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보도자료] ETRI, 킨텍스서 5대 신기술 일반에 공개 131004_최종.hwp
Embargo |
신문 : 10.7(월) 조간, 인터넷 : 10.6(일) 12시 |
|||||
배포일자 : 2013. 10. 4.(금) 배포번호 : 2013 - 51호 |
|
|||||
☎ |
홍보실 |
홍보팀장 |
정길호(042-860-0670) |
E-mail : |
||
홍보실 |
홍보팀 |
하태문(042-860-5906) |
E-mail : |
|||
매수 : 보도자료 2매 (참고자료 5매, 사진 5매) |
배포처 : ETRI 홍보팀 |
ICT 종합전시회‘한국전자전’참가
ETRI, 킨텍스서 5대 신기술 일반에 공개
- 첨단 ICT 연구개발성과 및 기술사업화 부스운영
- OLED, 무인발레파킹, 건물에너지, 태양광, 무선가전설치 등 소개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는 오는 7일부터 나흘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ICT 전시회인 ‘2013 한국전자전(KES 2013)’에 참가, 최신 연구성과물을 일반에 선보인다. 그동안 연구원서 개발한 다양한 ICT관련 핵심기술 들을 전시, 기술이전과 함께 대국민 홍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전시회를 통해 ETRI가 소개하는 기술은 ▲OLED 조명 ▲차량 자동유도 및 주차 ▲건물에너지 소비진단 및 실시간 효율관리 ▲태양광 모듈단위 통신정보처리 ▲알아서 척척 설치되는 가전기술 등이다.
먼저『OLED조명』기술은 기존의 광원보다 2배 이상 효율이 높고, 친환경적이면서 전력소모율을 대폭 줄여 주는 원천기술이다. 휘어지기도 하고 무선충전도 가능해 차세대 조명으로 각광받고 있다.『차량 자동유도 및 주차』기술은 일명 ‘무인 발레파킹’ 기술이다. 자동차가 스스로 도로 상황정보를 판단해 차량의 주행유도는 물론 주차까지 자동으로 제어해주는 기술이다.
아울러『건물에너지 소비진단 및 실시간 효율관리』기술은 건물설비의 운전 및 관리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분석을 통해 설비효율을 최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술이다. 또『태양광 모듈단위 통신정보 처리』기술은 태양광 패널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기술로 모듈 고장 시 발전량이 떨어지므로 모니터링을 통해 태양광을 모듈별로 검사, 전력선 통신기술을 연결, 모듈효율을 높이는 기술이다.
마지막으로『알아서 척척 설치되는 가전』기술은 스마트 가전을 쉽게 설치하는 기술이다. 집에서 무선가전을 설치하려면 그동안 무선가전과 PC를 USB케이블을 이용해 연결하고, 가전에 SW를 깔아야 하는 등 번거로웠는데, 본 기술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가전에 찍혀있는 QR코드를 인식시키면 자동적으로 알아서 척척 가전제품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치해준다.
한편, ETRI는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연구원에서 개발한 기술의 성공적인 사업화를 위해 기술개요, 우수성, 시장성 및 기대효과 등을 분석해 사전에 예고하는 ‘기술예고제’와 ‘융합기술 상용화 지원서비스’ 및 ‘ETRI 홀딩스’에 대해서도 별도 부스를 마련, 홍보할 계획이다.
또한, 오는 9일에는 ETRI가 지난해부터 운영 중인 제2기 ‘IT 어린이기자단’이 출동, 최신 전자정보통신 관련 다양한 부스를 체험해 보고 취재도 할 계획이다.
ETRI 김흥남 원장은 “이번 전시회는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연구성과물들을 일반에 공개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다. 국민들에게 ICT에 대한 최신동향을 한 눈에 보여줄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KES 전시회는 국내와 해외 45개국 2,500여명의 유력바이어들이 대거 참여하는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ICT 전문 전시회로, 국제 컨퍼런스 개최하는 등 ICT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기회의 장이다. <보도자료 본문 끝>
<참고자료>
『KES 2013』ETRI 참가기술 소개 |
|
1. OLED 조명 기술 (OLED Lighting)
기술개요 |
친환경적이면서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차세대 고효율 광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고효율 OLED 면광원 기술 스마트미디어 플랫폼, 무선전력전송 등의 기술과 OLED 조명기술의 융합으로 차세대 조명 기술 확보
![]() |
기술특징 |
ㅇ 우수한 색감, 높은 연색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초박형 평판광원으로 디자인의 우수성을 갖는 감성조명 기술 ㅇ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구성이 가능한 유연 조명, 사용자와 교감하는 교감형 스마트 OLED 조명 ㅇ 무선전력 전송 기술과 융합하여 미래 조명기술의 구현 ㅇ 고효율 광원 구현을 위한 소재.부품 기술 ㅇ OLED 조명 디자인 공모전 수상작 전시 |
응용 및 활용분야 |
ㅇ 친환경, 에너지 절감형 조명 ㅇ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 스마트홈 기술과 연동한 스마트 조명 ㅇ 무선 전력 전송 OLED 조명 ㅇ 고효율 OLED 광원 ㅇ 고효율 OLED 광원 구현을 위한 소재.부품 |
2. 차량 자동유도 및 주차 기술
(Cooperative Vehicle System for automatical guided driving and parking)
기술개요 |
운전자 안전과 편의를 지원하기 위해 인프라와 협력하여 도로의 상황정보를 인지/판단하고 차량의 주행 유도와 주차를 자동으로 제어 하는 무인 유도 차량 및 인프라 기술
![]() |
기술특징 |
ㅇ 고가의 DGPS 장비를 대체하는 카메라 기반 저가 고정밀 위치 인식 기술 ㅇ 주차장내 직각/평행/후진 주차 자동 제어 기술 ㅇ 국지도로내 차량 유도용 동적 주행 맵 처리 기술 및 다중 센서 융합형 도로 상황 검지 기술 ㅇ 차량 주행 안전 증대를 위한 인프라 센서와 차량 센서 협력형 주행상황 정보 처리 및 판단 기술 |
응용 및 활용분야 |
ㅇ 무인발렛주차, car sharing, 실시간 원격 차량 제어 등 차량 자율 주행 및 주차 관련 응용 분야 ㅇ 영상 기반 위치 및 주행 상황 정보 획득 및 활용 분야 ㅇ 인프라 연계 교통서비스 제어 분야 |
3. 건물에너지 소비진단 및 실시간 효율관리 기술
(Building Energy Consumption Diagnosis and Commissioning Technology)
기술개요 |
다수 건물에 대하여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건물 설비 및 시스템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분석, 유지, 개선, 최적화함으로써 건물의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는 기술
![]() |
기술특징 |
ㅇ 건물에너지 분석용 운전자료 수집을 위한 개방형 게이트웨이 기술 ㅇ 건물에너지 실시간 성능진단 및 관리 시스템 기술 ㅇ 건물에너지 소비정보 분석 시스템 기술 ㅇ 건물 커미셔닝 인프라 구축 자동화 기술 ㅇ 실시간 커미셔닝 관제센터 기반 건물에너지 군관리 서비스 기술 |
응용 및 활용분야 |
ㅇ 기축/신축 건물의 원격 건물에너지 분석용 운전자료 수집 서비스 ㅇ 실시간 커미셔닝 관제센터 기반 건물에너지 군관리 서비스 ㅇ 전국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다 정확한 건물에너지 커미셔닝 서비스 ㅇ건물 설비에 대한 진단을 통한 설비별 에너지 효율 진단 서비스 |
4. 태양광 모듈단위 통신정보 처리기술
(Photovoltaic module-based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기술개요 |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열화와 성능을 실시간 진단하고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개별 태양광 모듈(PV module)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직류 전력선 통신 정보 처리 기술
|
기술특징 |
ㅇ 전압/전류/온도 측정 직류 전력선 통신 기술 ㅇ 태양광 모듈 배치 구조에 적합한 전력선 통신 기술 ㅇ 태양광 모듈 노드 간 네트워크 구성 및 관리 기술 ㅇ 태양광 모듈 상태 정보 전송 SW 기술 |
응용 및 활용분야 |
ㅇ 태양광 모듈 단위 모니터링을 통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고급화 (상세 열화진단, 성능 향상) ㅇ 저용량(50 kW 이하)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유지관리 시스템으로 도입 ㅇ 에너지 저장 장치(ESS) 또는 DC 배전의 통신 인프라 백본 |
5. 알아서 척척 설치되는 가전기술
(Easy Configuration Technology for Smart Appliances)
기술개요 |
다양한 가전 및 공용 장치들(홈게이트웨이/월패드, 주차관제 시스템, 엘리베이터, CCTV 등)이 존재하고, 로컬망, 인터넷망이 혼재되어 있는 단지/홈네트워크 환경에서 표준화된 프로토콜(ISO 17811)을 통해 디바이스들의 초기화, 설정(configuration), 모니터링, 제어 및 관리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기술 DMAP 자동설정 시스템 : 일반 가전을 D-MAP 장치로 동작시킬 수 있는 소형 하드웨어 모듈 및 개발도구를 포함 DMAP 인증도구 : 개발된 D-MAP 장치 및 응용 시스템을 검증
|
기술특징 |
ㅇ Manageless Home 환경에서 사용자 개입 없이 스마트 가전을 설치, 감시, 관리하고, 서비스와 연계하는 기술 ㅇ Internet-wide 디바이스 제어, 관리, 자동구성 기능 등을 수행하는 표준 메시지 프로토콜 ㅇ Legacy 가전을 D-MAP 장치로 동작시킬 수 있는 소형 H/W 모듈 및 D-MAP 장치 개발을 위한 개발 도구 S/W ㅇ D-MAP 장치 검증을 위한 검증 도구 S/W |
응용 및 활용분야 |
ㅇ 원격 감시/제어/유지보수, 초기 설정, 에너지 관리 등 다양한 형태의 융복합 서비스 ㅇ 기존 장치를 쉽게 D-MAP 장치화 하여 스마트가전으로 활용 ㅇ D-MAP 장치 및 응용 시스템 개발 및 인증 도구로 활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