT 등 기업체와 협력, 개발한 국내 토종기술이다.
한편, 우리나라가 이미 와이브로용으로 사용중에 있는 와이브로 주파수(2.3.GHz)대역도 지난해 11월, 4세대 이동통신의 세계 공통 주파수 대역으로 선정된바 있어 향후 전 세계 로밍도 가능케 되는 등 와이브로 기술이 세계시장 진출시 필수요소인 국제표준과 세계공통 주파수 대역선정을 동시에 이룬 쾌거를 거두었다.
ETRI 최문기 원장은 “와이브로 기술은 ETRI가 주축이 되어 이룩한 국가 R&D사업의 모범사례로서 우리나라 이동통신 역사에 길이 남을 업적으로 전 세계 40여개국이 도입준비중에 있어 국민소득 3만불 달성의 초석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ETRI는 다가올 4G 이동통신 시장선점과 관련, 지난해 4G 이동통신기술인 놀라(NoLA)기술개발에 성공과 아울러 WCDMA의 발전기술인 3G LTE후속기술, 와이브로의 진화기술인 이볼루션 기술개발에 전력하고 있어 향후 이동통신분야에서 황금알을 낳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ETRI는 와이브로 3G 표준채택의 경제적 효과로 향후 2012년경이 되면 누적 세계시장 규모가 약 94조원, 고용창출 7만 5천여명을 형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편, 이번 와이브로 유공자 수상식은 정보통신부에서 15일 개최되었다.<보도자료 본문끝>
<참고자료>
1. 세대별 이동통신기술
구 분 |
1세대 |
2세대 |
3세대 |
4세대 |
표준기술 |
아날로그통신 (AMPS, TSCS, NMT) |
TDMA, CDMA, GSM, PDC |
WCDMA, CDMA2000, |
표준 미확정 |
전송속도 |
10kbs이하 |
14.4~64kbps |
144Kbps ~ 2Mbps |
100Mbps 이상 |
주요서비스 |
음성 |
음성 단문메세지, 저속인터넷 |
음성 고속인터넷, 동영상통화 |
멀티미디어 |
상용화시기 |
1981년 |
1991년 |
2000년 |
2010년 이후 |
영화 다운로드시간 (800MB 기준) |
불가능 |
6시간 4분 |
9분 43초 |
5.6초 |
2. 와이브로와 타 이동통신 서비스와의 상호비교
구분 |
WiBro (wave 1) |
HSDPA |
1xEV-DO rev.A |
|
개요 |
이동 중에도 고속 인터넷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IP기반 시스템 |
비동기식 W-CDMA 시스템을 향상한 셀룰러 시스템 |
현재 상용 서비스 중인 동기식 EV-DO의 업그레이드 시스템 |
|
전송방식 |
OFDMA/TDD |
CDMA/FDD |
CDMA/FDD |
|
최대 전송률 |
상향 |
5.2 Mbps |
1.4 Mbps |
1.8 Mbps |
하향 |
24.8 Mbps |
14.4 Mbps |
3.1 Mbps |
|
이동성 |
60 Km/h 이상 |
250 Km/h |
250 Km/h |
|
상용화시기 |
2006. 6월 |
2006. 5월 |
2007. 하반기 |
3. 와이브로와 와이브로 이볼루션과의 상호비교
구분 |
WiBro |
WiBro Evolution |
채널 대역폭 |
10㎒ |
10/20/40㎒ |
이동속도 |
60Km/h 이하 |
120Km/h 이상 |
서비스 커버리지 |
1Km 이하 |
1Km 이상 |
가입자당 최대 전송속도 |
하향 : 20Mbps 이하 상향 : 6Mbps 이하 |
하향 : 20Mbps 이상 상향 : 6Mbps 이상 |
Handover 절단시간 |
150msec 이하 |
100msec 이하 |
IP 프로토콜 |
IPv4 |
IPv4 또는 IPv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