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보도자료 - ETRI, 세계인명사전 대거등재.hwp
Embargo : 없습니다.
문의처 |
홍 보 실 장 조 철 호 (860-3900) E-mail : 홍 보 실 정 길 호 (860-6758) E-mail : |
||
배포번호 : 2005 - 105 |
매수 : 2매(보충 3매, 사진) |
배포처 : ETRI 홍보실 |
- 마르퀴즈 후즈 후 등 3대 인명사전에 12명
- IT 전 분야, 최고의 ‘싱크탱크’ 명성
마르퀴즈 후즈 후, 영국 케임브리지 국제인명센터(IBC), 미국인명연구소(ABI)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3대 인명사전에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원장 임주환) 연구원들이 대거 등재돼 국내 최대 연구원으로서 그 위상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ETRI는 8일, 2006년판 세계 3대 인명사전 21곳(누적분)에 12명의 연구원들이 등재되었다고 밝혔다. 이들은 IT 전 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어 ETRI가 명실상부한 IT분야 최고의 “싱크탱크”로서의 역량을 과시했다.
먼저 각 분야별 등재된 현황을 보면, 기초 핵심 원천기술개발 부문에서는 기반기술연구소에서 『모트 절연체 금속 전이현상』을 입증한 김현탁박사를 비롯, 곽민환, 신명기, 유현규, 채병규, 최춘기, 표현봉 박사가 등재되었으며 차세대 기술개발의 핵심적 기초연구를 수행하는 미래기술연구본부에서 이효영 박사가 이름을 올렸다.
또한, 디지털콘텐츠 및 유통분야와 DRM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디지털콘텐츠연구단의 황성운 박사,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련연구를 담당하고 있는 디지털방송연구단의 정원식 박사, 정보보호관련 선도기술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정보보호연구단의 한민호 선임연구원, 지능형로봇연구단에서 지능형작업제어연구팀장을 맡고있는 유원필 박사 등 12명이 ETRI가 이번에 배출한 세계 3대 유명사전에 등재된 인력들이다.
한편, 이들 연구원들 중에는 뛰어난 연구업적을 인정받아 세계 3대 인명사전에 모두 등재되는 쾌거를 올리기도 했다.(김현탁, 곽민환, 채병규, 한민호)
이번에 등재된 연구원들은 IT관련분야에서 주도적인 연구업적으로 그 능력을 인정받았으며 SCI급 학회지 등에 활발한 논문게재 및 업적이 높게 평가되어 등재된 것으로 밝혀졌다.
ETRI 임주환 원장은 “세계 3대 인명사전에 등재된다는 것은 개인적인 영광일 수도 있지만 그 나라의 국력을 나타내 주는 지표이기도 하다. 내년에는 ETRI에서 더 많은 연구원들이 배출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에 전력토록 하겠다” 고 말했다.
ETRI는 한편, 세계 인명사전에 등재된 연구원들을 “자랑스런 ETRI인”으로 선정, 영구 보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보도자료 본문끝>
<참고자료>
마르퀴즈 후즈 후. 영국의 IBC, 미국인명연구소(ABI)는 세계 3대 인명사전으로 꼽힌다.
1)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
2) International Biographical Centre - IBC
3) American Biographical Institute - ABI
■ 마르퀴즈 후즈 후(Marquis Whos Who)
마르퀴즈후즈후사는 1899년에 문을 열어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어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된 세계인명기관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알려져 있다.
이곳에서는 세계적인 인명사전인 후즈후인더월드(Who's Who in the World)를 발간하고 있다. 후즈후인더월드는 정치, 경제, 사회, 종교, 과학, 예술 등 각 분야에서 매년 세계적 인물 5만여명을 선정, 프로필과 업적을 등재하고 있다.
그리고 분야별 세계인명사전이 부정기적으로 발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재정산업부문 세계인명사전 (Who's Who in Finance and Industry, 2002-2003) 또는 과학기술부문 세계인명사전(Who's Who in Science and Engineering) 등이다.
마르퀴즈 후즈 후에서 발행하는 인명사전은 100여년의 오래된 역사와 절재되고 일관된 편집정책 등으로 그 권위를 인정받아 세계적인 도서관 등 가장 많이 보급되고 있어 전문 인력정보 제공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 미국인명 정보기관(ABI)
미국인명연구소(ABI)는 전문인명연구소로 1967년부터 활동하였다.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곳에서 발간되는 분야별 연도별 인명사전은 미국 하바드, 스탠퍼드 등의 유명 대학은 물론 미국 국회에도 자료가 제공되는 인정받는 인명기관이다.
이곳은 미국 인명기관 중 가장 공격적인 정책을 도입하여 적극적인 홍보는 물론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그리고 독특한 이름의 인명사전, 예를 들면 '세계의 영향력 있는 위인 500(500 Leaders of Influence, 2001) 등의 사전을 발간하는 등 독특한 색깔을 지니고 있다.
■국제인명센터(IBC)
국제인명센터(IBC)는 35년의 역사를 갖고 있는 유럽을 대표하는 세계적 인명기관으로 영국 캠브리지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다른 세계적 인명기관이 모두 미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비해 유일한 비미국적 인명기관이다.
짧은 역사에 비하여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분야별 세계적 석학 등을 초빙하여 공동 문화적 주제 등을 찾는 국제회의 등을 자주 개최하거나 2000년에는 인터넷망의 중요성을 파악하여 온-라인을 구축하는 등 다방면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다른 인명기관과 마찬가지로 분야별, 연도별 인명사전을 출간하고 있으며 현재 출간된 212권의 인명사전에 약 100만명의 인명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주요 특징으로는 미려한 책자 및 위촉장 발행, 세계적 인명 추천 망 구축 등에 있으며, 최근 들어 온-라인의 활성화를 위하여 온-라인 명예의 전당(On-line Hall of the Fame)을 구축하여 22명의 인명록을 등재하였다.
<첨부자료>
ETRI 세계3대 인명사전 등재자 현황 |
|||||||
순번 |
성명 |
소속 |
학위 |
등재사유 |
등재처 |
||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 2006 |
IBC(영국) |
ABI(미국) |
|||||
1 |
곽민환 |
기반기술연구소 테라전자소자팀 |
박사 |
최근 3년간 SCI에 등록된 학술지에 강유전체 튜너블 마이크로파 소자, 소재 및 고온초전도 마이크로파 소자관련 논문 20여편을 게재함 |
O |
O |
O |
2 |
김현탁 |
기반기술연구소 테라전자소자팀장 |
박사 |
모트 절연체 금속 전이현상 규명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고 다수의 논문과 기고를 통해 그 업적이 뛰어남 |
O |
O |
O |
3 |
신명기 |
기반기술연구소 차세대인터넷표준연구팀 |
박사 |
국제표준화기구인 IETF와 IPv6포럼 등의 에디터 및 워킹그룹 의장으로 활동하면서 국제표준(RFC 3338, 4038)을 다수 작성, 채택 |
O |
||
4 |
유원필 |
지능형로봇연구단 지능형작업제어연구팀장 |
박사 |
지능형 로봇등 개발과 관련논문의 우수성을 인정 |
O |
||
5 |
유현규 |
기반기술연구소 RF/Analog SoC 설계팀장 |
박사 |
‘99년과 ’01년에 각각 900MHz CDMA Cellular 및 1.8GHz PCS 핵심 RF CMOS 칩을 개발하여 세계 최초로 통화 시험에 성공한 공로를 인정 |
O |
O |
|
6 |
이효영 |
미래기술연구본부 신기능정보소자팀 |
박사 |
21세기 outstanding scientist로 `21세기 위대한 과학자' 및 `21세기의 위대한 인물들'에 등재된 분자과학 분야에서 훌륭한 업적인정 |
O |
||
7 |
정원식 |
디지털방송연구단 대화형미디어연구팀 |
박사 |
디지털방송관련 "고속 움직임 추정을 위한 2 단계 전역 탐색 알고리즘"등 관련 업적과 논문의 우수성을 인정 |
O |
||
8 |
채병규 |
기반기술연구소 테라전자소자팀 |
박사 |
강유전체 비휘발성 기억소자에서 치명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분극피로 현상을 규명하고 개선할 수 있는 연구를 세계 유수 저널에 소개 |
O |
O |
O |
9 |
최춘기 |
기반기술연구소 광접속모듈팀 |
박사 |
차세대 리소그래피 기술인 엠보싱(Embossing), 임프린팅(Imprinting) 기술을 이용한 고분자 마이크로/나노 광소자 개발 |
O |
||
10 |
표현봉 |
기반기술연구소 바이오센서팀장 |
박사 |
플라즈몬학(Plasminics) 및 바이오감지 관련 업적 |
O |
||
11 |
한민호 |
정보보호연구단 보안운영체제연구팀 |
석사 |
보안관련 우수한 논문과 전문 저널에의 활발한 기고등 업적이 인정되어 게재 |
O |
O |
O |
12 |
황성운 |
디지털콘텐츠연구단 콘텐츠유통연구팀 |
박사 |
최근 3년간 과학기술논문색인(SCI)에 등록된 학술지에 DRM에 관한 논문 수편을 게재하고, 각종 특허 및 연구개발 활동을 인정 받음 |
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