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보도자료-ETRI 뇌파기반의 감정인식 기술 개발 VER3.hwp
Embargo : 없습니다.
문의처 |
디지털콘텐츠연구단 가상현실연구팀장 손욱호(042-860-5031) E-mail : whson@etri.re.kr 기술홍보팀장 김희철 (860-3915) E-mail : k21human@etri.re.kr 기술홍보팀 김기현 (860-3916) E-mail : solofeye@etri.re.kr |
||
배포번호 : 2007 - 14 |
매수 : 2매 (그림 3매) |
배포처 : ETRI 홍보실 |
- 감성을 지닌 첨단 지능형 로봇 개발에 활용 가능
- IT기술과 복지기술 융합으로 신시장 창출 기대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최문기)는 지난 21일, 인간의 뇌파로부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뇌파 기반 감정인식 기술』을 개발하였다고 밝혔다.
『뇌파 기반 감정인식 기술』은 그림을 보거나, 음악을 청취할 경우 느낄 수 있는 평안함, 기쁨, 슬픔, 스트레스의 4가지 감정 상황을 체험자의 두피에서 측정한 뇌의 활동 양상을 통해 파악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은 4가지의 서로 다른 감정 상황을 두피상의 여러 영역에서의 전기적 활성도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구별하였다.
특히 관련 기술은 선진국에서도 최근에야 생체 신호 인터페이스 기술과 이를 활용한 의료 또는 가상현실(VR : Virtual Reality)분야의 산업화 및 실용화 가능성을 깨닫고 적극적인 투자를 하고 있는 연구개발 초기 단계 분야이다.
일본은 생체신호를 통해 인간의 감정 상태를 로봇이 인식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반응을 표현함으로써 인간과의 친밀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 등 생체신호를 통한 감정 인식의 결과를 로봇에 적용하려는 목적으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생체신호에 기반한 인터페이스의 개발을 위해서는 신호분석에 있어 신뢰성 있는 생체신호 DB 구축이 필수적인데, 이번에 개발된『뇌파 기반 감정인식 기술』은 이에 대한 선행기술이라 할 수 있다.
ETRI 손욱호 가상현실연구팀장은 “생체정보에 기반을 둔 IT기술과복지기술이 융합된 핵심기술이며 각종 재활 분야, 건강 검진 분야 등의 의료분야에도 응용될 수 있으므로 세계적인 고령화 사회의 추세를 미루어 볼 때 무한한 수요가 창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 밝혔다.
현재 ETRI는 척수 등의 손상으로 손, 발을 사용하지 못하는 장애우들이 집중상태에서 발생하는 뇌파를 이용, 두명이 동시에 하는 볼링 게임과 미로게임 등 간단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뇌파 키보드 기술』과 어금니 물기와 눈 깜빡임시 발생하는 근육신호를 이용하여 재활훈련을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컴퓨터 입력 기술과 전동 휠체어를 조정 및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한편, ETRI는 이번 기술을 (주)이머시스(대표 김풍민)에 기술이전하여 뇌파분석 기술이 적용된 휴대기기용 이어폰 음향효과 솔루션인 “썸(XONE : Xound Out of My Ears)"을 대상으로 외재화 음향효과 테스트가 이루어졌으며, 실제 사용자에게 안정감과 스트레스 감소, 긍정적인 감정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확인됐다.<보도자료 본문 끝>
* ETRI 디지털콘텐츠연구단의 연구원이 뇌파 측정을 위한 센서를 부착하고 있다.
세가지 감정 상태에 대한 비교 분석 결과 요약표
(1) 안정감 변화
효과 적용 전에는 두피 전역에서 낮은 알파 파워값이 관측됨에 따라, 큰 활동 상황을 감지할 수 있으나, 효과 적용 후에는 좌반구에서의 활성도가 높아지는 쪽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이는 상대적으로 격한 활동상황이 안정화되고, 또한 긍정적인 방향으로 감정이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함. |
|
<전>
|
<후>
|
(2) 스트레스 변화
두피 전역에 대해서 지역간 상관관계(Inter-regional correlations)를 규정하는 Coherence를 효과 전후에 적용해서 살펴 보면, 적용 전과 비교해서 후의 상황에서 알파 대역에서의 지역간 상호관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 관측됨. 이는 감정이 부정상황을 벗어나 다소 완화되고 있음을 의미함. |
|
<전>
|
<후>
|
(3) 긍정감정 변화
효과 적용 전후 좌/우 반구간의 알파 파워값의 비대칭률 정보(Asymmetry score)를 비교해보면, 감정상황과 연관성이 많은 전두엽과 측두엽 부분에서 다소 높아지는 상황으로 변화됨. 이는 감정이 긍정적인 상태로 변화되고 있음을 의미함. |
|
<전>
|
<후>
|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