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보도자료]대덕특구 원로과학자, 프레젠테이션 학문적 이론 집대성.hwp
Embargo : 없음
문의처 |
콘텐츠연구본부 콘텐츠보호관리연구팀 조맹섭 전문위원(010-8814-6030) E-mail : 홍보실 홍보팀장 김희철(042-860-0670) E-mail : 홍보실 홍보팀 박상규(042-860-4964) E-mail : |
||
배포번호 : 2011 - 62호 배포일자 : 2011. 9. 29(목) |
매수 : 보도자료 3매 (참고자료 3매 별도) |
배포처 : ETRI 홍보팀 |
대덕특구 원로과학자,
“프레젠테이션 학문적 이론 집대성”
- 조맹섭 ETRI 박사, 『프레젠테이션學 원론』 책 발간
- 심리학·인체공학·커뮤니케이션학 이론 접목 ‘프레젠테이션의 학문적 체계’ 완성
- 프레젠테이션의 A부터 Z까지 총정리... 대학 교재 등 활용
대덕특구 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한 과학자가 21세기 지식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에 있어 성공 필수조건인 프레젠테이션(presentation)의 학문적 체계를 완성해 화제다.
조맹섭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 박사(우측 사진)가 그 주인공이다. 조맹섭 박사는 심리학, 인체공학, 커뮤니케이션학의 이론들을 접목하여 프레젠테이션의 학문적인 기틀을 마련한 책『프레젠테이션학 원론』(시그마프레스 출판)을 지난 25일 발간했다.
이번에 발간된 책은 현대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급속도로 폭증되고 있는 프레젠테이션의 학문적인 체계를 개척하고, 이론과 실천 방안의 전파를 목적으로 집필됐다.
최근 미국, 영국, 일본 등에서는 프레젠테이션을 학문적인 이론의 바탕 위에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지식을 전파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상당 부분의 프레젠테이션이 주먹구구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파워포인트를 이용한 슬라이드 작성에만 치중하는 등 비능률적이고 불합리한 점이 한 두 가지가 아니었다. 학문적인 접근으로는 일부 대학에서 운영하는 동아리 형태의 프레젠테이션 연구 모임이 전부였으며, 대부분의 기업 등 조직에서는 이슈도출, 문제해결 등을 위한 임시방편적 도구로서 프레젠테이션을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에 발간된 책은 심리학, 인체공학, 커뮤니케이션학의 이론들을 프레젠테이션에 접목한 것으로 프레젠테이션의 학문적인 체계를 과학적으로 완성하여 일반인, 학생도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터득하여 실전에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집필됐다.
원로과학자이자 책 저자인 조맹섭 박사는 35년 이상을 대덕연구개발특구에서 근무하면서 연구개발 사업 수주 및 평가 시 발표자 또는 심사자로서 몸소 체득한 현장 경험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에서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프레젠테이션학을 정규과목으로 개설하여 심리학과 인체공학, 커뮤니케이션학 이론의 임상학적인 검증과 연구를 통해 얻어진 학문적인 해결점을 근간으로 이번 책을 저술했다. 이 책의 주요 내용은 연구기관과 대학교를 대상으로 30여 차례에 걸친 순회강연을 통해 완성했다.
저자 조맹섭 박사는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프레젠테이션이 하나의 체계적 학문으로서 자리매김해야 할 시점이 다가왔다”면서 “이 책이 주먹구구식으로 수행되어 온 프레젠테이션의 A부터 Z까지를 학문적으로 체계화시키고, 자신감과 에너지 넘치는 프레젠테이션 스킬의 배양서로서 우리나라 과학, 정치, 사회, 문화 분야에서 야기되는 주요 이슈들을 성공적으로 해결하는 촉매제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에 출판된 책은 일반 서점 등을 통해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책 가격은 19,500원이다.<보도자료 본문 끝>
<참고자료>
‘프레젠테이션학 원론’ 책 소개 |
|
지은이 조맹섭, 조윤지 판형 변 형 4 6 배 판| 면수 400쪽|값 19,500원|발행일 2011년 9월 25일 출판사 시그마프레스|ISBN 978-89-5832-995-4|분야 경영 |
|차례|
제1장 프레젠테이션의 정의 | 제2장 프레젠테이션의 목적 |
제3장 프레젠테이션의 종류 | 제4장 프레젠테이션의중요성과 필요성 |
제5장 프레젠테이션의 역사 | 제6장 성공하는 프레젠테이션 |
제7장 프레젠테이션의 기획 | 제8장 일정수립 |
제9장 목적과 목표 설정 및 제목결정 | 제10장 청중 및 장소 정보 분석 |
제11장 자료수집과 분석 및 가공 | 제12장 프레젠테이션 성공전략 |
제13장 슬라이드 디자인전략 | 제14장 연단공포증 해소방법 |
제15장 구두발표 | 제16장 시작 단계 |
제17장 말하기 | 제18장 보디랭귀지 |
제19장 상호작용 | 제20장 준비 빛 리허설 |
|책에서 소개하는 ‘성공을 보장 받는 프레젠테이션 팁’|
• 프레젠테이션은 치밀하고 구체적인 전략으로 준비하자
• 프레젠테이션을 성공하려면 선(先) 내용 창조, 후(後) 슬라이드 작업이다
• 프레젠테이션의 성공을 위해서는 기획단계에서 청중을 정확히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대비하자
• 스토리텔링, 결론⋅본론⋅결론 내용의 구성, 오프닝과 클로징에 대한 전략은 특별히 마련하자
• 좌뇌와 우뇌를 활용한 슬라이드를 디자인하자
•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와 유인물은 별도로 준비하자
• 슬라이드 디자인에는 스토리보드 활용, 애니메이션 적용, 타임 컨트롤 방법, 레이아웃 컨트롤, 컬러의 활용 원리, 텍스트와 폰트의 활용 방법 등을 합리적으로 고려하자
• 리허설은 발표 시간의 약50배 이상을 하자
• 조명을 너무 어둡게 하지 말고, 발표자는 스크린 옆에 바짝 붙자
• 강연대의 위치에 얽매이지 말고, 마이크는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를 구분하자
• 말은 천천히 하되 반드시 음성에 변화를 주자
• 청중과 스크린에 8 대 2의 시선배분을 하자
• 시선과 얼굴의 방향을 일치시키자
• 상황에 부합되는 얼굴 표정을 하자
• 제스처 동작은 말보다 약간 빨리 움직이도록 하자
|지은이 소개|
조맹섭(曺孟燮)
학력 _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통계학과 졸업
영국 록버러대학교, 이학 박사(Computer Science 전공)
경력 _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전문위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컴퓨터·소프트웨어기술연구소 감성공학연구부, 부장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부설 시스템공학연구소 기술정책연구실, 실장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시스템공학센터 통계분석연구실, 실장
고려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컴퓨터과학기술대학원, 겸임교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 및 전자공학 전공 대학원, 겸임교수
한국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교수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회장
한국색채학회, 부회장
한국멀티미디어 기술사협회, 이사
한국감성과학회, 이사
소프트웨어산업육성종합기획단, 기술개발반장
상훈 _ 동탑산업훈장 수상(1997)
저서 _
『파워 오럴 프레젠테이션』(2010),
『디지털 컬러의 기본 원리』(2006),
『디지털 컬러 프로세싱』(2006),
『색채학원론』(공역, 2003),
『Colour Image Science』(공저, 2002),
『컬러리스트 이론편』(공저, 2002)
조윤지(曺潤智)
영국 University of Leeds, 연구원
영국 University of Leeds 대학원, 박사과정 재학
영국 University of Leeds 대학원, 석사
한국과학기술원(KAIST) 대학원 정보통신공학과, 중퇴
경희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