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ETRI 연구실별지원가능기술자료.hwp

닫기

혼(魂).창(創).통(通)을 지닌 Future Creator

(별첨)

ETRI 연구실별 지원가능 기술

2013. 12.

<실별 지원기술 소개- 융합기술연구부문>

신청연구실코드

신청연구실(팀)

지원기술

A-1-1

자율주행시스템연구실

. 차량에 탑재 가능한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기술 개발 :

운전자 상태 인식 모듈(응용분야: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 운전자/자동차 협력형 자율주행을 위한 횡방향 제어 기술 개발 : 횡방향 제어기(응용분야: 자율주행차)

A-1-2

자동차IT융합연구실

. 차량 센서값의 데이터마이닝을 통한 고장예측 기술: 데이터마이닝을 위한 고장예측 기술과 실시간 차량 데이터기반 고장예측 기술(응용분야: 자동차/기계 부품, 차량진단기, 차량단말)

. 차량-IT 기반 융합 서비스 핵심 S/W 기술: 상황인지 기반 다중통신 기술, 에코 드라이빙, e-Call PAYD 기술

(응용분야: 차량 무선통신, 차량 단말, e-Call/PAYD 서비스)

A-1-3

자동차인터랙션연구실

. USN기반 차량 검지 기술(무선센서네트워크와 차량 존재유무 판단 서비스 분야)

. 운전자 인터랙션 기술(운전자 정보 제공분야)

A-1-4

자동차인프라협력연구실

. 레이져스캐너 이용 차량 전 측방 장애물인지기술(차량이동형 또는 고정형)

. 차량 장착형 영상센서와 디지털 맵을 이용한 위치인식기술(무인자동주차기술)

. 주행 및 주차 서비스를 위한 경로 생성 기술(무인자율주행분야)

A-1-5

조선해양IT융합연구실

. CSDB를 이용한 조선 기자재 원격 유지보수 기술(선박 분야)

. 광대역 해상통신 기술(해상통신 분야)

A-2-1

loT플랫폼연구실

. IoT 미들웨어 기술 : 스마트폰 탑재 가능한 경량형 IoT 미들웨어 (응용분야 : M2M/IoT 시스템 및 정보 서비스 분야)

. 빅데이터 기반 RFID 정보 서비스 기술 : 빅데이터 기반 RFID EPCIS 및 정보 서비스 (응용분야 : 물류/제약 유통)

A-2-2

사물통신·센서연구실

. 초절전 센서네트워크 핵심기술개발 : 초절전 센서노드 SoC 및 고신뢰 시분할 DSME MAC 기술 (응용분야 : IoT Network Solution)

. UHF (900MHz) 대역 보안 RFID 기술 : 태그 칩 (응용분야 : 고가물품 인증/ 개인 보안 인증)

. RFID 기반 RTLS 기술 : 시스템 기술 (응용분야 : 사물 위치추적)

. 고 신뢰성 해양 센서 노드 및 센싱 요소 기술 개발 : 환경/수질 센서노드(응용분야 : 온도,습도,CO2,VOC, 수온,전도도,pH,탁도,DO)

. NFC & 무선충전 공용시스템 개발 : NFC 기반 무선충전 Cold Chain (응용분야 : NFC태그, 혈액관리, 신선 식품 유통)

A-2-3

지능형loT단말연구실

. 스마트 빌딩 적용 자율제어형 센서/액추에이터 기술(응용분야 : 건물/에너지관리 분야)

.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와 센서네트워크와의 상호 연동을 통한 개인 중심 생활 밀착형 서비스 지원 SW 기술(응용분야 :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지원 분야)

A-2-4

사물감성융합연구실

. 광역 식물 공장 통합 미들웨어 플랫폼 기술 개발 : 미들웨어, 플랫폼 (응용분야 : 농업 IT, 식물공장)

. 감성신호 센싱 디바이스 기술 개발 : 생체 및 환경신호 센서 및 감성신호처리 (응용분야 : u-health, 신변보호시스템, 실버케어시스템 등)

A-2-5

사물인지연구실

. UHF (900MHz) 대역 RFID 기술 : RFID 리더, 태그칩, 리더/태그안테나 (응용분야 : 물류/자동차/항만 자재 관리)

. HF (13.56MHz) 대역 RFID 기술 : RFID 리더, 태그, 다량태그 일괄 인식, NFC 기술 (응용분야 : 스마트 게임 시스템, NFC 통신)

. 센서 태그 기술 : 센서태그 및 리더 (응용분야 : 센싱 모니터링 시스템)

A-3-1

3D인지플랫폼연구실

. 범용 로봇주행 라이브러리 uRON(응용분야: 로봇 및 자율주행 시스템)

. 얼굴 검출 소자 기술(응용분야 : 로봇 및 지능형 정보 기기)

A-3-2

지능로봇제어연구실

. OPRoS 로봇 SW 공통 플랫폼 기술(응용분야 : 로봇, 스마트 기기 등)

A-3-3

인간로봇상호작용연구실

. 사용자 정보인식 기술: 사람검출/추종, 얼굴/시선방향 검출, 성별/표정/얼굴/신원인식, 자세/제스처/행동인식(응용분야: 로봇, 지능형 차량, 지능형 CCTV, 스마트 기기)

. 실환경 객체 정보인식 기술: 물체검출/추적/인식, 문자/기호 검출/인식(응용분야: 로봇, 스마트 기기, 번호판인식기)

A-3-4

위치/항법기술연구실

. 5m 정밀도의 위치기반서비스 지원 플랫폼 기술(응용분야 : 위치인식서비스)

. 스마트폰 기반의 보행자 정밀 위치인식 및 항법 기술(응용분야 : 위치인식서비스)

A-3-5

공간정보기술연구실

. u-GIS 분석엔진 (응용분야: 센서네트워크 및 광역공간정보분석)

. 항공삼각측량 기술 (응용분야 ; 3차원 공간정보 구축)

A-3-6

지식융합서비스연구실

. 개인경험 수집, 분석 기술(응용분야 : 개인경험 기반 추천 서비스)

. 약물 부작용 분석 기술(응용분야 : 약물 부작용 서비스)

A-4-1

실감감성플랫폼연구실

. 실감미디어 저작, 재현, 서비스 프레임워크 기술

. 생체정보기반 감성추론 및 기능성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기술

A-4-2

자율제어미들웨어연구실

. WiFi 스마트가전 자동설정 기술 미들웨어, 스마트폰앱 (응용분야: 스마트가전, M2M 디바이스 등)

. SAN 기반 원격 선박 유지보수 기술 미들웨어 (응용분야: 스마트선박 장치, 선박 게이트웨이 등)

A-4-3

에너지IT기술연구실

. 스마트 미터링/제어 하드웨어 및 제어 드라이버 기술

. 에너지관리 서비스 소프트웨어 기술(홈, 빌딩 및 원격 제어)

A-4-4

WPAN응용연구실

. Smart Utility Network(SUN) 무선통신 기술

. TV White Spac(TVWS) WPAN 무선통신 기술

. Smart Water Grid(SWG) 통신 기술

A-4-5

LED통신연구실

. LED 조명 융합 가시광 무선통신 기술

. LED 조명 융합 쌍방향 네트워킹 및 시스템조명 기술.

A-5-1

바이오메드연구실

. 펨토초 레이저 제작 기술( 응용분야 :레이저 가공 분야 )

. 진단용 바이오칩 기술( 응용분야: 혈액, 소변 등 체액 분석 기술)

. 나노소자 제작기술(응용분야: 바이오센서, 가스센서 등 )

A-5-2

의료영상연구실

. 콘빔CT/Tomosynthesis용 고속 영상 reconstruction 기술 (응용분야 : 의료영상 기기)

. 소형 생체신호처리(심전도, 활동량) 모듈 기술 (응용분야 : 만성질환/비만/운동관리 시스템)

A-5-3

바이오정보연구실

. 빅데이터 의료 데이터 분석 기술: 대용량 의료 데이터 데이터에 대한 처리/분석/예측 기술

. 바이오인포메틱스 기술 : 유전체 데이터 처리, SNP, 단백질 구조 시각화 기술

. u-헬스 기술: 국제표준기반 헬스 플랫폼, 스마트 신발, 스마트 약복용 관리 기술 등

A-5-4

의료소자연구실

. 차세대 의료영상기기용 SiPM 센서 (응용분야 : 광센서, 방사능센서, 의료기기)

. 형광 및 광음향 융합 암진단 프로브 (응용분야 : 유방암 진단장치)

A-6-1

스마트포스트연구팀

. 우편자동화 기기 운영 및 제어 기술 ( 응용분야 : 우편 자동접수기, 우편 접수배달 통합기 )

. 무인우체국 고객편의 향상 및 운영관제 기술 ( 응용분야 : 우편 접수정보시스템, 무인우체국 )

A-6-2

주소정보연구팀

. 우편용 주소문자 인식 기술 개발 : 광학 문자 인식 모듈 (응용분야 : 우편 자동화 기기)

. 우편번호 검증 기술 개발 : 고속 우편번호 검색 모듈 (응용분야 : 우편번호 검색 및 정제)

A-6-3

물류프로세스연구팀

. 통합 물품구분 상위 시스템 기술 개발 : S/W (응용분야 : 소포구분기, 물품 분류기)

. 물품분류용 제어 기술 개발 (응용분야 : 소포구분기 및 물품분류기 H/W)

A-7-1

IT융합기술개발팀

. 다차로 차량정보인식기술: 차량/차선인식, 다중번호판검출/인식(방범시스템, 주차관리, 주차/신호위반단속)

. 스마트카메라용 휴먼인지기술: 안면/사람인지(스마트카메라/단말기, 시설물관리/보안, People counting/엔터테인먼트)

A-7-2

임베디드시스템연구팀

. 표준기반 온실 운영 시스템 기술 (온실통합관리 시스템, 온실 환경컨설팅)

. 온실 복합환경제어 플랫폼 기술 (온실환경 제어, 온실복합환경제어 시스템, 온실관리, 온실운영)

A-7-3

자동차IT플랫폼연구팀

. 차량용 스마트센서 모듈 기술 : 레이더/비전 센서 모듈 기술 (응용분야 : 차량용 운전자보조시스템)

. 차량용 스마트센서 SW 플랫폼 기술 : 단일/융합 센서 신호처리 기술 (응용분야 : 차량용 운전자보조시스템)

A-8-1

임베디드SW플랫폼연구실

. 이기종 멀티코어 기반 고성능/에너지효율형OS, 개발도구 및 웹가속 프레임워크 기술(응용분야: 스마트기기)

. 99.99% 이상 고가용성 지원 OS 기술(응용분야: 차세대 네트워크 장비, 산업용 제어 기기)

A-8-2

CPS연구실

. 대규모 CPS 통신 미들웨어 기술(응용분야: 국방, 소방방제, 스마트그리드, 공장자동화 등)

. 고신뢰 CPS SW 개발 프레임워크 기술(응용분야: 국방 무기체계, 무인시스템, 자동차, 공장자동화 등)

A-8-3

모바일서비스플랫폼연구실

. Wi-Fi P2P기반 인스턴트 커넥션 기술 (응용분야: 모바일 쿠폰/광고)

. 하이퍼 커넥션 서비스 기술 (응용 분야: 증강 현실)

A-8-4

실시간SW연구실

. 센서노드용 운영체제 기술 (응용분야: 스마트그리드/센서네트워크)

. Zigbee IP 표준 네트워크 스택 기술 (응용분야: 스마트그리드/홈네트워크)

A-8-5

차세대OS연구실

. 국방항공용 실시간 운영체제 기술 (응용분야: 실시간 제어 시스템, 항공 시스템, 임베디드 시스템)

. 고신뢰성 임베디드 가상화 커널 (응용분야: 자동차, 제어시스템)

A-9-1

멀티미디어프로세서연구실

. 임베디드 저전력 CPU 기술개발 : 차량용 AP SoC, 스마트 기기용 AP SoC, MCU (응용분야 : 자동차 전장/스마트기기 부품)

. 초고해상도 비디오 코덱 기술개발 : HEVC 코덱 SoC, 멀티미디어 SoC (응용분야 : DVR/CCTV 시스템/셋탑박스/UHD TV 부품)

A-9-2

RF/Analog SoC연구실

. 감시정찰 응용 임펄스 바이오메트릭 Radar 칩 및 신호처리 개발: 임펄스 레이더칩 설계, 신호처리 기술 (응용: 군수, 의료, 로봇 등)

. Digital RF SoC 설계기술 (응용: 통신용 RFIC 등)

A-9-3

통합융합SoC연구실

. 모바일 방송 수신 SoC 기술

. LTE/LTE-A 모뎀 SoC 기술

A-9-4

휴먼인터페이스SoC연구실

. 고속 인체통신 및 컨트롤러 SoC 기술

. 인체활동 기반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실별 지원기술 소개- 방송통신미디어연구부문>

신청연구실코드

신청연구실(팀)

지원기술

C-1-1

스마트TV시스템연구팀

. 스마트TV Set Top Box 기술

.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 기술

C-1-2

스마트TV서비스연구팀

. 스마트TV 방송광고 서비스 기술 개발 : 시청자 프로파일 추론엔진(응용분야 : 스마트 광고/ 맞춤형 광고)

. 스마트TV 양방향 증강방송 서비스 기술 개발

  (응용분야 : 차세대 방송/인터넷 미디어 서비스)

C-1-3

스마트TV미디어연구팀

.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 기반 동적 적응형 스트리밍 기술 개발: Live-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생성 및 플레이어 렌더러(응용분야: 인터넷 미디어 재생 및 서비스)

. 하이브리드 미디어 기술 개발: 방송통신 하이브리드 콘텐츠 동기화기(응용분야: 방송/인터넷 미디어 서비스)

C-2-1

케이블방송연구실

. 디지털 케이블 방송 송수신 기술 (다중화, 제한수신 및 PSIP/SI)

. 케이블 기반 실감 방송 기술 (3DTV, UHDTV 등)

. 디지털 케이블 전송 기술 (고효율 변복조 기술, 고속 MAC 프레임 처리 기술)

C-2-2

지상파방송연구실

. DTV를 활용한 Wake-up 긴급경보 방송시스템 기술 개발 : 부가데이터 전송 기술 (응용분야 : 저속 광역 데이터 송수신)

. 주파수 공유형 지상파방송 기술 개발 : LDPC 부복호 기술 (응용분야 : 유/무선 통신)

C-2-3

입체방송연구실

. 무안경 다시점 3D 비디오 재현 기술개발 : 다시점 영상 합성/픽셀다중화 (응용분야: 3D 디지털사이니즈/무안경 3D디스플레이)

. 지상파 양안식 3DTV 방송시스템 개발 : 3DTV 수신기 (응용분야: 3DTV Set-top Box/player)

C-2-4

모바일방송연구실

. 지상파 DMB (T-DMB) 시스템 기술 개발

(응용분야 : 디지털 방송 다중화기 및 분석기)

. 지상파 DMB 전송 고도화 기술 (AT-DMB) 개발

(응용분야 : 디지털 방송 다중화기 및 분석기)

C-3-1

영상미디어연구실

. 비디오 부호화 기술: HEVC 비디오 코덱, Scalable HEVC 비디오 코덱

(응용분야: HDTV/3DTV/UHDTV 방송, 멀티미디어 응용)

C-3-2

감성미디어연구실

. 고품질 파노라마 동영상 기술 개발 : 파노라마 동영상 생성 및 렌더링 (응용분야 : 전시, 공연, 홍보 등)

. 정밀 시선추적 기술 개발 : 원거리 (1.5~2.8m) 및 근거리(60~80cm) 정밀(±0.5~1.0°) 시선추적 장치 및 알고리즘

(응용분야 : 광고 분석, 멀티미디어 제어 등)

. 감성기반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저작 및 재현 기술 개발 : 감성정보 저작도구 및 재현 장치 (응용분야 : 4D 영화관/체험관 등)

C-3-3

오디오연구실

. 오디오 부호화 기술: 다채널/다객체 오디오 코덱

(응용분야: 디지털 시네마/디지털 방송/디지털 라디오)

. 디지털 시네마 오디오 처리 기술: 저작도구 및 프로세서

(응용분야: 디지털시네마)

. 오디오 재현 기술: flexible 실감 오디오 재현 기술

(응용분야: 디지털 TV/사운드바)

C-3-4

디지털홀로그래피연구실

. Digital holographic 기술 : 프린팅 및 디스플레이

(응용 분야 : 광고, 전시, 인쇄물 등)

C-4-1

스마트미디어플랫폼연구실

. 스크린간 웹 콘텐츠 이동, 협업 워크스페이스 및 모바일 클라이언트 기술 (응용분야: 스마트 교육 및 교실)

. 상황인지형 텔레스크린(디지털 사이니지) 플랫폼 기술

(응용분야 :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웹 기반 영상전화 서비스)

C-4-2

모바일미디어응용기술연구실

. Mobile WiMaxPHY/MAC 기술

(응용분야: Mobile WiMax, Mobile Multi-hop Relay)

. Mobile IPTV의 이동방송망 구성 및 제어기술

(응용분야: 3G/4G MBS 장치)

. 저전력 무선센싱 기술의 PHY/MAC, 네트웍 기술

(응용분야: 저전력 무선센싱장치, 철도 무선센싱장치)

. 차세대 브랜드 콜처리시스템(UTIS) 기술

(응용분야: VoIP, 승객맞춤형광고, SNS, PTT, 그룹통신)

C-4-3

방송미디어클라우드연구실

. 클라우드 기반 웬/앱 가상화 및 thin 클라이언트 기술

(응용분야: IPTV, 케이블 TV, 스마트TV등 방송 시스템)

. 실감미디어 처리를 위한 VDI 및 고속전송프로토콜 기술

(응용분야: 미디어 처리 시스템)

C-4-4

클라우드미디어네트워킹연구실

. 융합미디어 품질관리용 다채널 방송서비스 전송스트림 분석기술(응용분야: 다채널 융합방송 서비스 개발지원 시스템)

. 스마트홈 웹오브젝트 기반 가전 속성 및 자원 관리기술

(응용분야: 에너지관리 및 모바일 연동 지능형 가전 서비스)

. 고품질 멀티미디어 가상화 화면처리 및 인터렉션 제어기술

(응용분야: 클라우드 기반 게임 및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C-5-1

위성시스템연구실

. 위성 관제시스템 기술 개발(응용분야: 정지궤도 및 저궤도 위성관제, UAV 관제운용, 로켓발사 관제운용)

. 통신위성 통신중계기 기술 개발(응용분야: 위성통신 중계기 감시 운영, 위성통신 강우감쇠 분석, 위성시스템 개발 감리)

C-5-2

위성광대역방송통신연구실

. 광대역 위성방송 전송 기술 개발 (응용분야 : 위성방송통신 송수신기/초고속 위성전송 모뎀)

. VSAT기반 위성통신시스템 기술 개발 (응용분야 : 양방향 위성통신 시스템/위성인터넷 시스템/재난통신시스템)

C-5-3

위성휴대방송통신연구실

. 위성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 및 전송 기술 개발 (응용분야: 위성휴대 단말 개발)

. 위성 시스템 전파 간섭 분석 기술 개발 (응용분야: 간섭 분석 시뮬레이터 개발)

C-5-4

위성무선RF기술연구실

. 위성 탑재체 안테나 및 RF 기술 개발

. 위성 단말 안테나 및 RF 기술 개발

. 레이더/이동통신 등 융합 RF 기술 개발

C-5-5

위성항법연구실

. 다원화 항법주파수 감시 및 이용기술 개발 : GPS 혼신원 감시시스템 및 신호교란 극복장치 (응용분야 : 항재밍 시스템)

. 위성항법 지상국 시스템 기술 개발 : 고정국용 수신기 (응용분야 : 위성항법 수신기).

. 2세대 탐색구조단말기 기술 개발 : 해상용 탐색구조단말기 (응용분야 : (응용분야 : 해상/항공/개인용 탐색구조단말기)

C-6-1

스펙트럼공학연구실

. 전파전파 특성 분석 Ray-Tracing S/W 및 전파환경 측정 기

- 광선추적 방법을 이용한 전파전파 특성 분석기술(응용분야 : 이동, 고정통신 분야)

. 생활 전파 영향 측정 및 분석 기술 등

C-6-2

마이크로파기술연구실

. 마이크로파 및 밀리미터파 통신 시스템 설계

. RF 부품 및 모듈, 안테나 설계.

C-6-3

인지무선기술연구실

. TV White Space 이용 통신 기술: 백홀 전송 링크 설계 기술, DataBase 접속기술 (응용분야: TVWS 백홀 시스템, DB 기반 TVWS 통신기술)

. White Space 주파수 공유 기술: 모뎀 설계, DataBase 접속기술, 스펙트럼 센싱 기술 (응용분야: 주파수 공유기반 소형셀 무선접속기술)

C-6-4

전자파환경연구실

. 전자, 전기기기의 인체영향 평가 기술

. EMC 엔지니어링 기술

C-6-5

생활전파기술연구실

. 고격리/다채널 MIMO 안테나 기술 개발 (응용분야 : 고속 데이터 전송 무선 통신 시스템)

. 차량 충돌 방지용 빔 성형 안테나 기술 개발 (응용분야 : 차량 충돌 방지 시스템)

C-6-6

전파신호분석연구실

. V/U/SHF대역 전파측정 기술개발 : 안테나, RF수신기 및 신호처리(응용분야: 전파관리, 국방, 항행 관련 산업)

. V/U/SHF대역 방향탐지 기술개발 : 안테나, RF수신기 및 신호처리(응용분야: 전파관리, 국방, 항행 관련 산업).

<실별 지원기술 소개- 통신인터넷연구부문>

신청연구실코드

신청연구실(팀)

지원기술

D-1-1

SDN기술연구실

. SDN 컨트롤러 및 응용 기술 개발: SDN NOS 소프트웨어 및 개방형 망 제어관리 기술(응용분야: 클라우드 및 엔터프라이 즈 네트워킹 시스템)

. 유무선 네트워크/기능 가상화 제어 및 관리 응용 기술(응용분야: 스마트 가상 인프라 네트워킹, NFV)

. 유무선 네트워크 트래픽 모니터링 및 analysis 기술 개발(응 용분야: QoS, 보안)

D-1-2

네트워크SW플랫폼연구실

. 모바일 멀티패스 라우팅 기술 개발 : 이기종 무선 인터페이스 관리, 이기종 무선 인터페이스 로드 밸런싱 기술 (응용 분야 : 이동체)

. 고가용성 지원 네트워크 SW 플랫폼 기술 개발 : 고가용 프레임워크, 네트워크 프로토콜 관리 기술 (응용분야 : L2/L3 네트워크 장비)

D-1-3

인터넷서비스플랫폼연구실

.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기반 서비스 플랫폼 기술

. 시맨틱 서비스 컴포지션 기술

D-1-4

스마트워크연구실

. 고품질 영상회의 및 텔레프레즌스 플랫폼 기술

-다자간 분산 회의 프로토콜 및 실감 회의 기술 (응용분야:

영상회의시스템, 원격교육, 실감 텔레프레즌스 솔루션)

. HD(고품질) 보이스 코덱 및 품질제어 기술

- 광대역 및 슈퍼와이드밴드급 코덱 기술 및 실시간 음성

패킷손실 복구 기술(응용분야: 모바일 VoIP, VoLTE)

D-2-1

B4G이동통신방식연구실

. LTE/LTE-Advanced 표준규격 기술

D-2-2

초고속모뎀연구실

. LTE 기반 Link-Level Simulator

. LTE 기반 기지국 Multi-core DSP 모뎀 기술

D-2-3

소프트기지국연구실

. LTE-Advanced 기지국 L2/L3 소프트웨어 기술

. LTE-Advanced EPC 소프트웨어 기술

D-2-4

이동단말연구실

. 이동통신 단말 프로토콜 및 소프트웨어 설계 기술: 이동통신 단말 또는 시험 장비

. 모바일 D2D(device to device) 응용 서비스 설계 기술: 모바일 말 응용 서비스

D-2-5

이동RF연구실

. 이동통신용 기지국 RF 시스템 기술(기지국 RRH 시스템 기 술) (응용분야: 이동통신 기지국 RF 시스템)

. 이동통신용 전력증폭기 기술 (기지국용 Class-S 전력증폭기 기술) (응용분야: 기지국 전력증폭기)

D-3-1

모바일액세스연구실

. 4G LTE 계열 시스템기술(단말 및 기지국 L2/L3 프로토콜 기술, 시험용 진단장치 기술, 소형시지국 프로토콜 기술)

. 5G 시스템 프로토콜 기술( 단말 및 기지국 L2/L3 프로토콜 기술, 단말 및 기지국 플랫폼 기술)

D-3-2

무선분산접속연구실

. 완전분산형 D2D 무선접속 및 미들웨어 기술: 단말기 및 응용(근접인식기반 D2D 응용)

D-3-3

클라우드기지국연구실

. mobile WiMAX(IEEE 802.16m) 클라우드 기지/단말 기술

. 3GPP LTE Rel.8/10 클라우드 기지국 기술

. TI DSP기반 SDR(Software Defined Radio) 기술

. 편파 안테나 기반 무선 전송용량 증대 기술

D-3-4

무선접속제어시스템연구

. IEEE802.16m 기반 클라우드 기지국 MAC 기술

. 군용 기동노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술

. 밀결합 위치 측위기술

D-4-1

이동기가전송연구실

. mmWave 기반 이동무선백홀 송수신 기술

(응용분야: 지하철, 열차, KTX 등 백홀 단말 및 기지국)

D-4-2

무선랜전송연구실

. IEEE 802.11 PHY 기술

D-4-3

무선랜접속제어연구실

. IEEE 802.11 MAC 기술

D-4-4

무선자율통신연구실

. 스마트 모바일 커넥션을 위한 시선통신 기술 (응용분야 : 스 마트폰, 태블릿PC 등 모바일 기기)

. 근접거리 무전원 데이터 순간전송(Zing) 기술 (초고속 NFC) (응용분야 :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모바일 기기, 무전원 태그)

D-4-5

통합무선방식연구실

. 사용자 참여 기반 모바일 서비스 체감품질 향상 기술 개발 : 소프트웨어 앱 (응용분야 : 스마트 단말)

. 고집적 다중안테나 기반 빔 다이버서티 기술: Compact MIMO 안테나 (응용분야: 무선통신 AP)

D-5-1

넷컴퓨팅융합연구실

. IP Packet Forwarding 관련 Data Plane기술(응용:네트워크 장비)

. Flow 기반 QoS 관리 및 DPI 기술(응용:네트워크 장비)

. SDN Switch/Router 플랫폼 기술(응용:네트워크 장비)

D-5-2

스마트노드플랫폼연구실

. OpenStack 기반 통신 및 클라우드 통합 관리 기술

. 네트워크 가상화 및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기술

. 가상 스위치 기술

D-5-3

클라우드네트워킹연구실

. 스마트 라우터 및 게이트웨이 소프트웨어 기술 (IPv4/IPv6

라우팅 프로토콜, 네트워크 이동성, DDoS 대응기술 포함)

. 가상사설클라우드(VPC) 네트워킹 기술 (secure 터널링, Multi-tenant VPN, Mobile VPN/VPC 포함)

D-5-4

네트워크품질연구실

. DPI 플랫폼 기술: DPI 기술관련 하드웨어플랫폼, 플랫폼 관 리시스템 및 정책서버(응용분야: 네트워크 모니터링, 과금, 비용정산시스템, 응용 보안시스템)

. 네트워크 시험기술: 시험방법론 및 적합성 평가(응용분야: 시 스템개발시 적용)

D-6-1

광전달망시스템연구실

. 3.2Tera급 광-회선-패킷 통합 스위칭 시스템 H/W 기술 개 발: 11.5Gb/s급 고속 백플레인, 이더넷 라인 인터페이스 (GbE, 10GbE, 100GbE), 스위치 패브릭, 제어 프로세서 등 각종 H/W 설계 기술 (응용분야: 캐리어 이더넷 스위치, 패킷 전달 시스템, 라우터 등)

. OAM 및 보호절체 기술 개발: MPLS-TP 또는 이더넷 네트 워크의 선형/링/메쉬 보호절체 기술 및 OAM 기술 (응용분 야: 캐리어 이더넷 스위치, 패킷 전달 시스템, 패킷-광 통합 전달 시스템 등)

D-6-2

광네트워크제어연구실

. 광-회선-패킷 다계층 통합 시스템용 시스템 S/W, 패킷 전송 망(PTN) 시스템 S/W, GMPLS Control plane 기술, MPLS-TP 기술, G.709 OTN 기술(응용 분야 : 광 (WDM,OTN)전송 장비, 패킷 전송 장비, 광-회선-패킷 통합 시스템)

. SDON (Software Defined optical transport Networking) 기술, 광전송망 Openflow 기술, 광전송망 Controller 기술, 광전송망 응용 서비스 기술(응용 분야 : 통신사업자 전송망 제어 플랫폼, 대규모 기업망 제어 플랫폼)

D-6-3

광전송연구실

. 초고속 광전송 기술: 10G/40G/100G/400G급 장거리 광송수 신기 기술, 이더넷 광송수신기 기술, ROSA 및 광 다중/역다중 기(응용분야: 단거리/장거리 광송수신기 모듈 등)

. OTN 라인 인터페이스 기술: ODUk (k=0,1,2,3,4,flex) 다중화핑, ODU Switching, OTUk (k=2,4) framing/FEC기술 (응용분야: 광 회선 패킷 통합 시스템, 광 전달망 시스템 등)

D-6-4

광가입자연구실

. TDM-PON Reach Extender 기술: Legacy PON의 전송거리 확장 및 광코어 절감기술로 EPON, GPON, 10G EPON

. Reach Extender를 위한 FPGA 및 광링크 기술(응용분야: 광역 액스 장비)

. 액세스 장비용 저가형 광 트랜시버 기술: NG-PON2 OLT 10G x 8채널 광 트랜시버, ONT용 10G 파장가변 광 트랜시 버 기술(응용분야: NG-PON2 장비)

D-7-1

지역산업기술개발실

. 5G급 고속신호 전송용 FPCB 설계기술 (응용분야 : 다채널 광모듈/ 디지털 광링크 부품)

. 10Gbps One TO-CAN BiDi 모듈 패키징 기술 (응용분야 : PON 및 광중계기)

D-7-2

광단말솔루션연구실

. 저전력 광가입자망 기술 개발: ITU-T G.987/G.988 표준 기 XG-PON MAC OMCI 기술 (응용분야: 고속 광가입자망)

D-7-3

관제디바이스연구실

.IETF COAP 센서접속 프로토콜 기술

.광융합 CCTV 영상관제 플랫폼 기술

D-7-4

광응용부품연구팀

.광가입자망용 광송/수신 모듈 패키징 기술(응용분야:광통신)

.A2LA 국제공인시험 지원: 특성 및 신뢰성 시험 (응용분야: 광통신/광응용부품)

<실별 지원기술 소개- 소프트웨어연구부문>

신청연구실코드

신청연구실(팀)

지원기술

E-1-1

암호기술연구실

. 디지털 포렌식 기술

. 데이터베이스 암호 기술 (순서보존암호, 포맷보존암호)

E-1-2

인증기술연구실

. 모바일 전자영수증 기술(활용분야 : 스마트 결제 서비스)

. 모바일 인증 및 전자서명 기술(활용분야 : 사용자 인증 서비스)

E-1-3

네트워크보안연구실

. 사이버 해킹사고 분석 및 방어기술

. 해킹 테스트베드 운영을 통한 개발 시스템 취약성 분석

E-1-4

모바일보안연구실

. MTM기반 스마트 단말 보안 기술

. 스마트워크 단말 보안 기술

E-1-5

디바이스보안분석연구실

. 스마트디바이스 보안 취약성 검증 기술(부채널 분석)

. 무선랜 취약성 분석 기술

E-1-6

영상보안연구실

. 원거리 사람 식별 및 검색 기술 개발: 영상인식 (응용분야: 얼굴인식, 홍채인식, 지문인식, 지능형 CCTV, 영상분석 등)

. 유해 컨텐츠 차단기술 개발 : 멀티미디어 분석 (응용분야 : 자녀보호, 스마트 스쿨, 컨텐츠 필터링, 영상검색 등) .

E-1-7

융합보안연구실

. 패킷 필터 기반 산업용 방화벽(응용분야 : 산업제어시스템보안)

. Modbus 방화벽(응용분야 : 산업제어시스템보안)

E-2-1

데이터관리연구실

. 정형/비정형 스트림 분산 병렬 처리 기술

. 대규모 정형 스트림 처리 기술.

E-2-2

분석소프트웨어연구실

. 크로스도메인 소셜네트워크 처리기술

. N-스크린서비스를 위한원격UI 제작 및 변환기술

E-2-3

휴먼컴퓨팅연구실

. 디바이스 소셜리티 기반 무설정 연동 기술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IoT 자동연동 응용 시스템)

. 라이프로그 기반 건강 모니터링 기술 (개인 건강관리 시스템).

E-2-4

실감UI/UX연구실

. 동박전사 기반의 직물 회로 보드 기술 (응용분야: 직물기반 LED 디스플레이)

. 라이브북 서비스 및 맨손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E-3-1

언어처리연구실

. 문서 및 대화체 자동번역 기술 개발: SW(응용분야: 문서 자동번역,

메신저 자동번역, 자동통역)

. 대화처리 기술 개발: SW(응용분야: 외국어 교육용 대화처리, 차량용

대화처리)

E-3-2

음성처리연구실

. 내비게이션용 대화체 음성인식 기술

. 영어학습을 위한 한국인발성 영어 음성인식 기술

E-3-3

지식마이닝연구실

. 소셜웹 이슈 탐지-모니터링 기술 개발 (응용분야: 소셜 빅데이터 분석 기술, 소셜웹 트렌드 분석 기술)

. 자연어 질의응답 기술 개발 (응용분야: 텍스트 빅데이터 질의응답, 콜센터 질의응답, VOC 질의응답)

E-3-4

자동통역연구실

. 한, 중, 영, 일 등 다국어 음성인식 기술

. 자동통역을 위한 멀티모달 기반 음성이해 기술.

E-4-1

고성능컴퓨팅시스템연구

. EAOS 및 클라우드 에너지 사용량 측정과 모니터링 기술

. 서버 기반 SW 서비스의 분할 실행 기술

. 유전체 분석용 슈퍼컴퓨팅 시스템 기술

E-4-2

서버플랫폼연구실

. 클라우드 DaaS 시스템 및 단말 기술 개발 : VDI 솔루션 (응용분야 : 클라우드 테스크탑 서비스)

. 고집적 저전력 프로세서 기반 싱글시스템 지원 시스템 가상화 심 기술 개발 : ARM 서버 하이퍼바이저 (응용분야 : 클라우드 ARM 서버)

. 유전체 분석용 슈퍼컴퓨팅 시스템 개발 : 계산 성능 가속(PCI Express) (응용분야 : 슈퍼컴퓨팅 연결망)

E-4-3

스토리지시스템연구실

. 고성능 분산 파일 시스템 기술 개발: SW(응용 분야: 클라우드 /빅데이터 스토리지)

<실별 지원기술 소개- 차세대콘텐츠연구소>

신청연구실코드

신청연구실(팀)

지원기술

F-1-1

CG기반기술연구실

. 다시점 영상 기반 3D 얼굴복원 기술 (응용분야: 의료<치과시뮬레이션)

. 실측 기반의 3D 아바타 생성 및 가상 피팅 기술 (응용분야:의류,패션 광고)

F-1-2

인터랙티브 입체영상연구실

. 적외선을 이용한 동작 센싱 및 인식 기술 : 인터랙티브 콘텐츠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응용분야 : 전시 콘텐츠, 이러닝, 게임, 자동차 등)

. 2D 영상을 3D 입체 영상 변환하는 기술 : 3D 입체 변환 프로그램 (응용분야 : 3D 영상 제작 프로덕션)

F-1-3

차세대영상연구실

. 회전 궤적 인식 및 물리 시뮬레이션 기술 (응용분야: 스크린 골프, 야구/축구 아케이드 게임)

. 디지털 네이쳐 저작 기술 (응용분야: CG 영상, 교육, VR)

F-2-1

가상현실연구실

. 인터랙티브 모션 플랫폼용 다수 사용자 인터랙션 기술 : 모션 플랫폼 탑승자의 동작을 depth카메라로 추적하고 인식하는 기술 (응용분야: 모션플랫폼/Rider, 테마파크, 체감형 VR 콘텐츠)

. 개인용 안경형 디스플레이와 콘텐츠와의 3D 인터랙션 기술: 안경형 HMD상에 보이는 3D 콘텐츠와의 손가락 기반 공간 인터랙션 기술 (응용분야: HMD, VR/3D/4D콘텐츠, 게임)

F-2-2

지식이러닝연구실

. 체험형 학습 시스템 (응용 분야 : 교육)

. CI-BOOK 저작 도구 및 뷰어 (응용 분야 : 교육)

F-2-3

콘텐츠서비스연구실

. 콘텐츠 클라우드 및 스마트콘텐츠 테스트베드 기술지원: 온라인 가상화 서버 기술지원 및 스마트콘텐츠 검증을 위한 테스트베드 지원 (응용분야: 스마트콘텐츠)

. 스마트콘텐츠 이용자 정보 분석 기술지원: 이용자의 앱(어플리케이션) 활용 패턴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응용분야: 스마트콘텐츠)

F-3-1

콘텐츠저작권보호연구실

. 초경량 영상인식 기술 개발 : 초경량 영상 서술자에 의한Image/Video 식별 기술 (응용분야 : Image/Video 검색)

F-3-2

콘텐츠유통플랫폼연구실

. 4K급 디지털시네마용 마스터링기술 및 JPEG2000 코덱 (응용분야: 디지털시네마 패키징, 고해상도콘텐츠 편집/저장)

. 4K/3D 디지털사이니지 제작 및 디스플레이시스템 (응용분야: 초대형, 고해상도 사이니지 시스템, 전자칠판 등)

F-3-3

스마트게임플랫폼연구실

. 게임봇 탐지 및 대응 기술 개발 (응용분야: 온라인 게임)

. 스트리밍 기반 클라우드 게임 플랫폼 기술 (응용분야: 게임)

<실별 지원기술 소개- 사업화 본부>

신청연구실코드

신청연구실(팀)

지원기술

G-1-1

중소기업기술지원팀

. 고주파 시험 및 평가 기술 (응용분야: 이동통신 부품 시험)

. 신뢰성 시험 및 분석 기술 (응용분야 : 정보통신용 부품 및 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