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ETRI 보도자료 - ETRI 기술이전 설명회 개최070418-35.hwp

닫기

Embargo : 없습니다.

문의처

기술홍보팀장 김희철 (860-3915) E-mail :

홍 보 실 정길호 (860-6758) E-mail : khchong@etri.re.kr

배포번호 : 2007 - 35

매수 : 보도자료 3매(추가자료 11매)

배포처 : ETRI 홍보실

ETRI, 기술이전 설명회 개최

- 19, 20일 이틀간 코엑스서 주요 신기술 설명회

- 11개 기술, KIS 박람회와 함께 연계 발표계획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최문기)은 오는 19일과 20일, 이틀간에 걸쳐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코엑스에서 주요 신기술에 대한 기술이전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ETRI가 매년 실시하고 있는 기술이전 설명회는 올 해 들어 세 번째 개최되는 설명회로 기업에게 ETRI의 우수한 원천기술을 이전함으로써 상용화촉진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ETRI는 이번 기술이전설명회는 IT융합부품, 전파방송, 디지털 홈, 디지털콘텐츠, 광대역통합망, 정보보호연구단 등 다양한 IT분야에서 출품해 폭넓은 설명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개최되는 제3회 설명회에서 ETRI는 19일 오후 2시부터 코엑스 인도양홀에서 액세서리형 소형 저전력 플랫폼 기술 온라인/오프라인 이동 사무환경 시스템 기술 불법 복제 콘텐츠 추적시스템 온라인 게임 엔진 및 콘텐츠 ▲10Gbp 300pin MSA 광트랜시버 임베디드 MPEG 1/2 오디오 디코딩 기술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 홍채/얼굴을 이용한 개인인증기술 등 총 8개 신기술을 선뵌다.

또한 제4회 기술이전설명회가 열리는 20일에는 동일 시간에 코엑스 아셈홀 203호에서 POI/NWS/TSI 를 포함한 지상파DMB 기반 TTI 신플랫폼 설계기술 SMP 8634 기반 단말 하드웨어 플랫폼기술 인공자기도체를 이용한 도체 부착형 무선 인식용 태그 안테나 기술 등이 설명되어 진다.

한편, ETRI는 19일부터 22일까지 나흘간의 일정으로 코엑스에서 ‘2007 정보통신대전‘(Korea IT Show 2007)에도 참가, 최근 연구개발에 성공한 신기술 등을 전시 발표한다.

ETRI는 이번 기술이전설명회와 함께 개최되는 전시회인 KIS는 정보통신부, 산업자원부가 주최하는 전시회로 ETRI는 부스를 설치해 지상파 DMB 송출장비 및 단말기술 디지털 방송용 미디어 서버 유비쿼터스 홈서비스 기술 모바일 RFID 기술 등 핵심 4대 기술을 선뵌다고 말했다.

ETRI IT기술이전본부 김대웅 본부장은 이번 개최되는 기술이전 설명회와 ‘2007 한국정보통신대전을 통해 ETRI가 가지고 있는 최고수준의 IT 결과물 소개를 통해, 유관기업이 세계 무대에서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한 경쟁력과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상용화를 지원 하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ETRI전시회 기간중 국내.외 바이어들과의 1대1 기술 상담을벌이는 등 희망하는 해외기업과도 활발한 교류를 통해 적극적인 기술이전을 할 계획에 있다.

이번 기술이전 대상의 세부기술은 ITEC(ETRI 기술이전본부) 홈페이지()을 참조하면 된다.

ETRI는 지난 30여년간 1,621개 기술을 3,071개 IT 산업체에 기술이전하여 산업체의 기술개발 욕구에 대한 갈증을 해소시켜줌은 물론, 산업체의 기술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를통해 ETRI는 전체 정부출연연구원 기술료 수입의 88.2% 포인트에 해당하는 총 3,481억원의 기술이전 수입료 실적을 거두었다.<보도자료 본문끝>

<참고자료>

제 3차 기술이전 설명회

1. 일 시 : 2007년 4월 19일(목), 14:00~18:00

2. 장 소 : 서울 COEX 1층 인도양홀(지하철 2호선 삼성역 5,6번 출구)

3. 일 정

시 간

주요내용 / 발표기술

발표부서/발표자

14:00 ~14:10

개회사 및 기술이전 조건 설명

 

14:10 ~14:25

액세서리형 소형 저전력 플랫폼 기술

웨어러블컴퓨팅연구팀

조일연 팀장

14:25~14:40

온라인/오프라인 이동사무환경 시스템 기술

S/W 서비스 연구팀

정문영 연구원

14:40~14:55

불법 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III

DRM연구팀

이상광 선연

14:55~15:10

온라인 게임 엔진 및 콘텐츠

HD게임연구팀

 김용석 선기

15:10~15:25

10Gbs 300pin MSA 광트랜시버

(단일채널용 및 8채널 파장가변용)

ASON기술팀

이정찬 선연

15:25~15:40

임베디드 MPEG 1/2 오디오 디코딩 기술

응용SoC개발팀

최민석 선연

15:40~15:55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 홍채를 이용한 개인인증 기술

바이오인식기술연구팀

유장희 책연

15:55~16:10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 얼굴을 이용한 개인인증 기술

바이오인식기술연구팀

유장희 책연

16:10~

개별 상담

 

 

제 4차 기술이전 설명회

1. 일 시 : 2007년 4월 20일(금), 14:00~17:00

2. 장 소 : 서울 COEX 아셈홈 203호(지하철 2호선 삼성역 5,6번 출구)

3. 일 정

시 간

주요내용 / 발표기술

발표부서/발표자

15:30 ~15:45

POI/NWS/TSI 를 포함한 지상파DMB 기반 TTI 송신플랫폼 설계기술

3DTV시스템연구팀

안충현 책연 

15:45 ~16:00

SMP 8634 기반 단말 하드웨어 플랫폼기술

맞춤형방송연구팀

석주명 선연

16:00~16:15

인공자기도체를 이용한 도체 부착형 무선 인식용 태그 안테나 기술

전파방송원천기술연구팀

김동호 선연

2007 정보통신대전(Korea IT Show 2007)

1. 일 시 : 2007년 4월 19~22일(4일간)

2. 장 소 : 서울 COEX

=======================================================

<제 3차 기술이전 설명회 출품>

액세서리형 소형 저전력 플랫폼 기술

기술 정의

액세서리형 소형 저전력 플랫폼은 서비스의 이동, 복사 및 Universal Remote Controller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 되었으며,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기술로서 제스처 인식 기술을 포함하고, 이러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센서 및 주변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설계 기술과 소형 저절전 운영체제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기술을 포함한다.

기술 특성

액세서리형 소형 저전력 플랫폼은 손목에 착용하는 형태로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정보기기로 제스처를 인식하여 컴퓨터화된 기기(디스플레이, 오디오 등…)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한다.

1) 제스처 인식 기술 : 팔의 동작을 인식하여 웨어러블 컴퓨터, 스마트디스플레이 등 정보기기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는 기술

2) 저전력 지원 설계 : 장시간 사용하기 위해 구동 전압 제어가 가능하도록 전원 및 회로를 설계하고, 사용 상태에 따른 전력 모드 전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하는 기술

3) 운영체제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 기술 : 저전력 기능을 제공하는 소형 운영체제 및 다양한 주변 장치 지원을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 기술

온라인/오프라인 이동사무환경 시스템 기술

인터넷을 띄워놓고 한글문서 워드, 파워포인트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대다수의 샐러리맨, 전문직 종사자들이 퇴근 시 집에서도 작업을 하려면 똑같은 창을 띄우느라 반복되는 시간소비 등으로 번거로웠는데 앞으로는 사무실에서 작업하던 환경 그대로를 가정에서도 똑같은 환경으로 재연하는 길이 열린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최문기)는 사무환경 소프트웨어인 한글(HWP),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MS office), 인터넷 익스플로러 등을 사용 중인 상태 그대로 저장했다가 원하는 자리에서 복원해주는 비쿼터스 이동 사무환경 시스템’(워프, WARP)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즉, 업무의 연속성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중인 사무환경의 컨텍스트를 저장했다가 원래대로 복원해 주는 기술인데 RFID 등을 이용한 서버기반과 이동식 저장장치인 USB 기반 두 가지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편한 로그인 만으로도 워프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고 간단한 USB 메모리 장치로도 사무환경을 복원하여 작업을 계속할 수 있어 프로그램 개발작업을 하다가 흐름을 놓치지 싶지 않은 개발자에 유용하며 이동성이 많은 사람이 사무환경 복원시 데이터를 저장해 들고 다닐 필요가 없게 되었다.

ETRI는 정보통신부 공개 SW 기반 온디맨드 사무환경 제공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지난 2004년부터 3년간 (주)KT, (주)코스모, 한국IT렌탈산업협회, 모두텍과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한편, ETRI는 관련 국제특허 4건을 출원했고 국제논문 6편 발표와 지난해 5월, 한중국제 SW박람회와 10월 심천 국제 하이테크 박람회(China Hi-Tech Fair 2006)에 출품, 큰 호응을 얻었다고 밝히며 관련 기술은 기술이전을 거쳐 2007년 상용화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ETRI가 개발에 성공한 워프(WARP)기술은 개인 사용자의 온라인 사무 환경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해 주는 시스템 기술로 유비쿼터스 시대를 획기적으로 앞당길 수 있는 기술이다.

불법 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III

기술개요

본 기술은 디지털 오디오, 이미지, 비디오에 저작권 및 사용자 정보를 삽입하는 디지털 핑거프린팅, 콘텐츠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특징 기반 콘텐츠 인식 기술, P2P/웹하드, 카페, 게시판 등을 검색하여 콘텐츠를 찾아오는 콘텐츠 검색 기술로 구성되어 있음

기술이전목적 및 필요성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통신 및 방송의 디지털화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며, 인터넷의 확산으로 향후 디지털 환경에서의 성공적인 서비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유통을 근절할 수 있는 종합적인 관리 기술의 개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디지털화와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으로 디지털 콘텐츠는 온라인 DB, CD-ROM, DVD 등 다양한 형태로 보급될 것이며, 이는 일반 사용자들로 하여금 디지털 콘텐츠의 재가공, 생산, 유통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심각한 저작권의 문제를 야기 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저작권 보호 및 유통, 추적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온라인상의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복제를 막기 위한 기존의 암호화 방식은 적법 구매자가 암호를 푼 상태에서 불법적인 의도를 가지고 재배포할 경우 배포자를 찾을 수 없으므로, 콘텐츠의 최종 구매자 정보를 콘텐츠 자체에 삽입하는 핑거프린팅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 디지털 핑거프린팅 기술은 콘텐츠의 불법 유통 경로를 역추적할 수 있으므로, 각종 VOD 시스템, 방송 시스템 등에 활용 가능함

- 특징 기반 콘텐츠 인식 기술은 P2P 파일 공유 서비스를 위한 파일 필터링 서비스를 비롯하여 자동 방송 광고 모니터링 서비스, 유무선 전화망에서의 부가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고, 그 외에도 대용량 오디오/비동 데이터베이스의 색인으로 이용 가능함

- 콘텐츠 검색 기술은 폐쇄형 웹하드, 카페/게시판형 웹하드 등을 검색하여 콘텐츠 자동 수집을 가능하게함

온라인 게임 엔진 및 콘텐츠

기술개요

본 기술은 주어진 3차원 객체에 대한 저사양 실시간 영상을 생성하는 렌더링 엔진 기술로 캐주얼 게임에 최적화 되어 있고 3DSMax 등의 상용의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제작한 다양한 3차원 모델을 빠르게 화면에 출력할 수 있게 해 주는 기술임

기술이전목적 및 필요성

최근 PC 사양은 고성능 그래픽 가속 장치(GPU)의 보급확대와 CPU, 메모리 등 전반적인 하드웨어의 고급화로 인하여 게임 Quality (그래픽, 애니메이션 등 포함)가 높아졌으며, 이에 따른 게임 사용자의 눈높이 수준 또한 매우 높아져 있다. 하드웨어의 고급화에 따라 대부분의 게임S/W 제작 역시 3D로 이루어 지며, 3D게임 개발은 기간과 비용이 2D 게임 제작에 비해 개발 비용이 상대적으로 많이 들게 된다. 3D 게임제작에 필요 요구되는 기술들이 엔진 또는 모듈로서 구성되어 있다면, 게임 제작사들은 이를 활용하여 3D 게임제작이 용이하다

본 기술이전의 목적은 3D 게임제작에 필요 요구되는 기술을 게임 개발사에 이전하여, 성공적인 게임 제작 및 개발기간 단축 등에 있으며, 해당 기술은. 1)게임 클라이언트 엔진과 2)게임 서버 엔진으로 구성된다. 게임 클라이언트 엔진 기술은 3D 게임 제작 환경을 구성하기 위한 기반 기술로 3차원 클라이언트 관련 프로그램 제작 및 응용 기술 개발의 기반을 제공하며, 게임 서버 엔진은 온라인 게임 전개가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 한다.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 PC용 3차원 캐주얼 온라인 게임

- 3차원 캐릭터가 등장하는 3D 아바타(3D Avatar)

- 3차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3D GUI)

10Gbs 300pin MSA 광트랜시버(단일채널용 및 8채널 파장가변용)

기술개요

본 기술은 단일모드광섬유(SMF)에서 최대 80km 전송이 가능한 10Gb/s 광송수신 모듈, OIF-SFI4-01-0 기 인터페이스를 위한 SERDES(MUX + DEMUX)를 갖고있음.

기술이전 목적 및 필요성

본 기술이 보편화 되면 기존 SDH 기반의 광전송 장비(ADM, MSPP, OXC 등)를 OTH기반의 장비로 대체하여 차세대 광전송망의 인프라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기술로 자리잡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SONET/SDH 장치, WDM 장치, OXC, 장치 등의 10 Gb/s 광/전, 전/광 변환부 또는 전송 채널 구성에 활용된다.

기술이전범위

1. 광송신기 기술

- LD 전류 제어 회로 기술 (Current control circuit)

- LD 전류 성능 감시 회로 기술 (Current detection circuit)

- LD 온도 제어 회로 기술 (Temperature control circuit)

- LD 온도 성능 감시 회로 기술 (Temperature performance monitoring circuit)

- LD 전류 안정화 회로 기술 (ACC: automatic current control circuit)

- LD 광 출력 전력 안정화 회로 기술 (APC: automatic power control circuit)

- 파장 가변, 제어 기술 / - 광변조기 안정화 제어 기술

2. 광수신기 기술

- 수신 광 전력 성능 감시 회로 기술 (Received optical power performance monitoring circuit)

- 수신 광 경보 감시 회로 기술 (Received optical power alarm detection circuit)

3. 고속, 고밀도 PCB 설계, 제작 기술

- 10Gb/s 급 고속 신호 처리 기술 (Micro-strip line, Coplanar waveguide 설계, 제작)

- FR-4, RO4350B, RO3003 등의 다양한 재질을 이용한 PCB 제작

- 전송선로의 임피던스 정합 기술

4. 프로세서 제어 기술

- 광송수신 모듈 운영 관리 기술 / - RS-232를 통한 외부 환경 접속 제어 기술

- I2C 인터페이스를 통한 광송수신 모듈 감시 및 제어 기술

- 광송수신 모듈 운영 관리를 위한 GUI 환경 구축 기술

임베디드 MPEG 1/2 오디오 디코딩 기술

기술개요

본 기술은 임베디드 MPEG 1/2 오디오 디코딩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 방송 분야 및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엠펙 오디오 계층 II 디코팅 기술을 제공한다.

기술이전목적 및 필요성

o 본 기술 이전은 국책과제로 개발된 임베디드 MPEG 1/2 오디오 디코딩 기술을 국내 기업에 전수하여 핵심부품의 국산화는 물론 관련 기업의 해외 경쟁력 제고 및 수출 증대를 목적으로 함.

o 기반기술연구소 SoC연구개발그룹은 '오디오 비디오 신호처리용 임베디드 DSP 플랫폼' 과제(수행기간 : 2006년 3월 ~ 2007년 2월)를 수행하고 있으며, 본 기술이전은 오디오 비디오 신호처리용 임베디드 DSP 플랫폼 개발 기술 중 다음 기술을 그 대상으로 함.

- 임베디드 MPEG 1/2 오디오 디코딩 기술

o 임베디드 MPEG 1/2 오디오 디코딩 기술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디지털 TV(DVB-T) 등의 방송 분야, DVD, Divx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단말 및 장비, 인터넷을 통한 스트리밍 서비스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이 되는 오디오 압축 방식으로서 MPEG 1/2 오디오 디코딩 기술 개발의 경제적 파급 효과는 막대함.

o 국내에서는 이미 이동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상용 서비스가 전국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유럽 등에서는 아직 기존의 FM 오디오 방송을 대체하는 고품질 오디오 서비스를 바탕으로 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에 대한 선호도가 여전히 높음.

o 유럽의 디지털 TV 표준인 DVB-T의 오디오 서비스는 MPEG 2 BC(Backward Compatible) 디코딩 기술을 채택하고 있음.

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 단말의 경우에도 기존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과의 호환성 유지를 위해 MPEG 1/2 오디오 디코딩 기술은 기본적으로 채택되고 있음.

o 고품질 영상을 제공하는 DVD 포맷의 영상의 경우, 오디오는 돌비 디지털, DTS와 함께 MPEG 2 계층2의 부호화 알고리즘이 적용되고 있음.

o MPEG 1/2 오디오 디코딩 기술은 영상가전, 자동차용 AV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적용이 되고 있어 여전히 거대한 시장을 형성하고 있음.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o 임베디드 MPEG 1/2 오디오 디코딩 기술개발에 의해 DAB(T-DMB), DVB-T 등의 멀티미디어 방송 분야와 DVD, DivX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단말, 장비 분야의 부품/단말 시장에 조기 진입이 가능함.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 홍채를 이용한 개인인증 기술

기술개요

- Windows Linux 환경을 지원하는 홍채인식 라이브러리

- PC 및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을 위한 홍채인증 기술

기술이전목적 및 필요성

현재까지 제품화된 홍채인식 기반의 사용자 인증 기술 들은 주로 자원의 제약이 거의 없는 PC 기반의 시스템들로 개발되고 있고 윈도우 운영체제 기반의 홍채인식 시스템들로 리눅스 및 임베디드 환경에서의 적용이 어려운 상태임

그러나 산업체에서는 PC 환경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Stand-alone 및 이동형 등 소형화 되고 가격 경쟁력이 높은 홍채인식 시스템 기술의 개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임.

따라서, 리눅스 및 임베디드 환경의 홍채인식 기술은 요구에 부합되고 제품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

본 기술 전수에서는 윈도우, 리눅스 환경 그리고 임베디드 환경의 홍채인식 제품의 구현,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시스템 기술임.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 각종 홍채인식 기반의 임베디드 출입통제 시스템 개발 분야

- 홍채인식 기반의 전자신분증 등 인증 전용 단말기 개발 분야

- 소형/모바일 단말용 개인 인증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 얼굴을 이용한 개인인증 기술

기술개요

- Windows Linux 환경을 지원하는 얼굴인식 라이브러리

- PC 및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을 위한 얼굴인증 기술

기술이전목적 및 필요성

현재까지 주로 사용되고 있는 사용자 패스워드 또는 PIN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들 만으로는 개인, 산업, 국가의 중요한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실정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얼굴, 홍채, 지문, 정맥 등 개인의 고유한 생체정보들을 이용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생체인식 (Biometrics) 기술이 대두되고 있음.

현재까지 제품화된 얼굴인식 기반의 사용자 인증 기술 들은 주로 자원의 제약이 거의 없는 PC 기반의 시스템들로 개발되고 있음.

그러나, 산업체에서는 PC 환경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Stand-alone 및 모바일 환경 등 소형화되고 가격 경쟁력이 높은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의 얼굴인식 시스템의 개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임.

따라서, 소형의 실시간 처리를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을 위한 얼굴인식 시스템 기술은 하드웨어 비용 절감 및 제품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 출입통제 및 신분확인용 개인인증

- 소형/모바일 단말용 개인인증

- CCTV/DVR을 통한 범죄자 검색

<제 4차 기술이전 설명회 출품>

POI/NWS/TSI 를 포함한 지상파DMB 기반 TTI 송신플랫폼 설계기술

기술의 개요

지상파DMB를 이용한 교통 및 여행정보(TTI) 서비스 제공 기술

기술의 적용범위, 응용제품 및 분야

1. 기술의 적용범위

- TTAS.KO-07.0036, TTAS.KO-07.0038 표준규격을 따르는 TPEG 인코딩 스트림 생성

- TPEG 인코딩 스트림의 안정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버퍼관리 기술 적용

-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송신플랫폼 설계 기술

- ETI(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Distribution interfaces;Ensemble Transport

Interface, ETSI, ETS 300 799) 표준 인터페이스를 위한 ETI 프레임 변환 및 출력 기능

2. 응용분야

- 지상파DMB 기반 TTI 송신플랫폼 장비 개발

- TPEG 기반의 신규 용용서비스 기술 개발

본 기술의 개발 상태

1. 기술의 개발 상태

- 저작도구, TPEG 인코더, 스트리머 구현

- DAB/DMB ETI스트림 변환기 구현

-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송신플랫폼 설계 기술

- 실제 DMB 송신기와 연동하여 시험 운영/ 검증 (YTN, ETRI)

코드 커스터마이징 및 상용서버화 필요

본 기술의 특징

지상파DMB 시스템이 제공하는 공통인터페이스 규격인 ETI를 통한 출력지원

신규 위치기반의 데이터서비스 기술 개발과 테스트베드 구축 플랫폼으로 사용가능

SMP 8634 기반 단말 하드웨어 플랫폼기술

기술이전 내용

- SMP 8634 기반의 듀얼 방송튜너(8VSB. 256QAM), 듀얼 HD 콘텐츠 수신/녹화/저장/재생 기술을 탑재한 단말 하드웨어 기술과 방송미들웨어 포팅을 위한 PGL 드라이버 기술을 포함한 SMP 8634기반 단말 하드웨어 플랫폼 기술을 이전 기술의 내용으로 한다.

기술이전 범위

- SMP 8634 기반 단말 하드웨어 기술

- 방송미들웨어 포팅을 위한 PGL(Porting Glue Layer) 드라이버 기술

기존(선행)기술과 비교하여 유리한점

- 기존의 디지털방송 단말 벤더들은 본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SMP 8634 단말 플랫폼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음.

유사기술의 특허 및 연구결과에 대한 조사내용

- 현재 듀얼 튜너를 통한 듀얼 HD 동시 수신/재생/녹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은 없음

SMP 8634 기반 단말 하드웨어 기술

- 회로도 및 거버화일 (SMP8634 라이센스 보유 시 제공)

- OS 이미지 및 파일 시스템(SMP 8634 라이센스 보유 시 제공 가능)

- 드라이버 모듈 (SMP 8634 라이센스 보유 시 제공 가능)

- 부트로더 기술(SMP8634 라이센스 보유 시 제공 가능)

방송미들웨어 포팅을 위한 PGL(Porting Glue Layer) 드라이버 기술

- 시스템 PGL 드라이버 기술

- 튜너, 디먹스 PGL 드라이버 기술

- 미디어 PGL 드라이버 기술

- 네트워크 PGL 드라이버 기술

- 이벤트 PGL 드라이버 기술

- PVR PGL 드라이버 기술

인공자기도체를 이용한 도체 부착형 무선 인식용 태그 안테나 기술

기술개요

본 기술은 인공자기도체 기술을 응용하여 도체에 직접 부착가능한 무선인식용 태크 안테나 기술임.

기술이전목적 및 필요성

본기술은 RFID tag 안테나 가운데 특별한 용도와 시장 수요가 예측되는 도체에 직접 부착 가능한 tag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인공자기도체(AMC) 분야의 핵심기술로써 AMC를 응용한 안테나의 설계 및 제작

기술이전범위

가) 도체 부착형 RFID tag 안테나 관련 특허

- AMC 특허 3건

나) 도체 부착형 RFID tag 안테나의 설계방법 등에 관한 기술문서

- AMC 관련 기술문서

- RFID tag 안테나 설계서 및 시험 결과서

< 2007 정보통신대전(Korea IT Show 2007) 출품>

지상파 DMB 송출장비 및 단말기술

지상파DMB 송출장비 및 단말기술은 본격적인 DMB 서비스가 활성화될 경우 CD음질 수준으로 깨끗하고 선명한 오디오 서비스가 가능케 된다.

아울러 7인치 이하의 소형 TVPDA, 휴대폰 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서비스는 물론 증권, 날씨, 교통정보 등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고, 특히 이동 TV 서비스가 가능하다.

본 기술은 전송규격으로 유레카-147(Eureka-147) 디지털 오디오 방송 규격을 채택했으며 비디오 부호화는 엠펙-4(MPEG-4) AVC을 오디오 부호화는 엠펙-4 BSAC을 다중화와 동기화는 MPEG-2MPEG-4 를 채택했다고 말했다.

디지털 방송용 미디어 서버

빌딩, 아파트, 학교 등의 지역망과 케이블망을 이용하여 HDTV(고화질TV)급 수준의 고품질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가능하도록 네트워킹을 강화한 세계 최초의 특수 목적 서버로 계층적 구조를 갖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형이다.

인터넷 망에서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컴퓨터 시스템을 만들기 위하여, 전통적인 컴퓨터 시스템 기술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개발된 디지털 방송용 미디어 서버는 노드 당 최대 1,000명의 가입자를 지원하며, 초당 20Mbps급 동영상을 동시에 200명에게 서비스를 할 수 있는 통신 기능과 성능을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각종 국내외 전시회(CeBit, NAB, IBC, KCTA 등)에서 기술적인 가능성을 검증 받았다.

고화질 디지털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고성능 디지털 방송 VoD 서버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아파트, 지역 커뮤니티, 교육기관, 산업체 등등의 여러 곳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케이블 방송뿐만 아니라 앞으로 큰 시장으로 형성될 IPTV 시스템의 핵심 서버로 활용되어 방송 통신 융합 산업 발전을 촉진 시키는 큰 경제적 파급 효과를 가져 올 기술이다.

유비쿼터스 홈 서비스 기술

기존 가전제어 산업과 IT 산업의 컨버전스 추세에 따라 태동된 산업으로 최근에는 멀티미디어 및 가전제어 등 다양한 홈미디어 간 융합화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산업구조도 이를 지원하기 위한 최대 격전장이 되고 있는데 ETRI가 개발한 홈서버는 IP기반의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해 VOD IPTV 방송은 물론 HD급 방송서비스까지 동시에 지원한다.

또한 인터넷 포털 서비스의 일환으로 개인 맞춤형 웹서비스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다중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나의 홈서버를 통하여 다양한 홈네트워크 환경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토털 서비스 제공 홈서버이다.

또한 양방향 IPTV 셋탑박스는 KBS, MBC, SBS 등의 지상파 방송사들이 HD급의 고화질 디지털 영상과 더불어 ACAP기반의 데이터방송 환경에서 ETRI가 개발한 ACAP 기반의 방송 미들웨어를 통해 IP 기반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바일 RFID 기술

ETRI는 휴대폰의 기능을 한 단계 진화시키고, 경쟁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앞으로 인간과 사물간의 통신을 위한 유비쿼터스 세계의 초석을 마련할 목적으로 개발을 시작하였다.

900MHz RFID를 사용한 모바일 RFID 기술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시작하는 기술이고, 외국의 유사 기술인 NFC보다 인식거리가 멀어서 서비스 종류가 훨씬 많고, 국제표준으로 가장 널리 사용중인 EPC C1 Gen.2 태그를 시장에서 함께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기술은 휴대폰에 RFID 리더 기능을 탑재시키기 위해서 프로세서에서 RF까지 모든 기능을 통합한 단일 칩을 지난해 6월에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으며, 지난해 10월 SoC를 사용한 모바일용 RFID 리더 동글(외장형)과 SoC를 내장한 휴대폰 시제품을 SK 텔레콤과 공동으로 개발하였다.

리더 SoC는 국제표준과 호환하는 기능으로서 8x8mm의 소형이며, 76mA의 저 전력 동작과 전력제어 기능을 지원한다. 리더내장 휴대폰은 20~50cm의 인식거리를 가지며, ETRI에서 개발한 다양한 서비스와 SK 텔레콤의 시범 서비스를 사용해서 국내외에서 가장 월등한 성능을 보이고 있다.

향후 모바일 RFID 칩 매출액 추정효과는 약 3천억 원이며, 칩 시장이외에 모바일 RFID 단말기기 시장 및 서비스 시장, 태그 및 S/W 시장 등을 포함할 경우 거대 시장이 형성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