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ETRI맞춤형기술TV-Anytime국제표준 채택050530.hwp

닫기

본 자료는 5월 31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보도자료

(http://www.etri.re.kr)

문의처

디지털방송연구단 방송융합미디어연구팀 김재곤팀장(860-4980) E-mail : jgkim@etri.re.kr

방송융합미디어연구팀 강정원박사(860-5137) E-mail : jungwon@etri.re.kr

홍 보 실 정 길호(860-6758) E-mail : khchong@etri.re.kr

배포번호 : 2005 - 55

매수 : 3매(설명자료 4)

배포처 : ETRI 홍보실

ETRI, TV-Anytime기술 세계 표준 채택

- 패키지 기반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기술 표준채택

- 시청자 원하는대로 보는 맞춤형 방송 가능길 열어

- 2010년, 2천억불 디지털TV 세계시장 선점예상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원장 임주환)는 디지털방송연구단의 맞춤형 방송기술이 세계표준인 TV 애니타임(Anytime) 핵심 기술 표준으로 채택되었다고 30일 밝혔다.

세계 표준으로 채택된 패키지 기반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 기은 향후 2010년 디지털 TV의 양방향 방송서비스가 본격화되면 약 2,000억불로 예상되는 세계시장을 선점하는데 필수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다.

시청자들은 안방에서 축구등 각종 스포츠경기를 볼때도 ETRI개발한 이 기술이 표준으로 채택됨에 따라 본 방송과는 별도로 다각도에서 여러채널로 TV를 시청(Multi-view)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 프로그램 시청시에도 수준별 학습이 가능케 되는 등 시청자가 원하는 대로 TV시청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TV뿐만 아니라 휴대폰, PDA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의 성능에 적합한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제공하는등 사용자의 기호에 적합한 콘텐츠만을 수신할 수 있게도 되었다.

따라서 이번 세계표준 채택은 다양한 방송 콘텐츠를 기호가 서로다른 시청자등에 자유롭게 제공하는데 필요한 핵심기술을 ETRI최초 정의했다는데 큰 의의를 가지고 있다.

TV-Anytime 포럼에 채택된 패키지 기반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 기술'은 홈 네트워크 등 방송통신망 연동 환경에서 시청자 특성과 시청환경에 적합한 맞춤형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TV-Anytime 포럼 2 단계(Phase Ⅱ) 표준의 대표기술로 ETRI는 세부 기술에 대해 10건의 기술 기고와 17건의 국내외 특허를 출원하였다.

ETRI가 개발한 패키지 기반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 기술의 TV-Anytime Phase 는 2002년말에 제정, 2004년 미국, 유럽, 일본 등 디지털방송 표준으로 채택된 Phase 보다 월등하게 진보된 서비스로 Phase 이 단방향 방송서비스인데 반해 Phase 디양한 방송 소비환경에서 기호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부여되고 있다.

따라서 세계표준으로 ETRI가 채택시킨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 기술은 다양한 다수의 개별 콘텐츠를 유기적으로 조합, 시청자 선호환경에 맞춘 대화형(interactive) 정보맞춤형 방송이라는 장점을 가지며, 이는 통방 융합의 방송 소비환경에서 원하는 방송 컨텐츠를 언제(Anytime), 어디서(Anywhere)나 좀 더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접근,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TV-Anytime 포럼 2 단계(Phase Ⅱ) 표준은 2005년 1월에 표준 초안을 완료하고 2005년 5월에 최종 표준을 공표하였으며, ETSI(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의 방송 및 온라인서비스 표준으로 채택될 예정이다.

ETRI 디지털방송연구단장 안치득 박사는 전 세계가 사용하게 될 맞춤형 방송 세계표준의 핵심기술을 ETRI가 보유케 됨으로써 한국의 위상을 높임은 물론 우리나라가 이 분야 세계시장에서 기술적 주도권과 산업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TV-Anytime 표준이 맞춤형 방송 분야에서 세계표준이 됨으로써 2010년 약 1억 2,500만대 규모를 형성할 세계 디지털 TV시장 (출처 Merrill Lynch, 2005.2.)에서의 맞춤형 방송 도입은 ETRI의 표준기반 상용 서비스를 확장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보도자료 본문끝>

<참고자료>

TV-Anytime 포럼에 채택된 패키지 기반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 기술의 세부기술

방송환경에 맞는 패키지 구조 정의

AV 프로그램 뿐 아니라 다양한 타입(이미지, 오디오, 텍스트, 응 용프로그램 등) 또는 주제(교육, 오락, 데이터방송 등)별 객체 기 술 메타데이터 (Object Description Metadata) 정의

패키지구조를 이용한 데이터방송 서비스 및 콘텐츠 브라우징 기술

MPEG-21 UED를 확장적용한 사용자환경에 따른 타겟팅기술

객체간의 관계 기술을 통한 동기화 및 랜더링 정보 제공 기술

패키지/컴포넌트/광고 식별(Identification) 기술

TV-Anytime 포럼은 개인 저장장치(PDR: Personal Digital Recorder)를 활용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효율적으로 선택 시청할 수 있는 맞춤형 디지털 방송 제공을 목적으로 1999년에 설립된 방송표준 단체로, BBC, NHK, NDS(유럽 최대의 다국적 방송장비 업체), 프랑스텔레콤, NTT, 마이크로소프트 등 40여개 업체가 참여하고 있으며, 국내업체로는 ETRI, KETI(전자부품연구원), 삼성전자, 대우일렉트로닉스 등이 활동 중이다.

TV-Anytime 포럼 1 단계(Phase 1) 표준은 메타데이터, 콘텐츠식별체계, 콘텐츠보호관리의 표준을 2002년 말에 제정하여, 2003년 ETSI 표준으로 채택된 바 있으며 2004년에는 DVB(유럽), ATSC(미국), ARIB(일본) 등 선진 각국의 디지털 방송 표준으로도 채택되었다.

ETRI는 또한 TV-Anytime 포럼 표준화 활동과 함께 2005년 맞춤형 방송 실험 방송, 2006년 맞춤형 방송 시범 서비스를 통해 국내 맞춤형 방송 표준화 및 맞춤형 방송 조기 도입을 추진 중에 있다.

또한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 기술을 교육방송에 활용하면 피교육자 개개인에게 적합한 맞춤형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여 피교육자가 능동적으로 교육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올해부터 정식 서비스될 예정인 데이터방송 서비스에서 패키지 기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면, 더 빠르고 다양한 콘텐츠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용어설명>

TV 애니타임(Any-time) Forum

개인 맞춤형 방송서비스의 세계표준을 제정키 위해 지난 1999년 설립된 세계표준단체로, 2002년 단방향 방송서비스를 위한 규격인 Phase을 완성했다.

패키지 (Package)

전체 또는 개별적으로 소비될 수 있는 콘텐츠 아이템과 컴포넌트들의 집합

객체 (Object)

아이템 또는 컴포넌트

아이템 (Item)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컴포넌트들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체험물 (experience)

컴포넌트 (Component)

AV 파일, 오디오 스트림과 같이 단일 단위로 획득될 수 있는 콘텐츠 개체

메타데이터(Metadata)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 특정한 콘텐츠의 내용특징을 기술하거나 그 콘텐츠가 언제, 어떻게, 누구에 의해, 어떠한 포맷으로 만들어졌는지 등을 기술하는 데이터. XML 기반의 응용에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MPEG-21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 의해 진행 중인 멀티미디어 전송, 소비를 위한 표준화된 프레임워크 제정 그룹

UED (Usage Environment Description)

MPEG-21에서 제정한 사용자 환경 기술 메타데이터로, 사용자 특성, 터미널 성능, 네트워크 특성 등을 기술

타겟팅 (Targeting)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 단말 성능, 네트워크 특성 등 사용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적합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ETSI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유럽전기통신표준화협회. 55개국 688개 회원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정보통신기술 분야의 방대한 기술에 대한 표준제정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Project)

디지털 방송에 관한 표준을 정하기 위해 전세계 35개국, 300개 이상의 업체가 참여하고 있는 유럽 주도의 표준화 단체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디지털 방송, 인터랙티브 시스템, 광대역 멀티미디어 통신 등에 관한 기술표준을 정하기 위해 전세계 140여 업체들이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미국 주도의 국제표준화 단체

ARIB (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es)

일본전파산업협회. 통신, 방송 분야의 새로운 시스템 연구개발 및 기술규격의 국제통일화를 위해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