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보도자료]_ETRI 히든챔피언 육성위해 발벗고 나선다 131023.hwp
Embargo |
|||||||
배포일자 : 2013. 10. 23(수) 배포번호 : 2013 - 60호 |
|
||||||
☎ |
부품소재연구부문 |
소 장 |
남은수 (042-860-6510) |
E-mail : esnam@etri.re.kr |
|||
부품소재연구부문 |
연구협력팀장 |
이용봉 (042-860-6510) |
E-mail : yblee@etri.re.kr |
||||
홍보실 |
홍보팀장 |
정길호 (042-860-0670) |
E-mail : khchong@etri.re.kr |
||||
홍보실 |
홍보팀 |
정병인 (042-860-6634) |
E-mail : byengin@etri.re.kr |
||||
매수 : 보도자료 3매(참고자료 1매, 사진 2매) |
배포처 : ETRI 홍보팀 |
ETRI, 히든챔피언 육성위해 발벗고 나선다
- 1연구실이 1개기업 손잡고 최고기업으로 탈바꿈
- 23일, 연구원서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인정서 수여
- 부품소재 연구분야 16개기업 연구진이 현장서 지원
- 중소·중견기업 지원통해 글로벌기업 집중육성계획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는 23일, 원내 국제회의장에서 부품소재분야 중소·중견기업 16개사에 대한『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인정서 수여식을 갖고, 향후 2년동안 집중지원에 나선다고 밝혔다.
ETRI는 금년 7월, 부품소재연구분야의 전문 보유기술 등을 고려, 기술지원이 가능한 16개 중소·중견기업을 선정, 기업이 요구하는 기술지원 사항에 대해 맞춤형으로 기술지원 중에 있다.
이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내용에 맞춰 밀착 지원하는 수평적 파트너십에 큰 의미가 있다. 연구원과 기업이 한 가족이 되어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강소기업을 만들자는 것이다.
주요 기술지원분야는 ▲디스플레이 ▲나노광전소재부품 ▲광/RF부품 ▲신소자/소재 분야 등이며, 해당 연구실의 전문 연구진이 밀착 지원하고 있다.
ETRI는 이번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을 통해 중소기업들이 상용화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애로기술들을 파악해 지원하고 현장에 연구원을 파견해 주며, 특허출원시 어려움 등을 지원하는 등 맞춤형으로 지원한다. 이를통해 우리나라 부품소재 산업분야의 기술수준을 제고하고, 나아가 ‘글로벌 히든챔피언’을 육성하는데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ETRI는 올해 시범적으로 1실 1기업 기술지원을 부품소재분야부터 시작, 내년에는 전 연구원 차원으로 확대 추진할 예정이다. 올해는 1~2개의 세계적인 ‘히든챔피언’을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ETRI 부품소재연구부문에는 차세대디스플레이, 나노광전집적, 광무선융합부품, IT부품산업기술연구부 등에 16개의 실들이 존재, 이 실들을 하나의 기업으로 묶어, 기술지원을 통해 기업들이 성장의 날개를 달수 있도록 연구진이 똘똘 뭉쳐 지원한다는 것이다.
ETRI는 이외에도 연구진이 직접 기술이전한 회사에 파견해 기업의 애로를 청취해 상용화를 도와주는 ‘상용화 현장지원제도’가 5년째 시행되고 있다. 이를 통해 10월 현재, 538개 업체에 1,273명의 연구원이 파견, 기업에 단비와 같은 존재가 되고 있다. 아울러 중소기업이 평소 어려워하는 애로기술과 시험장비 지원도 계속 이뤄지고 있다.
ETRI의 이러한 제도가 정착되기에는 최문기 현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의 역할이 컸다. 중소기업이 살아야 출연연도 있고 또 기술이전된 기술의 상용화가 전제되어야 기술개발의 참의미가 있다고 강조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김흥남 ETRI 원장의 경영철학도 한 몫 했다. 바로 『현문현답』을 중시했기 때문이다. “현장 속에 답이 있다”라는 의미다. 그래서 연구원들도 현장을 중시하는 풍토가 점점 연구 마인드로 자리잡게 된 것이다.
ETRI 부품소재연구부문 남은수 소장은 “이번 행사는 우리나라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품소재 산업분야의 기술수준을 제고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회이고, 나아가 부품소재 기반 산업분야를 성장동력으로 키워, ICT 강국의 위상을 높이는데 일조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ETRI의 행사에 참여한 (주)기가레인의 이남호 대표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발벗고 나서는 기업지원 계획을 접하고 무척 기뻤다. 중소기업이 강해야 나라가 강해진다는 말처럼 공동연구는 물론, 실효성있는 추진이 되어 상생하는 모델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보도자료 본문끝>
<참고자료>
1. 1실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대상기업
연구부 |
연구실 |
대상 기업 |
||
차세대디스플레이 연구단 |
산화물TFT연구실 |
㈜디엔에프 (대표: 김명운) |
||
반사형표시소자연구실 |
㈜나노브릭 (대표: 주재현) |
|||
OLED연구실 |
엔라이팅㈜ (대표: 강동호) |
|||
유연인터페이스연구실 |
㈜유플러스비전 (대표: 이이상) |
|||
나노광전집적 연구부 |
나노융합센서연구실 |
㈜블루콤 (대표: 김종규) |
||
전력제어소자연구실 |
㈜샤인 (대표: 신이현) |
|||
혼성신호처리연구실 |
㈜넥스트칩 (대표: 김경수) |
|||
실리콘포토닉스연구실 |
루아텍 (대표: 김덕진) |
|||
광무선융합부품 연구부 |
RF융합부품연구실 |
㈜기가레인 (대표: 구황섭) |
||
광무선융합플랫폼연구실 |
㈜큐에스아이 (대표: 이청대) |
|||
광인터넷부품연구실 |
㈜네온포토닉스 (대표: 강창현) |
|||
광집적플랫폼연구실 |
㈜켐옵틱스 (대표: 이형종) |
|||
IT부품산업기술 연구부 |
태양광기술연구실 |
㈜제이몬 (대표: 윤종만) |
||
3D플렉서블소자패키지연구실 |
㈜리빙케어 (대표: 권택율) |
|||
GaN전력소자연구실 |
㈜테스 (대표: 주숭일) |
|||
IT융합부품연구실 |
㈜알에프세미 (대표: 이진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