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ETRI 1실 1기업 맞춤형 우수사례집.pdf

닫기

background image

ETRI 파트너로 선정된 중소·중견기업이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사업을 통해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함께하겠습니다. 

 

305-700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218 
Tel. 042-860-6114  www.etri.re.kr

‘소통’과 ‘융합’의 시대를 이끄는 ICT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함께합니다.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발행일 

2015년 05월

발행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    획          ETRI 사업화본부
                   이일진, 이용훈, 정옥조, 김태홍, 허성익, 현창희

문   의 

042-860-1587

  

주   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218 

편집·디자인  경성문화사|02.786.2999

본 책자는 “중소기업 동반성장 및 기술사업화 성과 확산” 

사업의 일환으로 작성되었음.

•‌

  본 제작물의 저작권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 있습니다.

ETRI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background image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background image

CONTENTS

PART 04  장비 및 시험지원
086    ㈜테스 

TES, 당신이 생각하는 기술력, 그 이상!

098   케이아이씨시스템즈 ㈜
       그들이 만들어가는 ‘멋진 신세계’

110   ㈜아큐픽스 

‘완벽’은 수천 번의 테스트에서부터 시작된다!

PART 05  사업화 수주
124   코위버㈜ 

신뢰를 바탕으로 한 사업화 수주의 결실!

136   ㈜포스트큐브 

기술경쟁력, 40여 억 원 규모의 사업수주로 이어지다!

PART 06  해외 진출
150   ㈜누리텔레콤 

ETRI 기술지원으로 세계시장 점유율 UP!

162   ㈜솔탑 

솔탑을 통해 만나는 ‘또 다른 우주’

 

APPENDIX  부록
176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프로그램 및 성과 등

제니스텍

포스트큐브

코위버㈜

솔탑

누리텔레콤

 케이아이티밸리㈜

큐에스아이

이노피아테크

유양디앤유

소닉티어

 ㈜

아큐픽스

케이아이씨시스템즈㈜

테스

004  발간사

PART 01  신시장 개척
008   ㈜제니스텍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꾸는 작은 한 걸음의 힘!

PART 02  신기술 및 제품개발
022   ㈜소닉티어 

두드려라, 희망은 32채널을 타고 온다!

034   ㈜유양디앤유 

40년 역사를 재료로, 400년 미래를 만들어가는 곳!

 

046    ㈜이노피아테크 

글로벌 기업 구글에 대적하는 단 하나의 마법, 매직캐스트!

PART 03  기술 혁신
060     ㈜큐에스아이 

혁신은 작은 것의 변화에서부터 시작된다!

072   케이아이티밸리 ㈜
       IT기술로 재난재해를 관리하는 ‘컨트롤 타워’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ETRI는 ICT 국가대표 연구원으로서 지난 40년간 과학기술의 불모지인 우리나라를 ICT 강국 코리아로 발전하는데에 큰 

밑거름이 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성과의 근간에는 ICT 중소·중견기업들과 ETRI가 상호협력을 통해 기술개발 및 사업화로 

꽃을 피워 상생발전의 선순환을 달성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ICT 생태계의 선순환은 우리나라 국민소득 4만불 시대를 위한 디딤돌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현실은 그리 녹록치 

않아, 많은 ICT 중소기업들은 제품 개발 초기 단계에서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입니다. 핵심기술을 보유했다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R&D에 투자할 여력이 없거나 또는 우수한 기술인력이 부족하여 혁신을 이루지 못하고 사라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ETRI가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ETRI “백만조 전략”의 일환인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은 한 개 

연구실이 한 개의 관련 중소기업을 밀착지원하면서 중소·중견기업의 가상연구소 역할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기업이 해결

하기 어려운 문제들을 현문현답, 즉 현장의 문제는 현장에서 답을 얻을 수 있다는 생각으로 밀착지원해 풀어나갑니다.

동반성장 파트너로서 역할을 다한 결과, 1실 1기업 지원성과 분석에 따르면 중소기업에서는 100억 원 이상의 비용절감 

효과, 개발기간이 743개월이나 단축됐으며, 고용창출 1,490명, 2,600여억 원의 매출증대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하는 

효과를 나타냈습니다. 더불어, 많은 중소기업들이 ETRI라는 기술적 파트너가 필요하다는 사실에 대해 강력한 공감을 

표하는 등 정성적 효과도 나타났습니다. 

본 사례집을 통하여 1실 1기업 간 상호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새로운 성공사례를 창출하는데 도움이 되시기를 희망 

하면서, 이번 사례집 발간에 협조해주신 기업대표 및 임직원 여러분과 ICT 국가대표라는 사명감으로 연구사업 수행에  

매진하는 와중에도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에 적극적으로 노력해 주신 ETRI 연구원 여러분들께 무한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  

 

김 흥 남

  

ETRI는 ICT 중소·중견기업들과 

동반성장의 파트너로서 성장의 

꽃을 함께 피워가겠습니다

대한민국 정보통신산업의 눈부신 성장을 이끌어온 ETRI. 

세계 최고, 최초 기술을 개발하며 쉼 없이 달려온 ETRI가 있었기에 

지금의 ICT 강국 코리아가 있다고 자부합니다.

005

>>>

004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발간사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Frontier!
새로운 것에 도전한다

신시장 개척

㈜제니스텍 |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꾸는 

 

        작은 한 걸음의 힘!  

PART

 

01 


background image

 

㈜제니스텍은 지난 30여 년의 현장 노하우, 그리고 ETRI와의 꾸준한 연구개발, 밀착기술지원을 통해 

산업용 네트워크 보안솔루션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 그리고 이제 한발 더 나아가 원자력

발전과 도시가스, 수자원공사 등 산업보안용 시스템 분야에서의 활약을 예고하고 있다.


background image

신시장 개척

제니스텍

1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

008


background image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Summary 

Board

ETRI 기술지원과
분석 & 밀착지원,
신시장 개척을 가능케 한 힘!

산업용 네트워크 보안시스템 관련시장은 IT 
보안시스템과  전혀  다른  성향의  시장이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높은 편입니다. 이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안정성과 신뢰도가 
최우선되어야만  하겠지요.  ETRI의  산업용 
네트워크 보안시스템 관련기술과 분석체계는 
이미  검증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시장개척을 
위해서는 꼭 필요한 부분이었습니다. 앞으로도 
ETRI 밀착지원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산업용 네트워크 보안시스템을 선보일 계획
입니다. 

ETRI 밀착지원 내용
①  산업용 네트워크 보안시스템 신시장 개척 

지원 및 관련 핵심기술지원

②  산업용 방화벽 및 네트워크 모니터링 등 

기술자문 

③  방화벽 패킷제어, 통합보안관리 기술지원 

및 상용화 시험지원

㈜제니스텍의 대표 제품 & 기술

* 산업용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분야의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는 제품 ‘인더스캡-게이트’.

설 립 년 │ 2002년 

대     표 │ 윤석열

소 재 지 │ 서울시 성동구 성수일로 4길 25 
 

서울숲 코오롱디지털타워 603호

전     화 │ (02) 2115-8850~3

홈페이지 │ www.zenithtek.co.kr

기업현황

“고객을 위한 기술뿐만 아니라 현장에서의 

제품 테스트 등 어떤 곳에서도 밀착지원을  

해준다는  건  그것만으로도  많은  힘이 

됩니다. 일주일에도  여러  번  이뤄지는 

ETRI 기술지원과 자문들은 기업의 기술

개발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요. ‘자주 보게 되면 정이 든다’는 

말처럼, 서로의 친밀감을 높임으로써 더 

좋은 결과물들을 만들어낼 수도 있습니다. 

특히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다는 건 때로 

외로울 수 있는 일이지요. 

이럴 때에는 혼자보다 누군가와 함께하는 

것이 좋습니다. ETRI 기술지원과 조언

들은 먼 길을 가는데 꼭 필요한 나침반이 

될 겁니다.”

Mini 

Interview 
/
윤석열 대표

“먼 길을 가기 위해서는

혼자보다 함께”

011

>>>

010

PART 

01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

신시장 개척

㈜제니스텍

>>>

010


background image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꾸는
작은 한 걸음의 힘!

삼성그룹의 고(故) 이병철 회장은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운을 잘 타고 나가려면 역시 운이 다가오기를 기다리

는 일종의 둔한 맛이 있어야 한다. 운이 트일 때까지 버

텨내는 끈기와 근성이 있어야 한다.”

이 얘기를 다르게 표현하자면, ‘한 분야에서 오랜 기간 

무언가를 꾸준히 해온 사람에게만 희망과 비전은 그 모

습을 보여준다’는 말과도 일맥상통할 것이다. 산업용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제품들을 생산하고 있는 ㈜제니

스텍은 바로 그런 기업이다.

㈜제니스텍 윤석열 대표이사는 “산업용 자동화, 제어

기기와 관련한 일만 30여 년 해왔어요. 그러다가 5~6

년 전부터 산업용 네트워크 보안 및 솔루션에 대한 필

요성이 강조되면서 사업범위를 조금씩 넓히기 시작했

죠. 하지만 2000년대 초·중반만 해도 국내에서는 산

업용 네트워크 보안의 중요성을 그리 심각하게 생각지 

않았어요. 때문에 관련시장도 미성숙했죠. 산업용 네

트워크 보안 분야에서는 ETRI가 기술적인 노하우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함께 연구개발해 나가는 

것이 좋을 거라고 판단했어요. ETRI 기술지원과 조언

들이 많은 도움이 됐죠(웃음).”라며 ETRI와 함께하게 

된 계기를 설명했다.

30여 년의 현장 노하우,

ETRI 기술지원과 만나다

∧  ㈜제니스텍의 신시장 개척에는 ETRI 기술지원과 조언들이 많은 도움이 됐다.

∧  직원들의 업무를 확인 중인 ㈜제니스텍 윤석열 대표

013

>>>

012

PART 

01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

신시장 개척

㈜제니스텍


background image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산업용 네트워크 보안 분야는 개인이 이용하는 은행 및 

결제시스템의 보안과는 큰 차이가 있다. 

우선, 일상적으로 자주 접하게 되는 은행 및 결제시스

템의 보안은 많은 이들이 이용하기 때문에 그만큼 기능

적인 업그레이드도 자주 하게 되고, 보안 시스템의 필

요성에 대해서도 대부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편이다. 

반면, 산업용 네트워크 보안은 외부로부터 단절되어 있

는 기업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하다 보니, 2000년대 초

까지만 해도 ‘산업용 네트워크 보안시스템이 왜 필요

한지’에 대한 인식조차 전무했을 뿐만 아니라, 한번 적

용하게 되면 최소 10~20년간 사용하기 때문에 제품이 

채택되기까지의 과정에도 오랜 기다림이 필요했다. 산

업용 네트워크 보안과 관련한 시장은 그만큼 진입장벽

이 높았던 셈이다.    

㈜제니스텍 홍대승 책임연구원은 “산업용 보안과 관련

한 시장은 외국에서도 2007년부터 활성화되기 시작했

어요. 얼마 되지 않았죠. 개인이 자주 이용하는 보안 시

스템들과는 다르게 산업용 보안 시스템은 보안사고의 

손실규모가 굉장히 크기 때문에 그만큼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어요. 물론 그만큼 진입장벽이 높고 어려운 시

장이기는 하지만, ㈜제니스텍의 오랜 노하우와 ETRI 

기술지원이 합쳐진다면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을만한 

서비스가 가능하리라고 생각합니다”라며 중·장기적인 

차원에서의 경쟁력과 가능성을 강조했다. 

진득하게 기다리는 끈기와 근성, 이런 것들이 결국엔 

큰일을 내는 법이다. ㈜제니스텍이 지나온 길을 보면 

그걸 충분히 느낄 수가 있다.    

“㈜제니스텍의 오랜 노하우와 ETRI 
기술지원이 합쳐진다면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을만한 
서비스가 가능하리라고 
생각합니다.”

∧  나중찬 박사(ETRI 제어시스템보안연구실 실장) 

∧  ㈜제니스텍 윤석열 대표

   

 ㈜제니스텍의 오랜 노하우와 ETRI 기술지원이 합쳐진다면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을만한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다.

015

>>>

014

PART 

01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

신시장 개척

㈜제니스텍


background image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제니스텍과 ETRI 제어시스템보안연구실이 처음, 함

께하게 된 연구개발 분야는 산업용 보안을 비롯한 프

로토콜 연구, 스마트그리드이다. 이를 위해 ETRI 제어

시스템보안연구실의 기술지원과 조언을 받게 되면서 

인연을 맺기 시작했다.

윤 대표는 “1주일에 2~3번 정도 만나 기술적인 논의

들을 하죠. ETRI 박사님들 대부분이 굉장히 성실한 노

력파세요. 그 모습에 배울 것들이 참 많습니다. 한번은 

제어시스템보안연구실에서 ㈜제니스텍 식구들에게 줄 

커피메이커를 사오신 적이 있어요. 제어시스템보안연

구실이 기술지원 우수연구실로 선정되어 상금을 받게 

되어 그 기쁨을 함께 나누시려고 했던 거죠. 서로를 챙

기려는 그런 마음들이 ㈜제니스텍과 ETRI를 더 끈끈

하게 묶어주는 게 아닐까, 그런 생각을 해 봅니다”라

며 기술지원 등을 함께하는 과정에서의 작은 에피소드

들을 설명했다. 

이에 나중찬 박사(ETRI 제어시스템보안연구실 실장)는 “저 또

한 대표님으로부터 배우는 게 많습니다. 현장에서 오

랫동안 활동해 오신 분이셔서 그런지 판단과 실행에 

군더더기가 없으시죠. 연구개발 과정에서 많은 도움

을 받는 것은 제어시스템보안연구실의 입장에서도 마

찬가지입니다”라고 답했다.

인간적인 신뢰로 묶인 구성원들은 그에 못지않은 결과

물들을 만들어내는 법. ㈜제니스텍과 ETRI 제어시스

템보안연구실은 그동안 산업용 방화벽과 네트워크 모

니터링 등의 기술자문, 제품 상용화를 위한 시험지원, 

산업용 보안제품의 경제성 분석 등의 기술지원 및 자문

을 진행했을 뿐만 아니라 ‘오토메이션월드’, ‘ISNR(아부

다비 국제 방산/보안 전시회) 2014’ 국제 전시회에도 공동으로 

참석하는 등 사업과 관련한 모든 단계에서의 일정을 함

께했다. 이를 통해 산업용 보안시스템 개발기간을 2년

에서 1년으로 단축하는 것은 물론, 국내 최초로 산업용 

네트워크 보안제품을 상용화하기 직전의 단계에까지 

이르게 하고 있다. 

“ETRI와 함께하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든든합니다. 기

업 또는 기관이 산업용 네트워크 솔루션을 도입하는 것

을 결정하기까지 5년, 그것을 현장에 사용하게 될 때

까지 10년 등 이 분야는 제품의 적용, 교체의 사이클이 

굉장히 긴 편입니다. 진입장벽이 그만큼 높은 시장에서 

국내 최초의 산업용 네트워크 보안제품을 상용화하고 

현장에 적용해 나가기 위해서는 앞으로 더 오랜 기다림

과 노력이 필요하겠지요. 하지만 조급하게 생각지 않습

니다.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것이 그리 쉬울 거라고 

생각하지도 않았고요. 솔루션, 제품의 안정성과 품질

을 더 높이고자 하는데 최선을 다하려고 합니다. 그리

고 천천히, 묵묵히 해 나가려고 합니다.”

윤 대표의 말에서 느낄 수 있다. 신뢰. ETRI와의 신뢰

가 쌓여온 시간만큼, 딱 그만큼의 정성과 기다림이 있

어야만 새로운 시장에서의 경쟁력 또한 확보할 수 있는 

게 아닐까.

  ETRI의 다양한 기술지원 및 자문으로 제품의 안정성을 

높이고 있는 ㈜제니스텍

국내 최초 산업용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개발 : 새로운 시장이 열리다

017

>>>

016

PART 

01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

신시장 개척

㈜제니스텍


background image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인더스캡-게이트’의

안정적인 상용화 목표

㈜제니스텍은 현재, ETRI 제어시스템보안연구실과 

함께 산업용 네트워크 보안솔루션 ‘인더스캡-게이트

(IndusCAP-Gate)’의 개선사항들을 꾸준히 수정, 보완해 

나가고 있다. 이를 통해 가능한 한 올해 말에는 상용화

에 나설 예정이다.

“무엇보다 기업, 기관들의 생산시스템들과도 잘 조화

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하겠지

요. 지금까지 해왔듯 천천히, 묵묵히 해나가면 가능하

리라 생각합니다. 그렇게 제품의 안정성이 확보되어 상

용화하고 난 후에는 ㈜제니스텍의 본격적인 성장을 목

표로 하고 있습니다. 원자력발전이나 도시가스, 수자

원공사 등 사회적으로 중요하게 생각되어지는 산업보

안용 시스템 분야에서 ㈜제니스텍의 앞선 기술력을 알

려나갈 예정입니다.”

2015년, 60억 원의 연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는 ㈜제

니스텍. 하지만 진짜 목표는 그게 아닐지도 모른다. 산

업용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분야에서의 독보적인 위

치, 그들이 진정 바라보고 원하는 지점은 바로 그곳이 

아닐까. 

산업용 자동화, 제어기기와 관련해 지난 30여 년 동안 

쌓아온 노하우, 그것이 조금씩 빛을 발하기 시작하고 

있다. 그냥 다가오는 운은 절대로 없다. 설혹 ㈜제니스

텍에 주어지는 운이라는 게 있다면, 그건 그들이 오랜 

기간 만들어온 결과물일 뿐이다. 

Information

*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 전력망과 IT기술을 

접목해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기술. 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과 효율성 극대화시킴

* 산업용 네트워크 보안 : 공장이나 기업, 국가

기반시설 등을 우발적 고장이나 외부에서의 

해킹, 조작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기술. 최근, 

네트워크 해킹 등을 통해 국가적인 분쟁이 

자주 일어나고 있으며 그 피해규모 또한 막대한 

수준인 만큼 중요성 강조되고 있는 분야

∧  회사와 직원들은‘인더스캡-게이트(IndusCAP-Gate)’의 개선사항들을  
     꾸준히 수정, 보완해 나가고 있다.

019

>>>

018

PART 

01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

신시장 개척

㈜제니스텍


background image

Idea!
지금까지 접하지 못한
신세계를 창조하다

신기술 및 제품개발

㈜소닉티어 | 두드려라, 희망은 32채널을 타고 온다!

㈜유양디앤유 | 40년 역사를 재료로, 400년 미래를 만들어가는 곳!

㈜이노피아테크 | 글로벌 기업 구글에 대적하는 단 하나의 마법, 매직캐스트!

PART

 

02


background image

1980년대부터 시작된 미국 ‘돌비’社의 5.1 채널시대가 지난 2009년 막을 내렸다. 그리고 입체음향과 

관련한 시장에 전 세계 수십여 개의 업체들이 도전장을 내밀었다. 현재, 디지털 시네마 관련 입체음향 

시장에서 살아남은 건 미국의 ‘돌비’, 벨기에의 ‘오로 3D’, 그리고 한국의 ‘㈜소닉티어’, 단 3곳뿐이다.


background image

신기술 및 제품개발

소닉티어

2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

022


background image

“ETRI와 함께 하면서 기술과 시장을 바라

보는 시선이 바뀌게 됐습니다. 처음 사업을 

시작할  때는  하드웨어와  스피커,  그와 

관련된  콘텐츠  및  특허기술만을  생각 

했었는데  ETRI  기술지원  및  자문을 

받게  되면서 전체적인 시장구조와 규모를 

바라볼  수 있게 됐지요. 상품기획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시선의 범위가 달라지게 된 

겁니다. 회사의 비전과 꿈이 바뀌게 된 거

죠. 적극적으로 ETRI 연구원들에게 다가

갈수록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습니다. 회

사의 비전과 사업화 내용에 대해 ETRI 연구

원들과 함께 더 많은 대화를 나누게 된다

면, 회사의 발전 속도 또한 훨씬 더 빨라

지게 될 것입니다.”

Mini 

Interview 
/
박승민 대표

㈜소닉티어 대표 제품 & 기술

* ㈜소닉티어의 ST Cine Pro 시네마 프로세서는 CGV와 롯데시네마 등 국내 멀티플렉스 
상영관 14곳, 그리고 서울 여의도 IFC몰 전관에 설치되어 있으며 향후에는 ETRI 기술지원 및 
사업화 지원 등을 통해 홈 엔터테인먼트 VOD 시장과 대형 전시관, 중국 등의 해외시장에도 진출
할 계획이다.

설 립 년 │ 2011년 4월 25일 

대     표 │ 박승민

소 재 지 │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37-39 201호

전     화 │ (031) 931-9577

홈페이지 │ www.sonictier.com

기업현황

“함께 공감하면, 

회사의 비전과 꿈이
달라집니다.”

ETRI 기술지원과
사업화 지원을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다!

32채널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시네마 환경 
(5.1채널/7.1채널)

에서도  호환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은  ETRI  기술지원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지요, 이를 바탕으로, 
미국의 ‘돌비’社, 벨기에의 ‘오로 3D’ 등 세계적인 
기업들과도 당당히 경쟁할 수 있게 됐습니다. 
향후 ‘소닉티어 오디오(STA)’를 통해 영화뿐만 
아니라 음반과 방송, 홀로그램 등 전 세계 
미디어와 콘텐츠 시장의 수준까지 끌어올릴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ETRI 밀착지원 내용
①  다채널 코덱, 디지털 시네마 오디오 프로

세서 관련 신기술 개발지원

②  디지털 시네마 오디오 제작도구 및 프로

세서 시험지원

③  플렉서블 실감 오디오 재현기술 관련 장비

지원

Summary 

Board

025

>>>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PART 

02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024

신기술 및 제품개발

㈜소닉티어


background image

>  ㈜소닉티어는 ETRI 신기술개발지원을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두드려라,
희망은 32채널을 타고 온다

!

 

 

  

일요일 이른 새벽, 수화기를 통해 전달되는 목소리에는 

다급함이 가득 담겨져 있었다. 그도 그럴 것이, 멀티플

렉스 상영관 안의 오디오가 전혀 들리지 않는 상황. 무

엇이 문제인지를 알 수 있다면 현장의 인원들이 급히 조

치를 취할 텐데 그마저도 할 수가 없었다. 통화를 끝내

고 수화기를 내려놓은 이태진 박사(ETRI, 오디오연구실 실장)

는 잠시 숨을 몰아쉬며 그대로 앉았다. 그리고는 새벽기

차를 타고 대전에서부터 서울까지 급한 걸음을 했다.

“어느 날 여름이었어요. 일요일 새벽에 울리는 전화벨

이 좋은 소식은 아닐 거라고 짐작은 했었죠(웃음). 아니

나 다를까. 현장에 도착해보니 시스템과 소프트웨어들

이 서로 충돌을 일으켜 오디오에도 전부 오류가 발생한 

거예요. 멀티플렉스 상영관마다 오디오시스템의 형태

가 서로 다르다는 걸 간과하고 압축코덱을 적용했던 건

데, 그게 문제를 일으켰던 거죠. 지금 생각해도 등줄기

에 식은땀이 다 흘러요.”  

“지금 빨리

와 주실 수 있을까요?

오디오 시스템에

큰 문제가 생겼습니다.”

신기술 및 제품개발

㈜소닉티어

027

>>>

026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PART 

02


background image

ETRI 오디오연구실에서는 ㈜소닉티어의 박승민 대표, 

김동준 상무이사와 함께 그로부터 일주일간 압축코덱

의 오류를 하나하나 잡아나갔다. 당시, 국내에서 시네

마 관련 장비와 오디오 체계를 모두 이해하고 있는 전

문 인력이 많지 않았다는 걸 감안하면 일주일이라는 시

간은 굉장히 짧은 것이었다.

㈜소닉티어 박승민 대표는 “그게 결정적인 계기였어

요. 만약 그 날 새벽, 오디오연구실 팀이 오지 않았다면 

지금의 ㈜소닉티어는 없었을지도 모르는 일입니다”라

며 당시 상황을 떠올렸다. 회사설립 2년 만에 매출 7배

의 성장을 기록하며 ‘디지털 시네마 오디오 솔루션’ 분

야에서 전 세계 세 번째 손가락 안에 들게 된 글로벌 기

업. ㈜소닉티어의 그 해 여름은 그렇게 지나갔다.

박 대표의 지나온 길을 보면 조금 특이하다. 우선, 미국

의 ‘아트 인스티튜트 오브 시애틀(Art institute of Seattle)’에

서 애니메이션 아트와 사운드 레코딩 등을 전공했고 마

이크로소프트 ‘X-Box’ 사업부에서 근무한 경력도 있

다. 미디어아트와 예술을 좋아하던 그가 오디오 솔루션

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무엇일까?

“3D와 렌더링, 비디오 애니메이션 쪽의 일을 했었죠. 

그런데 그 분야에 대기업들이 진출하게 되면 그들과 경

쟁상대가 되지 않는다는 걸 깨닫게 됐어요. 그래도 조

금은 틈새가 보이는 곳이 오디오 분야였죠. 그리고는 

‘오디오 쪽으로 특화시켜서 사업을 해보자’라는 생각으

로 관련업계에 뛰어들었어요.” 

물론, 쉽지는 않았다. 2년여의 사업기간 동안 특허확

보와 원천기술의 중요성만을 절실히 깨닫게 된다. 그

리고 고유의 레코딩 기술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 사업

으로 확장시켜 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판단

하게 된다. 이러한 구상은 ㈜소닉티어의 설립으로 구

체화시켜 나갔다. 게다가 1980년대부터 전 세계 오디

오 시스템 시장을 장악해오던 미국 기업 ‘돌비(Dolby)’의 

시스템 특허가 2009년 만료되면서 다중입체음향에 대

한 오디오 기업들의 경쟁은 본격화되고 있었다. 박 대

표는 이 순간을 결정적인 기회로 봤다.

“㈜소닉티어와 ETRI 오디오연구실이 
하나가 되어 기술개발 및 사업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건, 지금 
생각해봐도 큰 행운이라고 생각해요.”

  ㈜소닉티어의 오디오연구실에서는 채널호환과 프로세서 실험 

등 다양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  이태진 박사(ETRI 오디오연구실 실장)

∧  ㈜소닉티어 김동준 상무이사

신기술 및 제품개발

㈜소닉티어

029

>>>

028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PART 

02

모두가

반신반의하던

작은 벤처회사,

드디어 일을 내다

!


background image

“공중파 방송들이 UHD용 프로그램 제작을 준비 중이

었고 SM엔터테인먼트와 YG엔터테인먼트 등의 기획

사들은 홀로그램을 활용한 콘텐츠들을 마련하고 있었

죠. 소비자들도 이제는 12채널 이상의 입체음향을 선

호하고 있었고요. 레코딩과 오디오 시장은 콘텐츠와의 

연계를 통해 더 넓은 시장으로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거

라고 판단했습니다.”

그의 눈에 가장 처음 들어온 것은 CGV와 롯데시네마 등

의 멀티플렉스였다. 16채널과 32채널의 사운드를 실

제 적용해 보기에는 이곳들만큼 좋은 장소가 없었는데, 

대부분의 상영관은 미국 ‘돌비’社의 5.1 채널과 7.1 채

널을 채용하고 있던 터라 그와 호환이 되는 압축코덱이 

필요했다. 압축코덱의 기술력을 전 세계적으로 알아주

는 곳은 ETRI. 박 대표에게 다른 선택의 여지는 없었다.  

㈜소닉티어의 김동준 상무이사가 매일 ETRI의 문을 

두드리기 시작했다.

김동준 상무이사는 “걱정되기도 했죠. ‘아무 것도 없는 

벤처회사를 만나주기나 할까’라는 고민과 불안. 하지만 

물러설 곳도 딱히 없었어요. 여기에 목숨을 걸어야만 

했죠. 미국의 ‘돌비’社가 가지고 있는 특허들을 모두 ㈜

소닉티어의 특허로 바꿔버리고 싶다는 말도 했습니다. 

그만큼 절실했던 거예요.”라며 당시를 떠올렸다. ㈜소

닉티어의 미래를 모두가 반신반의하고 있는 상황. 하지

만 몇 달 후 CGV 10여개 상영관과의 계약, 그리고 20

여 개의 입체음향 특허기술을 통해 투자받은 20억 원

의 비용 중 10억 원을 개발비용으로 마련해 온 ㈜소닉

티어의 저력에 ETRI도 그 가능성을 조금씩 보게 된다.

“지금 생각해보면 참 잘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때 

∧>  ㈜소닉티어는 특허 및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경쟁력을 갖추게 됐다.  

 

 

 

 

 

 

ETRI의 문을 두드리면서 더 큰 꿈을 꾸었기에 지금의 

㈜소닉티어가 있다고 생각하니까요. 주저하지 않고 두

드리다 보면 희망이 생깁니다. 특히 ETRI는 많은 도움

이 되지요. 이 분야에서 ETRI와 동일한 성과를 내고 있

는 외국의 연구소들은 대부분 ETRI보다 10배 이상 큰 

곳이 대부분입니다. 그만큼 우수한 분들이 모여 있는 

곳이죠. ㈜소닉티어와 ETRI 오디오연구실이 하나가 

되어 기술개발 및 사업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건, 

지금 생각해봐도 큰 행운이라고 생각해요.”

김동준 상무이사의 말에 ETRI 이태진 박사가 답한다.

“당시, 소닉티어는 작은 벤처회사에 지나지 않았죠. 하

지만 ‘조금만 도와주면 곧 큰일을 내겠구나’하는 생각

이 들었어요. 함께할 수밖에 없게 만드는 저력이 있었

죠(웃음).” 어쨌든, ㈜소닉티어의 본격적인 뜀박질은 

그렇게 이미 시작되고 있었다.

신기술 및 제품개발

㈜소닉티어

031

>>>

030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PART 

02


background image

㈜소닉티어는 이 외에도 ‘설국열차’와 ‘명량’, ‘군도’, 

‘화이’, ‘최종병기 활’, ‘감시자들’, ‘광해’, ‘은밀하게 위

대하게’ 등 총 20여 편의 영화에 자체 오디오 기술을 

도입해 작업했으며 싸이와 2NE1 등 한류스타들의 홀

로그램 콘텐츠에도 적용, 향후에는 ETRI 기술지원 및 

사업화 지원 등을 통해 홈 엔터테인먼트 VOD 시장과 

대형 전시관, 중국 등의 해외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이

다. ‘씨네유럽’과 ‘씨네아시아’ 등 영화관련 전시회에서

도 큰 호평을 얻었던 만큼 글로벌 시장에서의 반응은 

긍정적일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박 대표는 “㈜소닉티어는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비즈니

스 모델 발굴을 통해 미디어시장의 음향기술을 선도하

려고 합니다. 특히 2015년은 UHD 음향시장의 선점을 

위한 적기이므로 ETRI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비

교우위를 차지하는 것이 가장 큰 목표지요. 채널의 개

수와 시스템 구성 등의 제약 없이 현재, 그리고 미래에 

등장하는 모든 미디어 매체들이 ㈜소닉티어의 음향기

술을 통해 최대한 빛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더 나

아가 ㈜소닉티어의 음향기술이 전 세계에 감동을 선사

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되면 더 바랄 것이 없겠지요”라며 

㈜소닉티어의 경쟁력, 그리고 향후 목표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소리는 빛보다 빠르지 않다. 하지만 빛이 닿을 수 없는 

곳에까지 이를 수 있는 메신저이기도 하다. 오랜 기간 

‘돌비’와 ‘아이맥스’ 등으로 대표되던 영상음향기술, 이

제는 ‘소닉티어 오디오(STA)’에게 그 자리를 내줄 날이 

머지않았다. 소리 없이, 하지만 세상 그 어디에도 가 닿

을 수 있는 묵직한 소리를 내면서 말이다.  

영화

‘설국열차’와 ‘명량’,

한류스타들의 콘텐츠에도

오디오 기술 도입

현재 ㈜소닉티어는 ETRI 기술지원과 연구를 통해 신 

개념 다채널 오디오 프로세서를 개발했고 32채널 오

디오 기술을 디지털 시네마 환경에 최적화하게 됐다. 

또한 ㈜소닉티어의 ‘ST Cine Pro 시네마 프로세서’는 

CGV와 롯데시네마 등 국내 멀티플렉스 상영관 14곳, 

그리고 서울 여의도 IFC몰 전관에 설치되어 있다.

Information

* 5.1채널과 7.1채널 : 지난 1980년대 말부터 

미국의 ‘돌비’社는 ‘5.1’이라는 이름으로 음향 

표준  특허를  보유,  시장을  거의  독점했음. 

5.1이란 스크린 후면 3개, 좌우벽면 2개와 1개의 

저음우퍼  스피커를  갖춘  음향  시스템이며 

7.1은  5.1  시스템에서  좌우벽면에  2개의 

스피커를 추가한 음향 시스템

* 압축코덱 : ETRI는 코덱과 관련한 원천기술은  

물론,  국제표준특허도  보유하고  있으며 

㈜소닉티어가 만든 32채널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시네마 환경(5.1채널/7.1채널)에서 하위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들었음

신기술 및 제품개발

㈜소닉티어

033

>>>

032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PART 

02


background image

누구나 미래를 내다본다. 어떤 분야가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예상하지만 그게 적중하지는 않는다. 때문에 

미래 가치를 내다보고 그에 맞는 확신을 가진 후 움직이기란 쉽지 않은 것이다. ㈜유양디앤유는 확신했고 

움직였다. ETRI로부터 신기술 이전 및 지원을 받아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는 결정적 이유다. 


background image

누구나 미래를 내다본다. 어떤 분야가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예상하는 사람도 많다. 하지만 그게 적중하는 확률은 그다지 높지 않

다. 때문에 미래 가치를 내다보고 그에 맞는 확신을 가진 후 움직이기란 쉽지 않은 것이다. ㈜유양디앤유는 확신했다. 그리고 움

직였다. ETRI로부터 신기술 이전 및 지원을 받아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는 결정적 이유다. 

신기술 및 제품개발

유양디앤유

3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

034


background image

LED 무선통신을 활용한
신기술 이전 및 상용화 지원

㈜유양디앤유가 ETRI로부터 밀착지원을 받은 
부분은 LED 무선통신을 활용한 신기술 개발 
지원 및 상용화를 위한 테스트지원, 전시회 
참가지원 등입니다. 이를 통해 가시광 무선 
통신기술 관련제품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할 수 
있었지요. 
특히 이 기술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으로부터 ‘미래성장동력 산업’으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ETRI 신기술지원을 통해 독보적인 위치를 
점할 수 있었다는 건 ㈜유양디앤유의 입장에서 
현명한 선택이었지요.

ETRI 밀착지원 내용
①  국내 최초의 가시광 무선통신 상용화 설치, 

제품제작 기술지원

②  LED 엑스포 전시회 참가지원, 서울시청 

등에 현장적용시험지원

③  가시광 무선통신 복지, 안전, 홍보조명

기술이전

Mini 

Interview 
/
김상옥 대표

㈜유양디앤유의 대표 제품 & 기술

* 가시광 무선통신기술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유양디앤유의 VLC 수신기 제품

설 립 년 │ 1976년

대     표 │ 김상옥

소 재 지 │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율암길 223

전     화 │ (031) 350-7405

홈페이지 │ www.yuyang.co.kr

기업현황

“글로벌 기업들은 10년, 20년 후의 먹을

거리를 준비한다는데 중소기업들은 하루

하루 먹을 것을 고민하느라 바쁩니다. 

그래서는 중소기업과 글로벌 기업의 격차가  

전혀 좁혀지지 않겠지요. 늘 새로운 분야와 

기술을 고민하는 게 힘든 상황에서 ETRI의  

기술이전과 밀착기술지원은 큰 힘이 됩니다. 

물론, 기업과 ETRI가 바라보는 시선은 

다를 수밖에 없지요. 그런 부분은 조금씩 

맞춰가야 할 것입니다. 

그보다 중요한 건 어떤 부분이 궁금할 때

마다, 도움이 필요할 때마다 ETRI의 문을 

두드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ETRI의 문을 

두드리지 않으면, 늘 꿈꿔오던 기업의 미래 

또한 퇴보할 수밖에 없습니다.” 

“ETRI 신기술지원을 통해 

미래 경쟁력 갖춰야”

Summary 

Board

신기술 및 제품개발

㈜유양디앤유

037

>>>

>>>

PART 

02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036


background image

캐나다, 그리고 미국의 글로벌 기업들을 둘러보고 다

시 한국으로 돌아가는 비행기 안. 어두컴컴한 적막 속

에서도 그는 쉽게 잠들 수가 없었다. ‘LED 솔루션을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정보통신기술)와 어

떻게 접목시켜야만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할 수 있을

까’. 그의 머릿속은 복잡하기만 했다.

처음, 캐나다와 미국으로 가는 비행기를 탔을 때만 해

도 자신감이 넘쳐 있었다. 1990년대 말과 2000년대 

초, 국내 LED 디스플레이 부분은 제대로 된 전문 인력

조차 갖추고 있는 기업이 그리 많지 않았다. 반면 ㈜유

양디앤유는 20여 명의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니 

나름 LED 분야를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자부심이 있었

을 터. 하지만 캐나다와 미국의 글로벌 기업을 둘러본 

㈜유양디앤유 김상옥 대표는 현실을 재빨리 파악하기 

시작했다. 

한국으로 돌아가는 비행기,

그 어둠 속에서

LED와 ICT 접목을 생각하며

40년 역사를 재료로,
400년 미래를 만들어가는 곳!

∧    신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유양디앤유와 ETRI의 회의는 

지속적으로 이어진다.

   

좌로부터 ㈜유양디앤유 김상옥 대표, 강태규 박사(ETRI LED

통신연구실 실장)

신기술 및 제품개발

㈜유양디앤유

039

>>>

038

>>>

PART 

02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당시 LED 디스플레이 분야는 GE 등의 글로벌 기업

들이 연구개발, 사업화를 주도하고 있었죠. 근데 연구

소를 둘러보니 연구인원만 2,000명이 넘는 거예요. 혀

를 내둘렀죠. ㈜유양디앤유 연구개발 인력의 100배 규

모라니. 다시 한국으로 돌아오는 비행기 안에서 고민할 

수 밖에 없었죠. 이미 100억 원의 비용을 투자하고 있

었던 LED 사업,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추려면 

ICT와 다양한 방법으로 접목을 시켜야 한다고 생각했

어요.”

김 대표의 머릿속에 떠오른 건 ETRI였다. 신기술 개발

과 기술 상용화 논의를 하기 위해서는 ETRI와의 긴밀

한 협력이 필요했다.

“㈜유양디앤유가 ETRI와 처음, 인연을 맺게 된 건 

25~26년 전이죠. 사업 초기, 화공분야를 사업영역으

로 하다가 새로운 분야의 사업으로 영역을 확대해 나

가려고 할 때쯤이었어요. 그 때에는 ㈜유양디앤유도, 

ETRI도 건물 하나밖에 없던 시절이었죠(웃음). 당시 

LCD 디스플레이와 셋톱박스 등의 분야로 사업을 전

환해 나가면서 ETRI의 도움을 많이 받았었는데, LED

와 ICT의 접목을 통해 차별성을 확보하려면 또 한 번 

ETRI의 도움이 있어야겠다고 판단했죠.”

궁금한 것이 있을 때마다, 필요한 것이 있을 때마다 망

설임 없이 ETRI의 문을 두드렸던 김 대표. ㈜유양디앤

유가 가시광 무선통신(VLC-LED)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

할 수 있었던 건 아마도 그의 이런 노력과 정성 때문이

었을 것이다.

1976년 창립해 올해로 40여 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는 

㈜유양디앤유는 미래가치를 지닌 다양한 사업 분야를 

추진하고 있다. LED 조명을 활용해 언제 어디서나 식

물재배가 가능한 ‘스마트 팜’을 비롯해 18㎡(5평) 내외

의 공간에서 연간 360모작이 가능한 수경재배 시스템, 

풍력발전 시스템과 2차 전지기술, 그리고 LED를 활용

해 만들어내는 다양한 솔루션 기술 등등 환경과 에너지

를 생각하는 미래 산업에 주력하고 있다. 

가시광 무선통신기술,

세계 최초의 상용화

“㈜유양디앤유는 미래가치와 
감성을 적절히 융합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경쟁력이 
있습니다. 조급하지 않게 
천천히, 미래를 바라보며 함께 
한다면 더 많은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   ㈜유양디앤유는 ETRI 기술지원을 통해 가시광 무선통신기술의 세계 최초 상용화에 성공했다.

∧  강태규 박사  

(ETRI LED통신연구실 실장)

∧  ㈜유양디앤유 김상옥 대표

신기술 및 제품개발

㈜유양디앤유

041

>>>

040

>>>

PART 

02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대형마트의 홍보, 광고영상이 부산국제광고제에서 수

상을 하게 된 거예요. 그 영상에 ㈜유양디앤유와 ETRI 

로고가 노출되어 있었는데, 이게 유튜브를 통해서도 

널리 알려지게 된 거죠. 며칠 후 미국과 러시아, 독일 

등 각 국에서 가시광 무선통신기술 관련제품 구매문의

가 계속해서 이어졌어요. 정말 재미있었던 기억들이

죠”라며 ETRI 기술지원 및 상용화 과정에서 있었던 에

피소드들을 전했다.

세계 최초의 상용화. 이런 타이틀을 달기까지는 수많은 

사람들의 양보와 희생을 필요로 한다. ETRI 기술지원 

및 상용화, 그리고 ㈜유양디앤유의 적극적인 기술개발

과 마케팅 노력이 없었다면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은 

불가능에 그쳤을지도 모른다.    

이를 위해 과천에는 별도의 연구소를, 중국 청도에는 

현지법인을 설립, 총 600여 명의 임직원들이 연구 개

발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두고 있기도 하다.   

“㈜유양디앤유의 사업 분야 중에서도 LED 조명을 활

용한 기술들은 다양한 곳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죠. 

200개 이상의 조명을 그룹별로 제어 가능한 ‘LED 조

명제어시스템’은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는 데에도 큰 효

과가 있습니다. 게다가 ETRI의 단말기 제작 및 신기술

지원, 현장테스트 등을 통해 만들어낸 가시광 무선통신

기술은 경기도 양주의 조명박물관과 제주 돔레저타운 

등에 설치, 상용화되고 있으며 향후 ETRI의 단계별 제

품제작과 기술지원 등을 통해 시각장애인 복지관이나 

공공기관 등 다양한 곳에 적용될 예정입니다.”

현재, 가시광 무선통신기술은 외국에서도 테스트 차원

에 머무르는 수준이다. 이 기술을 현장에 상용화하고 

있는 것은 ㈜유양디앤유가 유일. 지난 2014년에는 이 

기술을 통해 대통령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가시광 무선

통신을 활용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자동차 충돌거리 

간격알림 서비스 등 향후 사물인터넷으로의 영역확대

까지 예상되고 있다.

㈜유양디앤유 김병오 연구실장은 “가시광 무선통신기

술 최초 상용화 적용은 대형마트였는데, 시공을 하기 

위해서 어려운 부분들이 조금 있었어요. 낮에는 마트 

고객들이 있으니 밤에만 작업을 할 수 있었죠. 때문에 

ETRI 강태규 박사님이 늘 함께 고생을 해 주실 수 밖에 

없었어요. 매일 밤 12시 30분부터 새벽 5시까지 매번 

현장에 찾아와 시공과정을 확인, 검증해 주시고. 쉽지

만은 않은 부분이었죠. 그리고 이런 일도 있었어요. 

Information

* VLC-LED(Visible Light Communication-Light 

Emitting Diode) 

에너지 효율이 높은 차세대 

광원  중  하나인  LED를  활용해  데이터  및 

정보를 전달하는 무선통신 융합기술

  대형마트와 박물관, 장애인복지관 등 LED 조명이  

있는 곳에서라면 어디든지 적용 가능하며, 

특히 최근에는 가정집에서도 LED 조명을 사용 

하고 있어 향후 사물인터넷 등 적용범위는 

점점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유양디앤유의 제품제조공정. 직원들의 세심한 확인, 검증작업이 필요하다.

∧ 

 가시광 무선통신기술을 활용한 ㈜유양디앤유의 다양한 제품들

신기술 및 제품개발

㈜유양디앤유

043

>>>

042

>>>

PART 

02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40여 년 역사의 ㈜유양디앤유는 이제 또 다른 계획들

을 세워두고 있다. 단기·중기·장기적인 차원에서의 단

계별 목표들을 하나씩 하나씩 실현해나갈 예정이다.

“우선, 단기목표로는 가시광 무선통신기술 관련제품을 

보급, 확대함으로써 널리 알려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 다음에 중기적인 차원에서는 전조등과 자

동차 충돌거리 간격알림 서비스 등에 적용하는 게 목표

지요. 기존의 Wi-Fi를 활용한 서비스는 다른 Wi-Fi와

의 간섭문제 때문에 정확한 기능수행에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가시광 무선통신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장

기적인 차원에서는 공공복지를 실현할 수 있는 위치기

반 서비스를 구축해 나갈 것입니다.”

 

이처럼 단기·중기·장기적인 차원에서의 세부전략들을 

구축해 놓고 있는 기업이 그리 많지는 않다. ㈜유양디

앤유가 지난 40여 년 동안 연륜과 함께 경쟁력을 쌓아

올 수 있었던 건 바로 이 지점이 아닐까 싶다.

강태규 박사(ETRI LED통신연구실 실장)는 “㈜유양디앤유는 

미래가치와 감성을 적절히 융합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경쟁력이 있습니다. 미래 산업이라는 분야가 당장의 매

출과 실적을 보여줄 수 있는 것은 아니지요. 조급하지 

않게 천천히, 미래를 바라보며 함께 한다면 더 많은 시

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라며 ㈜유양디앤유

가 지니고 있는 강점, 그리고 경쟁력에 대해 강조했다.  

기술개발과 국제인증, 실용신안, 디자인 등 특허만 

250개 넘게 보유하고 있는 기업. ㈜유양디앤유가 미

래를 내다보고 적극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은 그만

큼 오래된 전문분야에서의 노하우, 그리고 시대의 트렌 

드를 읽을 줄 아는 능력이 맞물려 돌아가고 있기 때문

이다. ㈜유양디앤유의 지난 40여 년 역사보다도 향후 

400년이 더 기대되는 이유는 바로 그것이다.  

 

미래가치와 감성을

융합시키는

㈜유양디앤유의 경쟁력

 

∧  ㈜유양디앤유의 스마트 LED 식물공장

신기술 및 제품개발

㈜유양디앤유

045

>>>

044

>>>

PART 

02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사물인터넷’이 각광받고 있다. 일상생활 속에서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는 게 없으니 남 얘기인 것만 같다. 

하지만 ㈜이노피아테크의 ‘매직캐스트’를 접하게 되면 확 달라진다. ETRI의 아이디어 제안을 반영해 한 단계 

높은 퀄리티의 ‘매직캐스트’를 선보이고 있는 ㈜이노피아테크. 지금. 여기. 신세계가 펼쳐진다. 


background image

신기술 및 제품개발

이노피아테크

4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

046


background image

경쟁력의 핵심,
ETRI와 아이디어 공유 및
기술개발 협력!

ETRI와의 기술 협력 및 아이디어 회의 등을 
통해 ‘매직캐스트’를 놀라운 제품으로  만들어
낼 수 있었습니다. 특히 ETRI 내에 ‘아이디어 
스핀’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여기서 나오는 
수많은  제안과  아이디어들이  기업의  기술 
개발에도 큰 도움이 됐습니다. 
‘매직캐스트’에  사용되는  클라우드  기술의 
세부내용 또한 ETRI의 도움을 받은 것이고요. 
앞으로도  ETRI와  꾸준한  기술개발협력  및 
아이디어  공유  등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ETRI 밀착지원 내용
①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제안, 신제품 ‘매직

캐스트’ 개발 기술지원

②  가상화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씬 클라이 

언트 포팅 개발 기술지원

③  가상화면 고속 전송기술 세미나 및 기술

자료 제공

“사업과 경영을 하다 보면 간과하게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하지만 ETRI와 함께

하게 되면 전문적인 기술부분에서 미처 

보지 못할 수 있는 것들을 잡아낸다거나  

또 다른 시야에서 볼 수 있는 아이디어들을 

접하게 될 수 있지요. 

그런 작은 것들이 정말 중요합니다. 아니,  

작은 것들이 결국 제품의 퀄리티를 뒤바꿀 

수도  있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함께 

하면 더 좋은 아이디어를 더 빠르게 현실화

시킬 수 있습니다. 그건 스스로 찾지 않으면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Mini 

Interview
/
장만호 대표

㈜이노피아테크의 대표 제품 & 기술

* 신제품 매직캐스트는 IPTV와 케이블TV방송, 사물인터넷, 스마트 홈 기능까지 모든 게 가능

하다. 향후에는 매직캐스트 기술을 활용한 매직미러, 스마트헬멧과 글래스 등 다양한 응용 
제품들이 개발될 예정이다.

더 좋은 아이디어를 더 빠르게 
현실화시킬 수 있는 방법

설 립 년 │ 2000년 

대     표 │ 장만호

소 재 지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갈마치로
 

215 A동 405호

전     화 │ (070) 7820-6300

홈페이지 │ www.innopiatech.com

기업현황

Summary 

Board

신기술 및 제품개발

㈜이노피아테크

049

>>>

048

>>>

PART 

02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이른 새벽, 스마트 폰의 알람소리에 맞춰 TV와 전등

이 서서히 켜진다. TV 화면에서는 오늘의 날씨, 도로 

교통상황, 그리고 전 세계의 아침뉴스가 실시간으로 펼

쳐진다. 눈꺼풀에 매달린 졸음을 겨우 떨쳐내고 몸을 

일으켜 앉아 스마트 폰 안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들을 

TV 화면으로 전송해 하나하나 확인한다. 지난 주, 해

외출장을 다녀오면서 촬영해두었던 경쟁사의 제품들

을 TV를 통해 큰 화면으로 확인하니 이보다 더 좋을 수

가 없다. 그렇게 몇 분여가 흘렀을까. 출근시간에 늦을 

것만 같다. 허둥지둥 준비를 마치고 현관을 나서면서

는 스마트 폰으로 보안시스템을 작동시킨다. 작은 기기 

하나만으로도 이렇게나 가능한 게 많다니. 정말 편리한 

세상이라는 걸 다시금 느끼게 된다.”

이건 미래에서 온 누군가의 일기가 아니다. 그저 픽션이

다. 하지만 누구나 이런 세상을 한번쯤 꿈꿔보지 않았을

까. 아니, 어쩌면 이건 어릴 적 만화영화에서나 접할 수 

있던 얘기인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 모든 걸 가능케 하

는 기업이 여기 있다. ㈜이노피아테크가 바로 그곳이다.

아이디어 제안으로

시작된 신제품 

‘매직캐스트’의 역사

글로벌 기업 구글에 대적하는
단 하나의 마법, 매직캐스트!

∧  ㈜이노피아테크는 ETRI 미디어클라우드연구실의 신기술개발지원을 

통해 4년여 만에 신제품 ‘매직캐스트’를 선보일 수 있었다.

신기술 및 제품개발

㈜이노피아테크

051

>>>

050

>>>

PART 

02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그 때부터 ㈜이노피아테크는 ETRI 미디어클라우드연

구실과 밤낮을 함께하게 된다. 회의와 연구, 기술개발과 

세미나. 몇 날 며칠 꼬박 밤을 지새우는 날이 허다했다.

“4년 동안 제품개발에만 매달렸습니다. 그렇게 탄생한 

게 바로 ‘매직캐스트’라는 제품이지요. USB처럼 생긴 

‘매직캐스트’를 모니터나 TV에 꼽는 것만으로도 모든 

것이 가능합니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가전기기의 전

원을 켜고 끄거나 전등조절을 할 수도 있고 스마트 폰

의 화면 그대로를 TV로 미러링해서 보거나 스마트 폰

에 저장된 영상은 물론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영화를 

TV로 볼 수도 있지요. ETRI의 아이디어, 그리고 기술협

력지원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을지도 모릅니다.”

그렇다. 픽션은 그저 픽션이었을 뿐이다. 모든 것이 가능

하다. ㈜이노피아테크의 신제품 ‘매직캐스트’에서는 신

제품 ‘매직캐스트’의 기능들을 보고 있으면 새로운 세상

에 온 듯한 느낌을 준다. 손안에 들어오는 작은 크기의 

‘매직캐스트’, 우선 그 기능들을 하나하나 살펴보면 “이 

모든 게 정말 가능하단 말이야?”라는 말이 절로 나온다. 

올해로 15년의 역사를 지닌 ㈜이노피아테크는 창업 초

기, 7명의 직원들과 함께 시작했다. 특히 장만호 대표

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1세대. 삼성전자에서 17년 동

안 소프트웨어 개발과 기획을 담당하며 체득한 임베디

드 관련 기술노하우를 ㈜이노피아테크의 제품들에 녹

여내고 있는 장본인이다.

“멀티미디어 기기와 기업용 통신장비 솔루션을 주력사

업으로 하던 중 ETRI와 함께 국책과제를 함께하게 됐

어요.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기술들을 집중적으로 논의

하게 됐죠. 그때 ETRI측에서 제안 하나를 했어요. ‘스

마트 폰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이나 영상들을 TV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만으로는 차별화가 될 수 없을 

것 같으니 클라우드 서버를 활용해 언제 어디서나 사

진, 영상 등 나만의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하자’는 아

이디어였죠. 가능성이 있다고 봤습니다. ㈜이노피아테

크가 만든 기존 시제품에 ETRI의 제안을 기술로 접목

시킨다면 글로벌 기업들을 상대로도 충분히 경쟁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지요.” 

“매직캐스트가 몇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었던 데에는

ETRI 미디어클라우드연구실의  

아이디어와 지원협력이 큰 역할을 했죠.”  

∧  아이디어를 현실화하는 데에는 ETRI 기술지원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정일구 박사(ETRI 미디어클라우드연구실 실장)

∧  ㈜이노피아테크 장만호 대표

신기술 및 제품개발

㈜이노피아테크

053

>>>

052

>>>

PART 

02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신제품 ‘매직캐스트’는 이 외에도 여러 스피커들을 동

일한 네트워크로 연결해 보다 고음질의 사운드를 접할 

수 있는 ‘스마트 오디오’ 기능, 대용량의 영화나 드라마 

콘텐츠들을 언제 어디서나 감상할 수 있는 ‘클라우드 

플레이’ 기능, 집 안의 가전기기 전원을 제어하고 전력

사용량까지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스마트 전원’ 기능

까지 모두 가능하다.

“최근 삼성과 LG 등의 글로벌 TV 제조사를 중심으로 

스마트 TV를 활용한 ‘스마트 홈’ 기술들이 많이 시도되

고 있습니다. 하지만 ‘매직캐스트’와 같이 스마트 폰을 

활용하여 가정의 일반 TV나 모니터 등 어떤 스크린에서

나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의 

개념은 세계 최초입니다. ‘매직캐스트’는 오픈 플랫폼

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더 많은 분야의 연결 가

능한 기기와 서비스가 포함되기 시작하면 좀 더 다양한 

기능들이 가능하게 될 거예요. 이처럼 ‘매직캐스트’가 

몇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었던 건 ETRI 미디어클라

우드연구실의 아이디어와 지원협력이 큰 역할을 했죠.”

ETRI 미디어클라우드연구실은 ‘매직캐스트’가 개발

되기까지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 시스템 기술지원, 

앱 스트리밍 및 클라우드 게임과 안드로이드 TV 관련 

아이디어 제안, 기술 세미나 등 전 방위적인 지원을 펼

쳤다. 더 나아가 향후에는 기술력 확대를 통한 품질 안

정화, 해외시장 개척지원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정일구 박사(ETRI 미디어클라우드연구실 실장)는 “ETRI 또한 

㈜이노피아테크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연구

실에서 연구만 하다 보면 현장에서 소비자가 무엇을 원

하는지 제대로 모를 때가 많은데 ㈜이노피아테크와 함

께 ‘매직캐스트’ 기술개발지원을 하면서 현장감각까지 

배울 수 있었습니다. 

우선, ‘매직캐스트’는 스마트 폰 안에 있는 모든 콘텐츠

를 TV에서도 볼 수 있게 만든다. 유튜브 영상은 물론이

고 사진, 음악 콘텐츠까지.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의 사

진을 TV로 무선 전송한 후 액자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도 있다. 이 기능은 집 안에서 디스플레이 액자처럼 사

용할 수도 있겠지만, 음식점의 경우라면 스마트 폰으로 

메뉴소개 자막을 만들어 TV화면에 실시간 전송한다거

나 음식점 홍보 관련 내용들을 지속적으로 노출하는 용

도로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점뿐만 아니라 결혼

식장, 행사장 등 각 상황과 장소에 따른 활용범위가 굉

장히 넓다.

스마트 동글을 활용한

세계 최초의 사물인터넷

Information

*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 : 기계  

또는 전자장치에 두뇌역할을 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장착해  설계함 

으로써 효과적인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 사물인터넷 : 가전제품 등 생활 속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환경. 사람이 직접 관여하지 않아도 물건 혹은  

기기들끼리  데이터와  정보를  주고받으며 

다양한 서비스 제공

*  동글(Dongle) :  TV  또는  모니터의  HDMI 

포트에 연결하여 영상 및 음향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마치 USB 메모리스틱과 같은 작은 

크기의 하드웨어. 구글은 ‘크롬캐스트’라는 

동글제품 출시

  ㈜이노피아테크는 고유의 기술경쟁력과 서비스를 바탕으로 

구글과도 경쟁할 수 있는 기업이 되고자 한다.

∧  매직캐스트가 탄생할 수 있었던 것은 ETRI의 기술협력과 함께       
     이노피아테크 직원들의 끊임없는 연구개발이 있었기 때문이다.

신기술 및 제품개발

㈜이노피아테크

055

>>>

054

>>>

PART 

02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뿐만 아니라 누구든 언제든지 자신의 아이디어를 말할 

수 있는 ㈜이노피아테크의 자유로운 기업문화를 보며 

많은 것들을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됐지요”라며 ㈜이

노피아테크와 함께하는 과정에서 느꼈던 부분들을 상

세히 전했다.

㈜이노피아테크의 ‘매직캐스트’는 이제 제품을 알리기 

위한 본격적인 마케팅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매직캐

스트’ 플랫폼 안에 들어와 서비스하고 싶은 기업들과도 

연계해 더 많은 시너지 효과를 낼 예정이다.

“어떤 분야의 서비스도 ‘매직캐스트’ 플랫폼 안에 들어

올 수 있습니다. IPTV나 케이블TV 방송, 사물인터넷, 

스마트 홈 기능까지 모든 게 가능하지요. 향후에는 매

직캐스트 기술을 활용한 매직미러, 스마트헬멧과 글래

스, 빔프로젝터 등 다양한 방면으로 응용한 제품들이 

개발될 것입니다. 현재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미디

어 분야에서는 ㈜이노피아테크가 누구보다도 가장 많

이 고민하고 있다고 자부하고 있고, 또 실제 서비스로 

구현하고 있는 만큼 이러한 기술과 서비스를 바탕으로 

구글과도 경쟁할 수 있는 기업이 되고자 합니다. ‘매직

캐스트’를 통해 전 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더 넓은 비즈

니스 모델을 만들어 나갈 것입니다.”

현재 ㈜이노피아테크는 전 직원 130여 명 중 100명이 

엔지니어이고, 또 그 중 90명이 소프트웨어 담당 개발

자일 정도로 소프트웨어 중심의 벤처회사다. 다양한 소

프트웨어 개발 분야를 경험할 수 있는 회사이다 보니 

콘텐츠의 통합과 응용을 현장에서 배울 수 있는 강점도 

있어 직원들의 근속연수 또한 높다. 15년 전 창업 당시 

처음 입사한 신입사원 5명이 아직도 근무하고 있는, 보

기 드문 벤처회사이기도 하다.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열려있는 사고(思考), 그

리고 경계를 허물어 많은 것들을 융합시키는 ㈜이노

피아테크의 기업문화는 결국 새로운 패러다임의 ‘매직

캐스트’를 탄생시켰다. 이제 ㈜이노피아테크의 무대

는 세계다. 구글과 경쟁하며 세상을 조금씩 변화시켜

가는 ㈜이노피아테크의 마법이 기대되는 건 바로 그

래서다.  

매직미러, 스마트 글래스 등

다양한 분야의 사업으로

확대할 계획

∧  신제품 매직캐스트에서는 IPTV와 케이블TV 방송, 사물인터넷, 스마트 홈 기능까지 모든 게 가능하다.
     향후에는 매직캐스트 기술을 활용한 매직미러, 스마트헬멧과 글래스 등 다양한 응용제품들이 개발될 예정이다.

신기술 및 제품개발

㈜이노피아테크

057

>>>

056

>>>

PART 

02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Change!

변화는 

또 다른 도전이다

기술 혁신

㈜큐에스아이 | 혁신은 작은 것의 변화에서부터 시작된다! 

케이아이티밸리㈜ | IT기술로 재난재해를 관리하는‘컨트롤 타워’

PART

 

03


background image

㈜큐에스아이가  만들어내고  있는  레이저  다이오드  기술  또한  레이저  프린터와  대형마트의  바코드 

스캐너 등 주변에서 늘 만날 수 있는 기술. 이에 만족하지 않고 ETRI의 기술지원을 통해 또 다른 차원의 

혁신을 가능케 하고 있다.


background image

기술 혁신

큐에스아이

5

>>>

060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

060


background image

ETRI 기술지원을 통한 혁신,
흔들리지 않는 경쟁력을
뒷받침하다! 

㈜큐에스아이가  ETRI  광무선융합플랫폼 
연구실로부터 받은 지원 내용은 제품 혁신을 
위한  기술지원,  시뮬레이션  교육지원, 
제조공정 보완 및 분석방법지원 등입니다. 
㈜큐에스아이는 이를 통해 제품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기술 인력들의 맨 파워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가 있었지요. ETRI를 
통한 기술 혁신은 레이저 다이오드 분야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만들어 줄 것입니다.   

ETRI 밀착지원 내용
①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제작의 문제점 개선 

및 기술보완지원을 통한 기술 혁신지원

②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해석 툴 밀착교육 

지원 및 전문성 함양

③  소자 제작 결과에 대한 평가 및 원인분석

지원, 보완설계 제안

설 립 년 │ 2000년 

대     표 │ 이청대

소 재 지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천흥 8길 17

전     화 │ (041) 410-5004

홈페이지 │ www.qsilaser.com

기업현황

“기업의  생산현장은  굉장히  바쁘게  돌아 

갑니다. 때문에 다른 것들을 찾아보고 구상

할 수 있는 여유가 없지요. 하지만 기업의 미래

비전을  만들어  나가려면  미래의  아이템도 

구상해야만 하고 단계별 운영전략도 수립해

둬야만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ETRI의 

도움이 절실하지요. 게다가 ETRI는 시스템과 

기술에 대한 기본 개념을 지닌 전문 인력들이 

많기  때문에  기술의  응용과  상용화에  큰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큐에스아이는 

ETRI 기술지원, 그리고 혁신을 통해 영업 

이익률이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으며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분야  시장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지니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좋은 것도 활용을 제대로 해야만 그 가치를 

발하는 법입니다. ETRI는 중소기업이 활용

할 수 있는 최대의 가치입니다.” 

Mini 

Interview 
/

“ETRI,

중소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최대의 가치”

Summary 

Board

방동수 상무이사

㈜큐에스아이의 대표 제품 & 기술

* 레이저 다이오드 기술은 향후 사물인터넷과 동작인식 등 더 넓은 영역으로의 사업으로 확대

될 예정이다.

 

PART 

04

>>>

062

063

>>>

PART 

03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기술 혁신

㈜큐에스아이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PART 

03


background image

㈜큐에스아이는 2000년에 설립된 세계적인 ‘레이저 

다이오드’ 전문기업이다. 

레이저 다이오드란, 레이저 프린터와 대형마트의 바코

드 스캐너 등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핵심부품. 향

후 동작인식과 국방산업,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분야

로의 응용이 가능한 미래 산업이기도 하다. 하지만 지

금까지 레이저 다이오드 기술은 일본이나 유럽 등 선

진국에 한해서만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었다. 국내에

서는 거의 불모지나 다름없었던 기술 분야. 이런 상황

에서 ㈜큐에스아이는 레이저 다이오드 관련 생산 공

정을 원스톱으로 갖추고 국내 유일의 레이저 다이오드 

전문기업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중이다.

㈜큐에스아이 방동수 상무이사는 “레이저 다이오드 생

산 프로세스 중 몇 가지만을 담당하여 진행하고 있는 

기업들은 일부 있습니다. 하지만 레이저 다이오드와 관

련한 전 공정을 제대로 갖추고 있는 곳은 ㈜큐에스아

이가 유일하지요.”라고 말했다. 

전 세계

레이저 다이오드 시장의

25%를 점유하고 있는 기업

혁신은
작은 것의 변화에서부터 시작된다!

  ㈜큐에스아이는 국내에서 거의 불모지나 다름없는 레이저 다이오드 

분야의 전문기업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곳이다.

PART 

04

>>>

064

065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기술 혁신

㈜큐에스아이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PART 

03


background image

해도 그 이유를 알지 못하면 안정성을 업그레이드시킬 

수도 없는 노릇. 이런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ETRI 광

무선융합플랫폼연구실은 문제점이 발생하는 이유를 

근본적으로 찾아내기 위해 노력했다. 그리고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의 소자에서 일부 소재의 특성이 제품

의 안정성을 낮추고 있다는 걸 곧 알아냈다. 해당 소재

를 바꾸기 위해서는 제조공정과 설계기술을 모두 바꿔

야만 할 일. 

㈜큐에스아이는 망설임 없이 ETRI의 제안을 제조공정

에 적용시키기 시작했다. 그렇게 생산과정에서의 오류

와 문제점들을 하나하나 잡아나가기 시작했다.

이어 “전 세계 레이저 다이오드 시장의 25%, 레이저 

프린터 시장의 45%를 점유하고 있으며 파나소닉과 라

이카, 모토로라 등의 글로벌 기업들과도 파트너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게다가 회사 인원의 절반 이상이 개발

자와 엔지니어들로, 안정적인 기술력을 갖추고 있어 신

뢰할만한 레이저 다이오드 전문기업으로 자리매김하

고 있습니다”라며 ㈜큐에스아이의 사업영역과 경쟁력

에 대해 설명했다.

그렇다면 이처럼 레이저 다이오드 분야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차지하고 있는 ㈜큐에스아이가 ETRI 기술지원 

및 자문을 받게 된 계기는 무얼까.  

“그동안은 비교적 출력이 낮은 레이저 다이오드 제품군

을 중심으로 생산했었습니다. 하지만 일부 제품군들이 

시장에서 쇠퇴하기 시작하고 가격 경쟁력 또한 악화되

면서 새로운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한 제품으로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가 필요했죠. 물론 선진기업들의 벤치

마킹을 통해 제품개발, 생산을 할 수도 있었지만 그러

기에는 개발소요시간과 기술력의 노하우가 상당히 많

이 필요했습니다. ETRI의 도움이 절실했던 거죠. 그때

부터 ETRI 광무선융합플랫폼연구실과 1실 1기업 맞춤

형 기술지원 협약을 맺고 단계별 기술지원 및 제품개발

기술지원을 받게 됐습니다.”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무엇 

보다 중요한 건 제품의 안정성이었다. 문제점이 발생

“서로의 의견을
솔직하게 얘기하고 받아들일 때
목표 또한 명확해질 수 있겠지요.”

∧>

  ㈜큐에스아이는 설계기술과 제조공정 등에 ETRI의 제안을 적용시킴으로써 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

∧  ㈜큐에스아이 방동수 상무이사

∧  임영안 박사(ETRI 광무선융합플랫폼연구실 실장)

PART 

04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

066

067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기술 혁신

㈜큐에스아이

PART 

03


background image

ETRI 광무선융합플랫폼연구실은 고출력 레이저 다이

오드 개발과 관련한 시뮬레이션 교육지원, 공정기술지

원 및 분석방법지원 등을 통해 ㈜큐에스아이의 생산제

품이 안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전 방위적인 노력을 기

울였다. 

㈜큐에스아이 또한 중장기적 역량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해 박사급 인력을 별도 채용함으로써 ETRI 광무선융

합플랫폼연구실과의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꾀했다. 

㈜큐에스아이는 이러한 혁신과정을 통해 제품수율 향상

이 있었으며 영업이익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기 시작

했다. 뿐만 아니라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분야의 시장

에서 독보적인 기술 경쟁력까지 갖출 수 있게 됐다.

임영안 박사(ETRI 광무선융합플랫폼연구실 실장)는 “제품의 안

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테스트 과정이 필요

할 뿐더러 제조공정과 기술구조, 생산방식 등을 모두 

바꿔야만 하기 때문에 어려운 부분이 있었습니다. 하

지만 ㈜큐에스아이와 ETRI가 적극적으로 상호 작용

함으로써 안정적인 품질의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를 

생산할 수 있었죠. 생산과정에서 어떤 내용을 제안하

고 난 후 그 결과가 너무 좋게 나왔을 때의 기분은 이

루 말할 수 없이 기쁩니다. 이런 순간들이 하나하나 쌓

이게 되면서 좋은 결실 또한 맺을 수 있게 된 것이겠지

요. 서로의 생각과 목표가 다르면 업무효율이 증가할 

수 없습니다. 더하고 빼는 것 없이 서로의 의견을 솔직

하게 얘기하고 받아들일 때 목표 또한 명확해질 수 있

겠지요”라며 하나의 목표를 위해 함께하는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큐에스아이는 ETRI로부터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개발을 위한 원인분석과 기술지원을 받았을 뿐만 아

니라 문제점 개선을 위한 설계기술지원 및 개발기술

을 이해시키기 위한 밀착교육, 문제점 개선을 위한 해

결책 등을 지원받았으며 이를 통해 제품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생산과정에서의 시간과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이렇게 생산된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는 일본의 미쓰비시, 샤프 등 선진기

업들의 제품과 비교했을 때에도 우수한 성능을 보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까지 갖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ETRI 기술지원을 통해

세계적인 수준의 제품생산

 

 ㈜큐에스아이는 ETRI의 분석지원, 설계기술지원 등을 통해 대내외적인 기술 혁신을 이뤄낼 수 있었다.

 

 ㈜큐에스아이의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는 일본의 미쓰비시, 샤프 등

     선진 기업들의 제품과 비교했을 때에도 우수한 성능을 보유하고 있다.

PART 

04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

068

069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기술 혁신

㈜큐에스아이

PART 

03


background image

㈜큐에스아이는 지난 15년 간 축적된 반도체 및 레이저 

다이오드 기술력을 근간으로 하여 새로운 영역으로의 

사업범위를 넓혀나갈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꾸준한 기

술개발 및 제품개발을 통해 세계적인 레이저 다이오드 

전문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자하는 목표를 지니고 있다.

방동수 상무이사는 “현재 ㈜큐에스아이는 가시광 및 

근적외선용 레이저 다이오드 제품생산에 주력하고 있

습니다. 향후에는 ETRI의 지원을 통해 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상용화를 준비 중에 있고 ETRI와도 기술지

원, 시장분석, 판로지원 등 좀 더 넓은 형태의 기술지원 

및 협업을 할 계획이지요. 지금까지 레이저 다이오드는 

바코드 스캐너나 레이저 프린터 등에만 활용되어 왔습

니다. 하지만 앞으로 동작인식과 군사기술, 디스플레

이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될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분야이

기도 하지요. ㈜큐에스아이도 이에 발맞춰 중·장기적인 

신규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3D 프

린터와 사물인터넷, 무인인식 자동화기기 등 레이저 다

이오드 시장 확대를 통해 레이저 다이오드 분야에서의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입니다”라며 ㈜큐에

스아이의 미래비전과 중·장기 계획에 대해 설명했다.

한 분야에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나간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설혹 그 길이 누군가의 길을 따라가는 것이라

고 해도 처음 가는 길은 도움이 필요한 법. ㈜큐에스아

이는 ETRI 기술지원 및 교육지원 등을 통해 스스로 또 

다른 혁신을 가능케 했다. ‘원하면 이뤄진다’라는 말은 

결코 거짓이 아니다. 레이저 다이오드 분야의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고 있는 ㈜큐에스아이를 보면 모

든 것이 증명된다.  

 

레이저 다이오드 분야에서의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

Information

* 레이저 다이오드(LD, Laser Diode) : 반도체  

접합을 통해 발생하는 레이저라고 해서 일명  

‘반도체 레이저’라고도 함 

   광학용 디스크 드라이브와 대형마트의 바코드 

스캐너, 레이저 프린터 및 레이저 포인터 등에 

사용

PART 

04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

070

071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기술 혁신

㈜큐에스아이

PART 

03


background image

 

전 세계적으로 자연재해의 횟수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2000년대 이후 한반도에서의 지진발생횟수는 

평균 48회로, 2000년대 이전보다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신뢰할만한 재난방재시스템이 꼭 필요한 이때, 

ETRI의 신기술 지원 및 혁신을 통해 케이아이티밸리㈜가 재난방재시스템의 신세계를 선보이고 있다. 


background image

기술 혁신

케이아이티밸리㈜

6

>>>

KITvalley 
Prevention of disasters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

072


background image

재난방송시스템
연계 기술지원,
재난방재시스템의 혁신을
가져오다! 

ETRI 기술지원을 통해 기존의 지진조기경보
시스템과 연계한 자동인지 DMB 재난방송 
시스템 설계기술을 확보하게 됐습니다. 
또한 재난방송 온라인 시스템 고도화 기술
개발에 대한 집중적인 기술지원을 받았으며  
결과적으로 국내 최고의 ‘재난방송 온라인 
시스템’, ‘지진조기경보 분석/통보기술’을 보유할 
수 있었다는 점이 가장 큰 이점입니다.

ETRI 밀착지원 내용
①  지진조기경보시스템  연계  기술지원  및 

재난 통보시간 단축

②  DMB 기술과 접목된 자동인지 재난방송 

시스템 설계 기술 및 성능시험지원

③  재난방송  온라인시스템을  업그레이드를 

위한 기술지원

Mini 

Interview 
/
장미호 대표

케이아이티밸리㈜의 대표 제품 & 기술

* 케이아이티밸리㈜의 지진조기경보시스템 및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은 재난과 관련한

   대국민통보시간을 크게 단축시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설 립 년 │ 1998년

대     표 │ 장미호

소 재 지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 디폴리스 A동 1907호

전     화 │ (02) 861-9700

홈페이지 │ www.kitvalley.com

기업현황

“ETRI 기술지원 프로그램,  

  중소기업에게 꼭 필요한 무기”

“ETRI를 이용하세요. 물론 ‘이용’이라는 

단어가 적절치 않다는 건 알지만, ETRI와 

함께 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을 이만큼 잘 표현한 단어는 없을 것 

같습니다.  ETRI  기술지원  프로그램은 

중소기업에게  꼭  필요한  무기를  제공 

합니다.  때문에  어느  정도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가지고  있다면  ETRI로부터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기업이 자력으로 

기술개발을 한다는 게 어렵습니다. 

ETRI 기술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 

혁신을 달성하고 기업운영의 효율성을 

확보한다면 그보다 더 큰 경쟁력은 없을 

것입니다.” 

Summary 

Board

075

>>>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074

기술 혁신

케이아이티밸리㈜

PART 

03


background image

IT기술로 재난재해를 관리하는
‘컨트롤 타워’

 

지진과 홍수, 가뭄, 태풍 등 자연재해로 인한 사고가 빈

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유엔 재해경감 국제전략사무국’

(UN ISDR)이 발행한 2015년 세계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자연재해로 인한 전 세계 경제적 손실이 계속 증가해 연 

평균 330조 원 규모에 달한다고 한다. 자연재해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각국 정부가 매년 이와 비슷한 정도의 

예산을 확보해둘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처럼 자연재해는 그 피해규모와 횟수가 점점 더 증가

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재해예방의 필요성 또한 확

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에서도 재난예방과 분석 관

련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는데, 이 분야에서 

가장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기업이 바로 '케

이아이티밸리㈜’다.

17년 외길을 걸어온

재난방재 IT 솔루션 전문기업

  케이아이티밸리㈜는 지난 17년 동안 재난방재와 관련한 분야에서만 

외길을 걸어온 재난방재 IT 솔루션 전문기업이다.

077

>>>

076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기술 혁신

케이아이티밸리㈜

PART 

03


background image

케이아이티밸리㈜ 장미호 대표이사는 “지진·해일 연

구사업 및 재난재해 통합구축사업, 그리고 재난재해 통

보 및 대응시스템 구축사업. 크게는 이렇게 두 가지 사

업 분야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진 및 지진해일에 대

한 분석솔루션, 재난대응업무지원시스템, 재난방송온

라인시스템 등을 구축하는 것도 모두 여기에 포함되지

요. 특히 지진·해일 연구사업 분야에서는 국내에서 가

장 앞선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재난방재기술과 IT

를 접목시킴으로써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

는 것, 이것이 케이아이티밸리㈜의 목적입니다”라며 

기업의 사업 분야와 목표를 명확히 했다.

지난 17년 동안 재난방재와 관련한 분야에서만 외길을 

걸어온 재난방재 IT 솔루션 전문기업 케이아이티밸리㈜, 

이 기업이 재난방재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는 무얼

까. 그리고 ETRI와 함께 기술개발 및 연구를 시작하게 

된 사연은 어떤 내용일까.

“ETRI 기술지원으로 확보한 ‘재난방송 
온라인시스템’ 등의 신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매년 
10% 이상의 매출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솔루션개발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ETRI와의 동반성장을 가능케 할 것입니다.”

“사업 초기에는 네트워크 통합, 시스템 통합과 관련된 

분야에서부터 시작했었죠. 그런데 언젠가부터 재난예

방관리시스템에 관심이 가기 시작했어요. 당시, 대부

분의 시스템과 소프트웨어를 외국에서 들여와 사용하

더라고요. 제품구매비용 뿐만 아니라 인력충원에 투자

되는 비용도 만만치 않았죠. 재난예방 및 관리시스템

을 국산화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렇게 재난방재

와 관련한 사업을 추진해오던 중 국가연구과제를 함께 

하게 되면서 ETRI를 만나게 됐죠. 때마침 ETRI 모바일

미디어융합연구실에서도 자동인지 DMB 재난방송시

스템 및 지능·맞춤형 통합경보시스템 등을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있던 상황이어서 ETRI의 기술개발지원, 교

육 및 설계지원을 받는다면 시너지 효과가 있을 수밖에 

없었어요. 케이아이티밸리㈜와 ETRI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이 같았을 뿐더러 둘의 타이밍도 잘 맞았던 거죠

(웃음).”

∧  케이아이티밸리㈜ 장미호 대표

∧ 이용태 박사(ETRI 모바일미디어융합연구실 실장)

∧  그 동안 케이아이티밸리㈜가 받았던 상패 및 기술인증패

079

>>>

078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PART 

03

기술 혁신

케이아이티밸리㈜


background image

케이아이티밸리㈜는 ETRI 모바일미디어융합연구실로

부터 지진·해일 조기경보용 자동인지 재난방송시스템 

및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의 고도화 기술개발에 대한 

지원을 받기 시작했다. 정기적인 기술자문 및 기술지원

은 물론 분기별 정기회의를 통해 개발과정에서의 애로

사항이나 해결방안을 함께 모색하기도 했다.

케이아이티밸리㈜ 연구기획팀의 조범준 책임은 “2주 

동안 매일 밤을 새며 ETRI와 함께 국가연구과제를 준

비할 때가 있었어요. 회사가 새 건물로 이전하고 얼마 

되지 않았을 때여서 페인트나 화학물질 냄새가 많이 났

었죠. 잠시만 머물러도 머리가 꽤 아팠어요. 그런데도 

불구하고  ETRI 모바일미디어융합연구실의 박사님과 

매일 머리를 싸매고 수많은 회의를 했죠. 그다지 좋은 

에피소드라고는 할 수 없지만(웃음), 아마도 그런 시간

들이 있었기에 케이아이티밸리㈜와 ETRI가 더 가까워

질 수 있던 게 아닐까요? 좋은 결과물들을 만들어낸 이

유도 마찬가지일 거라고 생각합니다”라며 케이아이티

밸리㈜와 ETRI가 함께 하면서 있었던 재미난 에피소

드들을 전했다. 

이어 케이아이티밸리㈜ 장 대표는 “이용태 박사님은 

열정 그 자체예요. 바쁜 일정에도 불구하고 재난방재

와 관련된 회의가 있다면 한 번도 빠지시는 일이 없었

죠. 정성이 아니라면 그렇게까지 할 수가 없을 거예요. 

늘 함께하고 있다는 느낌? 그게 그렇게 든든할 수가 없

습니다”라며 ETRI 모바일미디어융합연구실과 함께한 

순간들을 떠올렸고, 이용태 박사(ETRI 모바일미디어융합연구

실 실장)는 “케이아이티밸리㈜에 기술지원 및 자문을 하

게 되면서 다양한 시너지 효과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ETRI에도 많은 도움이 됐고요. 케이아이티밸리㈜가 

먼저 적극적으로 다가와준 것이 큰 행운이었다고 생각

합니다”라는 말로 답했다.

케이아이티밸리㈜의 지진조기분석기술은 현재 기상청

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지진재해대응시스템은 소

방방재청에서 이용하고 있다. 

특히 지진·해일 조기경보시스템과 분석기술은 국내에

서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도 4

번째 개발된 독자기술로, 경쟁력 또한 충분히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글로벌 경쟁력까지 갖춰

∧  케이아이티밸리㈜의 지진·해일조기경보시스템 및 재난방송온라인
     시스템은 재난과 관련한 대국민통보시간을 크게 단축시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재난경보 관련분야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케이아이티밸리㈜는 향후에도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거듭해 나갈 계획이다.

081

>>>

080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기술 혁신

케이아이티밸리㈜

PART 

03


background image

Information

* 지진해일조기경보시스템 : 네트워크와 구축 

시스템 등을 통해 지진과 해일 등의 재난을 

미리 파악하고 알리는 기술. 오랜 기간 축적

된 데이터와 전파기술의 노하우가 중요

*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 : 재난과 관련한 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알리는 기술. 공중파를 통해 

알리는 방법보다 더 빠른 전파속도를 지니고 

있음

지진조기분석 및 경보관련분야에서 국내 시장 점유율 

1위를 확보하고 있는 케이아이티밸리㈜의 중·장기적 

차원의 목표는 지속적인 기술 혁신이다. 지금까지의 기

술우위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모르는 상황임과 동시에 

재난방재와 관련한 신기술은 꾸준히 나오고 있기 때문.

“ETRI 기술지원을 통해 재난과 관련한 대국민통보시간

을 크게 단축한 것은 물론 ETRI 기술지원으로 확보한 

‘재난방송 온라인시스템’ 등의 신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재난경보시장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 매년 10% 이상

의 매출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으로 

국가연구과제에 참여하면서 최신 트렌드에 적합한 솔

루션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는 ETRI와의 동반성장을 가능케 할 것입니다.”

어떤 분야에서 1위를 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도 물론 

어렵다. 

하지만 그보다 더 어려운 것은 1위를 유지하는 것이다. 

수많은 경쟁자들 사이에서 1위를 유지하려면 이전보다 

더 많은 노력과 연구, 그리고 스스로를 제어하고 통제

할 줄 아는 능력까지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케이아이티밸리㈜의 국내 시장 점유율 1위는 당분간 

그대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중·장기적인 차원의 목

표가 ‘기술 혁신’과 ‘동반성장’인 이상 초심을 잃지 않

는 한은 현재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게 될 것이다. 그리

고 탄탄한 기술력을 근간으로 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활

약하게 되는 케이아이티밸리㈜의 모습을 조만간 확인

하게 될 지도 모른다.  

ETRI의 지속적인

기술지원을 통한

혁신, 동반성장이 목표

   회사와 직원들의 장기적인 목표가 ‘기술 혁신’, 그리고 ‘동반성장’인 

이상 케이아이티밸리㈜의 경쟁력은 점점 더 강화될 것이다.

083

>>>

082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기술 혁신

케이아이티밸리㈜

PART 

03


background image

장비 및 시험지원

㈜테스 | TES, 당신이 생각하는 기술력, 그 이상!

케이아이씨시스템즈㈜ | 그들이 만들어가는 ‘멋진 신세계’

㈜아큐픽스 | ‘완벽’은 수천 번의 테스트에서부터 시작된다!

Practice!

연습과 실험은

우리를 좀 더 

완벽하게 만든다

PART

 

04


background image

반도체 장비시장은 연 60조원에 달하는 규모다. 이 중 국내 시장은 대부분 미국과 일본 등 외국의 반도체 

장비회사가  장악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  유일의  반도체  장비를  선보이는  기업이  있다.  장비 

개발 기술지원 및 데이터 분석지원 등 ETRI의 전 방위적인 지원을 등에 업고 성장하는 기업, ㈜테스다.

  


background image

장비 및 시험지원

테스

7

>>>

TES  
Technology engine of 
science create future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

086


background image

ETRI 장비개발 기술지원,
㈜테스를
전 세계에 알리다!

㈜테스는 ETRI로부터 장비개발 기술지원 
및 분석기술지원 등을 받았습니다. 
특히 반도체 장비들은 고가의 장비이다 보니 
일정 수준 이상의 검증단계가 필요한데, ETRI 
GaN전력소자연구실의 장비개발 기술지원과 
실험분석지원 등은 해당 장비의 안정성을 
한껏 올려줄 수 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기술개발기간을 50% 이상 단축하고 2억 
5,000만 원의 개발비용 절감효과까지 얻을 
수 있었지요. 기술적 검증이 필요한 부분에서는 
ETRI가 큰 도움이 됩니다. 

ETRI 밀착지원 내용
①  MOCVD  장비개발  기술지원,  설계지원 

및 UV 광원용 기술 자문

②  시료분석 장비를 통한 분석지원
③  MOCVD 및 UV 광원 기술동향 시장분석 
    지원

“ETRI  기술지원을  받으면서  25억  원 

규 모 의   국 책 과 제 도   함 께   진 행 하 게 

됐습니다. 이처럼 꾸준히 맨 파워를 연계

해 나갈 수 있다는 점이 ETRI와 함께하게 

되어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보람입니다. 

중소기업의 입장에서는 먼저 ETRI의 문을 

두드려야 합니다. 그리고 그에 맞는 현명한  

답을  얻기  위해  명확한  질문을  준비 

해야만 하겠죠. ETRI는 중소기업의 파트너

입니다. 상호 동등한 노력, 그것이 뒷받침

되어야만 진정한 협력이라 할 수 있을 것

입니다.” 

Mini 

Interview
/
이선호 이사

“현명한 답을 얻기 위해서는

명확한 질문을 준비해야”

설 립 년 │ 2002년 

대     표 │ 주숭일

소 재 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중부대로 2374-36

전     화 │ (031) 323-2552~4

홈페이지 │ www.hites.co.kr

기업현황

㈜테스의 대표 제품 & 기술

* 현재 ㈜테스는 국내 최초로 개발한 ‘비정질탄소박막 플라즈마화학증착(PECVD ACL) 

장비’를 통해 국내외 반도체 장비시장에서의 점유율을 점차 넓혀갈 계획이다.

Summary 

Board

089

>>>

088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장비 및 시험지원

㈜테스

PART 

04


background image

TES,
당신이 생각하는 기술력 그 이상!

한국은 반도체 기술 및 생산능력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나라 중 하나다. 하지만 이처럼 반도체 

기술이 눈부시게 성장하는 가운데, 유독 반도체 관련 

장비 및 공정분야는 열세인 상황. 이런 와중에 반도체 

장비의 국산화를 통해 세계적인 기업으로 발돋움해 나

가고 있는 곳이 있다. ㈜테스가 바로 그곳이다. 

㈜테스 이선호 이사는 “2002년 설립된 ㈜테스는 창

립멤버 10여 명 모두가 엔지니어 출신입니다. 삼성전

자, 현대전자 등에서 반도체 관련 업무를 하던 분들이  

㈜테스의 기틀을 잡아가게 됐죠. 특히 주숭일 대표님

은 삼성전자 제조기술 팀장에서부터 SK하이닉스 부사

장까지 거치며 한국 반도체 역사를 함께해온 ‘한국 반

도체 역사의 1세대’입니다. ㈜테스라는 이름을 중심으

로 모이게 되면서 반도체 장비의 개발 또한 시작하게 

됐지요”라며 ㈜테스의 지나온 역사를 간략히 설명했다.

한국 반도체

그 역사의 주인공들,

㈜테스라는 이름 아래 뭉치다

  한국 반도체 역사의 1세대들이 모여 시작한 기업이 바로 ㈜테스다.

091

>>>

090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장비 및 시험지원

㈜테스

PART 

04


background image

하지만 처음부터 반도체 장비를 제작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니었다. 대부분의 장비는 외국에서 들여와 사용하는 

기업들이 많았고 이제 막 설립된 기업이 외국기업들과 

경쟁하는 것은 ‘계란으로 바위치기’나 다름없는 것이었

다. ㈜테스는 이때부터 반도체 유휴장비들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 납품하기 시작했다.

“한 대에 수십억 원이나 하는 반도체 장비들을 그대로 

폐기처분하는 것은 국가적으로도 비효율적인 일이라

고 생각했죠. 장비 개조 및 업그레이드를 통해 틈새시

장을 파고들면서 외국의 반도체 장비 기업들과 조금씩 

경쟁해 나가기 시작했습니다.”

“기업의 입장에서 새로운 
아이템을 시작할 때에는 
그만큼의 위험이 따르게 
되지요. 이런 상황에서 
ETRI는 든든한 멘토 역할을 
해줍니다.”

∧  고상춘 박사(ETRI GaN전력소자연구실 실장)

   ㈜테스는 ETRI의 다양한 실험장비지원 및 시뮬레이션 분석지원 

등을  통해 제품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었다.

∧  ㈜테스 이선호 이사

반도체 작업공정은 날이 갈수록 점점 더 세분화되기 시

작했고, 언제인가부터는 장비 업그레이드만으로 시장

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자체 기

술만으로 반도체 장비를 만들어야만 하는 상황에 직면

하게 된 것이었다. 

태양광 및 전지 관련사업, LED 디스플레이 관련사업

들로 사업영역을 확대해 나가는 동시에 반도체 장비 자

체제작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그러나 반도체 장비라는 

건 물리와 화학, 재료 등 다양한 요소에 대한 이해를 기

반으로 해야만 제작이 가능한 분야. 누군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했다. 그때부터 ETRI GaN전력소자연구실

과의 인연이 시작된다.

093

>>>

092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장비 및 시험지원

㈜테스

PART 

04 


background image

㈜테스가 ETRI로부터 기술지원을 받기 시작한 건 이

보다 조금 더 거슬러 올라간다. LED 디스플레이 분야

로 사업을 막 넓혀가기 시작할 때쯤 다양한 기술지원과 

자문을 구하기 위해 ETRI의 문을 두드렸었고 그 순간

부터 지금까지 인연을 이어오고 있는 것이다.

“처음엔, ETRI에 기술지원을 요청할 때 부담감이 좀 

있었어요. ‘연구원이기 때문에 조금은 폐쇄적인 생각과 

시선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많지 않을까’하는 걱정과 

불안이 함께했죠. 근데 ETRI의 연구원 분들을 직접 만

나면서 그런 생각들이 여지없이 깨져버리는 거예요. 게

다가 ETRI의 소장님께서 ”ETRI를 언제든지 부설연구

소처럼 사용해 달라“라고 하셨던 말씀이 너무나 큰 힘

이 됐습니다. 편안했던 첫 인상이 ETRI에 대한 인식을 

송두리째 바꿔버린 거죠. 그리고 1실 1기업 맞춤형 기

술지원을 맺고 MOCVD 관련 장비개발기술지원, 기술

ETRI는

중소기업을 업그레이드 시키는

‘든든한 멘토’

동향과 실험분석지원 등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LED 디스플레이 관련 제작 장비를 비롯한 반도체 장비

들은 일정 수준 이상의 검증단계가 있어야 한다. 그렇

지 않으면 기업 및 고객사들로부터 철저히 외면당할 수

가 있기 때문. ETRI GaN전력소자연구실은 다양한 실

험장비지원과 시뮬레이션 분석지원 등을 통해 제품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한껏 높이기 시작했다.

㈜테스 기술연구소의 김남서 차장은 “기업의 입장에

서 새로운 아이템을 시작할 때에는 그만큼의 위험이 

따르죠. 이런 가운데 ETRI GaN전력소자연구실에서 

관련 내용을 하나하나 확인하며 의견을 얘기해줄 때 

그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되지요. 뿐만 아니라 현장에

서의 경험과 노하우는 있지만 전문용어나 정보를 제대

로 알지 못해 힘든 순간에도 ETRI는 든든한 멘토 역할

을 해줍니다.

∧  ㈜테스는 반도체 전 공정을 아우르는 반도체 장비 전문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095

>>>

094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장비 및 시험지원

㈜테스

PART 

04


background image

   

  

기술개발기간 50% 단축,

2억 5,000만 원

비용 절감효과까지

∧  현재 ㈜테스는 국내 최초로 개발한 ‘비정질

탄소박막  플라즈마화학증착(PECVD ACL) 
장비’를 통해 국내외 반도체 장비시장에서의 
점유율을 점차 넓혀갈 계획이다.

무엇보다 과거와 달리 ETRI가 기업 친화적이며 실용

적인 분위기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이지요”라며 기업의 입장에서 ETRI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이점에 대해 설명했다. 이에 고상춘 박사(ETRI GaN

전력소자연구실 실장)는 “ETRI의 입장에서는, 어떻게 해서든 

기업을 지원하는 게 맞는 일입니다. 원천기술에 관한 

한 나름의 자부심도 크지만, 노하우를 전해주고 지원함

으로써 분명 기업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도 있

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지요. 기업이 필요로 하는 것을 

지원하는 게 ETRI이니까요”라며 ETRI의 역할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내용으로 김 차장의 말에 답했다.

이처럼 ㈜테스는 ETRI의 장비개발기술, 분석기술, 기

술동향과 시장분석 등의 지원을 통해 지금도 한 단계씩 

업그레이드 되고 있는 중이다. 

현재 ㈜테스는 반도체 전 공정을 아우르는 ‘반도체 장

비 전문기업’으로 자리매김했으며 2015년에는 산업장

비 분야와 해외시장 진출까지 모색 중이다. 특히 2007

년 국내 최초 개발해 지식경제부로부터 세계일류상품

으로 지정되기도 한 ‘비정질탄소박막 플라즈마화학증

착(PECVD ACL) 장비’를 통해 국내외 반도체 장비시장에

서의 점유율을 점차 넓혀갈 계획이다.

이선호  이사는  “2014년  반도체  장비  관련매출은 

1,000억 원입니다. 하지만 이에 만족하지 않고 전체 

매출의 10%를 꾸준히 연구개발비로 투자하고 있지요. 

뿐만 아니라 태양광, 전지, LED 디스플레이 관련 사업

들도 그 규모를 조금씩 넓혀가면서 삼성전자, SK하이

닉스, 미국의 반도체기업 ‘글로벌 파운드리’, 대만의 D

램 공급업체 ‘뱅가드’ 등 글로벌 기업들과의 동반 성장

도 꾀할 예정입니다”라며 ㈜테스의 2015년 계획, 그리

고 향후 목표에 대해 설명했다. 

총 250여 개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삼

성전자, SK하이닉스의 협력사로, 나름의 기술력을 자

랑하고 있는 ㈜테스는 ETRI의 장비개발 기술지원 및 

시뮬레이션 분석지원 등을 통해 기술개발기간을 50% 

이상 단축했으며 2억 5,000만 원의 비용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장비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높임으로써 마케팅 차원에서의 시너지 효과까지 끌어

낼 수 있었다는 점은 단순히 ETRI의 지원 때문만이 아

닌, ㈜테스의 꾸준한 연구개발 노력, 그리고 ETRI를 적

극 활용할 수 있었던 현명함 때문이었다.   

㈜테스는 과감히 ETRI의 문을 두드렸다. 그리고 이제는 

세계시장의 문을 두드리기 위해 그 앞에 섰다.  

Information

*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반도체의 기판이나 보드를 열 분해

시켜 표면에 막을 형성하게 만드는 기술

* PECVD ACL(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tion Amorphous Carbon layer)

 : ‘비정질탄소 

박막 플라즈마화학증착’. 반도체 웨이퍼 표면에 
ACL을 형성하고 증착시키는데 이용되는 반도체 
전 공정 핵심장비. 국내에서는 ㈜테스의 장비가 
유일

097

>>>

096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장비 및 시험지원

㈜테스

PART 

04


background image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시험공간 또는 장비부족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케이아이씨시스템즈㈜는 

ETRI의 밀착지원을 통해 제품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높인 사례. 해외 비즈니스에서의 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었던 이유도 바로 이 부분에서다.


background image

장비 및 시험지원

케이아이씨시스템즈㈜

8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

098


background image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또  다른  방법!  신뢰도  높은 
ETRI의 시험지원!

케이아이씨시스템즈㈜는 ETRI로부터 기술 
지원과  시험지원,  그리고  실험결과  분석 
등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대부분의  중소 
기업들이 어려운 부분 중 하나가 기술적인 
부분인데, 그런 측면에서는 ETRI의 연구진으로
부터 많은 도움을 받을 수가 있지요. 
ETRI는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국제공인
시험기관(KOLAS, 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 인증을 받은 연구소인 만큼 제품의 
우수성과 신뢰도를 높이는데 있어서도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ETRI 밀착지원 내용
①  RFID  리더기의  성능저하현상  시험지원 

및 원인, 결과 분석지원

②  일본 수출 휴대형 RFID 리더기 및 안테나 

기술지원

③  RFID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 장비 및 

안테나 포트 확장기술지원

“중소기업은  제품에만  집중하느라  다른 

부분들을 놓치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우물 안 개구리’가 될 수밖에  

없지요. ETRI와 함께 하다보면 그동안 보지 

못했던 부분들을 보게 됩니다. 시선이 좀 더 

넓어진다고  할까요?  때문에  직원들을 

ETRI 회의에 일부러 참석시키기도 하죠. 

중소기업이 모든 걸 다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니 ETRI에 무언가를 요청하기 전에 우선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 지원받아야만 

하는 기술을 명확히 구분하는 과정이 필요

하죠. ETRI와 함께하는 과정에서 시야가 

넓어진다는 건 기업경영의 차원에서도 큰 

이익입니다.”

Mini 

Interview 
/
이문호 대표

직원들을 ETRI 회의에
일부러 참석시키는 이유?

설 립 년 │ 1997년 

대     표 │ 이문호

소 재 지 │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 29길 38 
 

구로 3차 에이스테크노타워 10층 

전     화 │ (02) 866-1188

홈페이지 │ www.kicsystems.com

기업현황

케이아이씨시스템즈㈜의 대표 제품 & 기술

* 케이아이씨시스템즈㈜는 의약품생산과 물류유통관리, 물품자산관리, 그리고 특수시설 

출입통제관리 등 RFID 융합솔루션을 총망라하는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RFID/USN 
Total Solution 리더 및 바코드 제품

Summary 

Board

101

>>>

100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장비 및 시험지원

케이아이씨시스템즈㈜

PART 

04


background image

그들이 만들어가는
‘멋진 신세계’ 

케이아이씨시스템즈㈜는 RFID를 활용한 장비개발 및 

솔루션 개발을 주력으로 하고 있는 전문기업이다. 지난 

1997년 창립 후 그동안 기업 및 관공서의 전산실 출입

통제관리 시스템과 물품관리시스템, 의약품생산유통 

관리시스템, 해외 화력발전소의 자재관리시스템 등을 

구축해 왔으며 이밖에도 현장인력들의 안전관리와 중

장비 실시간 모니터링, 컨테이너 모니터링, 위치추적

기술 등 RFID와 사물인터넷을 융합한 각종 솔루션들

을 보유하고 있는 RFID 및 사물인터넷 분야의 선도기

업이기도 하다. 지난 해 1월부터는 ETRI 사물인지연구

실과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협약을 맺으며 다양

한 분야에서의 지원을 받고 있다.

케이아이씨시스템즈㈜ 이문호 대표는 “RFID 분야에

서만 10여 년 넘게 연구개발, 상용화를 해왔습니다. 

RFID와 관련된 산업이 주목받기 시작할 때는 대기업, 

중소기업 가릴 것 없이 많은 기업들이 RFID 연구개발

에 뛰어들었지만 지금은 이 분야에 남아있는 기업이 

얼마 되지 않지요. 

RFID 솔루션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 보유

  케이아이씨시스템즈㈜는 지난 해 1월부터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협약을 맺으며 다양한 분야에서의 지원을 받고 있다.

103

>>>

102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장비 및 시험지원

케이아이씨시스템즈㈜

PART 

04


background image

케이아이씨시스템즈㈜는 지난 해 1월, ETRI 사물인

지연구실과 인연을 맺게 되면서 기술지원, 제품 테스

트, 실험분석 등 다양한 지원을 받게 됐다. 특히 일본에 

RFID 솔루션을 납품하는 과정에서 제품 테스트와 수

정보완, 전자인증 등의 지원을 집중적으로 받았다.

케이아이씨시스템즈㈜ 윤형기 팀장은 “RFID 리더기

가 태그를 제대로 읽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어요. 게다

가 일본에 납품하는 제품이어서 별도의 전자인증을 받

아야만 했는데, 그 부분도 어찌해야할지 난감하기만 했

죠. 즉시 ETRI 사물인지연구실에 도움요청을 했습니

다. ETRI에는 기술적인 부분들뿐만 아니라 솔루션의 

전체적인 운영원리 등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전문 인

력들이 많기 때문에 ETRI와 함께 한다는 게, 중소기업

의 입장에서는 꽤 든든한 일이니까요. 

블루투스  기술이  기대만큼의 성장을 하지 못했듯이 

RFID 시장도 그런 상황입니다. 하지만 케이아이씨시스

템즈㈜는 꾸준히 한 분야를 파고들면서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솔루션 보유기업이 되고자 했습니다. 그리고 

현재 케이아이씨시스템즈㈜는 RFID 분야에서 독보적

인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요. 향후 RFID는 사물인터넷 

분야와 맞물려 더 많은 발전을 할 것이라 예상됩니다”

라며 RFID 분야의 시장상황, 그리고 케이아이씨시스템

즈㈜의 지나온 길을 간략히 설명했다.

‘비전’을 찾기 위해 고민하지만 어쩌면 그건 내부에 있

는 것인지도 모른다. 자신이 가장 잘할 수 있는 것을 기

반으로, 그 안에서 무언가를 꾸준히 찾고 스스로 만들

어나가는 것. 그게 진정한 의미의 비전 아닐까. 케이아

이씨시스템즈㈜는 이미 그걸 알고 있는 기업이다.

“ETRI로부터 기술지원을 받는 것은 
그저 도움을 받는 것입니다. 
그걸 상용화하고 현실화시키는 
몫은 전적으로 기업의 능력이지요.” 

∧  국내 RFID 시장에서의 독보적인 입지를 점하게 만들고 있는 케이아이씨시스템즈㈜의 제품들

∧  정재영 박사(ETRI 사물인지연구실 선임연구원)

∧  케이아이씨시스템즈㈜ 이문호 대표

ETRI 기술지원 및 시험지원,

중소기업에게는 큰 힘 

105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장비 및 시험지원

케이아이씨시스템즈㈜

PART 

04

>>>

104


background image

원천기술의 세부적인 부분을 일일이 신경 쓸 수 있는 

여유가 없죠. 반면 연구원은 기술적인 것 이외의 비즈

니스라던가 상용화 부분을 깊이 들어갈 수가 없어요. 

이렇게 조금씩 부족한 부분들을 서로 맞춰가며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는 것이 때로는 희열을 느끼게 합니다. 

그게 바로 ETRI 기술지원의 목적이기도 하고요”라며 

케이아이씨시스템즈㈜와 함께하며 보람을 느꼈던 부

분, 그리고 ETRI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의 목적

에 대해 강조했다.

케이아이씨시스템즈㈜는 이 외에도 ETRI로부터 RFID 

관련 실험 장비들을 지원받아 다양한 성능 테스트를 할 

수 있었고 제품의 안정성까지 확보할 수 있었다. 기술

력과 제품의 안정성이 기업의 경쟁력으로 확인되는 시

대. 케이아이씨시스템즈㈜가 RFID 분야에서의 입지를 

단단하게 구축하고 있는 건, 이처럼 가장 기본적인 것

을 간과하지 않은 이유에서다. 

  케이아이씨시스템즈㈜는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사물인터넷 

및 유비쿼터스 분야의 리딩기업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어쨌든 ETRI 사물인지연구실의 제품성능 저하원인 분석, 

테스트지원, 확장기술지원 등을 통해 제품의 오류를 보

완할 수 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자인증도 받게 되고 

보다 안정성 있는 솔루션을 선보일 수 있게 됐죠. 특히 

RFID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장비지원, 휴대용 리더기

와 하드웨어 테스트, 무선인식거리 시험 및 분석결과지

원 등은 제품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큰 영향을 줬습니다. 

ETRI 사물인지연구실로부터 기술지원을 받고난 후에는 

공공개발사업을 수주하는 것은 물론 일본 RFID 기업과

의 수출계약 관련성과도 있었어요”라며 ETRI로부터 받

았던 밀착지원 사례들을 상세히 전했다.

이에 정재영 박사(ETRI 사물인지연구실 선임연구원)는 “RFID 

관련제품들을 실제로 테스트하면서 원하는 결과가 나

올 때 가장 기분이 좋죠. 특정 태그를 읽어오는 것이 쉽

지만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가능한 걸 보

고는 너무 흡족했어요(웃음). 중소기업의 입장에서는 

∧  케이아이씨시스템즈㈜는 RFID 융합솔루션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나갈 꿈에 부풀어 있다.

107

>>>

106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장비 및 시험지원

케이아이씨시스템즈㈜

PART 

04


background image

무선인식거리 시험결과분석지원, RFID 안테나 포트 

의약품생산과 물류유통관리, 물품자산관리, 그리고 특

수시설 출입통제관리 등 RFID 융합솔루션을 총망라

하고 있는 케이아이씨시스템즈㈜는 이제 좀 더 발전된 

단계에서의 사업영역 확대를 계획하고 있다. 케이아이

씨시스템즈㈜를 일상생활 속에서 언제 어디서나 접할 

수 있는 시대가 서서히 다가오고 있는 셈이다.

이 대표는 “RFID 융합솔루션은 이제 사물인터넷이라는 

분야 안에서 좀 더 다양한 사업으로 분화, 진화해 나갈 

것입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차세대바이오인증기술

인 생체인식 솔루션, 즉 손가락과 눈빛 하나만으로도 모

든 것이 가능한 시대가 도래할 것입니다. 이 외에도 편

리한 운전을 위한 ‘무인 자동운전 서비스’, 개인의 건강

증진을 위한 ‘심장박동 케어 서비스’, 환경오염 최소화

를 위한 ‘스마트 환경정보제공 서비스’ 등 개인과 사회, 

공공의 쾌적한 삶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솔루션들을 적

용시켜 나갈 것입니다. 케이아이씨시스템즈㈜는 현재의 

위치에 만족하지 않고 꾸준한 연구개발 및 지속적인 상

용화 노력을 통해 사물인터넷, 유비쿼터스 분야의 리딩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라며 케이아이씨시스템

즈㈜의 향후 목표와 비전에 대해 강조했다.

“ETRI로부터 기술지원을 받는 것은 그저 도움을 받는 

것입니다. 그걸 상용화하고 현실화시키는 몫은 전적으

로 기업의 능력이지요. 무엇을 만들고 싶은지, 그러려

면 어떤 기술들을 이전 받아야 하고, 또 어떤 시험지원

이 필요한지 기업 스스로가 알고 있어야만 하겠지요. 

ETRI 기술지원과 시험지원 등이 제대로 빛을 발하려

면 기업 스스로 무얼 원하고 있는지 명확히 알아야만 

합니다.”

인터뷰를 마무리하던 중 이어진 이 대표의 말은, 케이

아이씨시스템즈㈜가 지금까지 어떤 길을 지나왔고, 앞

으로 또 어떤 길을 걸어가게 될지 명확히 보여준다. 

RFID 관련 장비개발 및 솔루션 개발, 이를 통해 좀 더 

편리한 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케이아이씨시스템즈㈜. 

가는 길이 명확할 때 가고자 하는 목적지는 저절로 다

가오게 마련이다. 케이아이씨시스템즈㈜는 그런 확신

을 더 강하게 만드는, 그런 기업이다.  

케이아이씨시스템즈㈜,

그리고 ‘더 나은 미래’

∧  케이아이씨시스템즈㈜는 꾸준한 연구개발 및 지속적인 상용화 노력을 통해 사물인터넷, 유비쿼터스 분야에서 리딩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Information

*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제품 

생산에서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의 정보를 작은 
반도체칩에  내장시켜  이를  무선으로  추적 
할 수 있는 기술. 제품에 부착된 태그에 관련 
정보가 모두 담겨있고 이를 판독기를 통해 읽는  
과정을 거치며, 물류창고나 전산실 출입통제, 
인력 또는 차량의 위치추적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적용 및 응용 가능 

109

>>>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108

장비 및 시험지원

케이아이씨시스템즈㈜

PART 

04


background image

중소기업 입장에서 제품을 테스트할 수 있는 장비 및 실험 공간, 더 나아가 결과를 분석하고 제품에 반영할 

수  있는  노하우는  현장에서  절실하게  필요한  것이다.  ㈜아큐픽스는  이  모든  요건들을  ETRI로부터 

밀착지원 받았다. 그리고 이제는 더 넓은 세계시장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해 나가기 위해 준비 중이다.


background image

장비 및 시험지원

㈜아큐픽스

아큐픽스

Accupix

Beyond the reality follow 
your imagination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

110


background image

시험장비와 실험 공간,
테스트 결과분석 등으로
제품 안정성 확보

㈜아큐픽스는  ETRI로부터  시험장비  및 
테스트 공간, 그리고 테스트와 관련된  결과 
분석  등의  밀착지원을  받았습니다.  이를 
통해  제품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제품의 개발시간과 비용까지 단축할 수가 
있었지요. 뿐만 아니라 해외 비즈니스 및 
마케팅 또한 ETRI가 적극 지원해줌으로써 
해외시장의  사업영역을  확대하는  데에도 
큰 효과가 있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  보안  솔루션  시장으로의  진출  또한 
계획하고 있습니다.

ETRI 밀착지원 내용
①  계측장비, 시험환경지원 및 분석지원
②  DPI 엔진 성능측정 및 시험기술동향 자료

제공

③  DPI 시험방법 자문 및 시험방법 개선을 통한 

플랫폼 완성도 지원

Mini 

Interview 
/
임상묵 전무

㈜아큐픽스의 대표 제품 & 기술

* Network Application Platform L7 시리즈. ㈜아큐픽스는 고유의 DPI 기술 제품군을 

통해 세계시장에서의 사업영역을 조금씩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설 립 년 │ 1996년

대     표 │ 김범준

소 재 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대왕판교로 660 유스페이스 1-A동 9, 10층

전     화 │ (031) 724-2050

홈페이지 │ www.accupix.com

기업현황

“중소기업의  입장에서  혼자서만  연구 

개발을 하다보면 시행착오가 많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제품에만 시선이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그 밖의 기술개발이나 안정성 

테스트,  실험결과를  분석할  수  있는 

노하우가  부족해서  생기게  되는  결과 

이지요. ETRI의 전문적인 기술지원 및 

장비지원, 테스트 결과분석 등을 활용한

다면 더 많은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겁니다. 

중소기업은  ETRI를  최대한  활용해서 

비즈니스에서도  최대의  효과를  얻어 

내야만 하겠지요. ETRI의 기술 및 장비

지원을 통해 기업경영 차원에서의 선택과 

집중을 가능하게 하는 것, 그것이 경쟁력의 

발판이 될 것입니다.” 

“ETRI 활용은 곧, 
 경쟁력의 발판”

Summary 

Board

113

>>>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112

장비 및 시험지원

㈜아큐픽스

PART 

04


background image

‘완벽’은 수천 번의 
테스트에서부터 시작된다

!

1996년 설립된 ㈜아큐픽스의 주력사업은 3D 안경과 

블랙박스 등을 개발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분야, 

그리고 네트워크 통합(NI, Network Integration) 및 시스템 

통합(SI, System Integration)을 구축, 관리하는 ‘시스템 사

업’ 분야로 크게 나누어진다. 특히 시스템 사업 분야는, 

사업 초기에서부터 시스템 및 장비의 국산화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되면서 기술개발 및 지원이 적극 요청되

는 분야이기도 했다.   

㈜아큐픽스 임상묵 전무는 “회사운영을 시작하던 초기

부터 ETRI와는 인연이 있었습니다. 기술지원 분야에서 

많은 도움을 받고 있었지요. 특히 DPI 기술과 관련한 내

용으로 기술지원과 자문 등을 받고 있었던 터라 ETRI와 

함께하는 부분에 있어서 어려운 건 없었습니다. 

시스템 및 장비

국산화를 위해

맺어진 ETRI와의 인연 

  

 ㈜아큐픽스는 지난 2002년 코스닥 상장을 기점으로 급성장해 온 

유무선통신 전문기업이다.

  시스템 및 데이터 실험 중인 ㈜아큐픽스의 직원들

115

>>>

114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장비 및 시험지원

㈜아큐픽스

PART 

04


background image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컨슈머 제품군은 대기

업과의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었지만 시스템 분야에

서는 ETRI 기술지원과 자문을 통해 나름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지요”라며 ETRI와 함께하게 되면서 얻

을 수 있었던 이점에 대해 강조했다.

㈜아큐픽스는 SK의 사내 시큐리티 사업, 시스코의 네

트워크 통합사업, LG의 3D 안경 제작 등 굵직한 주력 

사업 등을 펼쳐왔으며 지난 2002년에는 코스닥 상장을 

기점으로 하여 급성장해온 유무선 통신 전문 업체다.

시험장비와 분석기술 등의

밀착지원 통해

제품의 안정성 높여

∧   ㈜아큐픽스 임상묵 전무

∧   남기동 박사(ETRI 네트워크품질연구실 실장)

DPI 개발과 관련한 기술은 이미 10년 전부터 나와 있

던, 새로울 게 없는 것이었다. 하지만 국산화가 되어 있

지 않은 분야였기 때문에 시스템과 장비 또한 오랜 기

간 외국제품에 의지해야만 했다. ㈜아큐픽스는 ETRI

로부터 전체적인 기술지원 및 자문을 받는 동시에 DPI 

개발기술 및 이와 관련한 시험분석, 장비지원까지 함께 

받으면서 시스템, 기술 국산화에 주력하기 시작했다.

㈜아큐픽스 김기철 이사는 “가장 어려웠던 부분은 실

험장소가 마땅치 않다는 것이었습니다. 회사 내에 마련

되어 있는 실험실에서는 기본적인 실험밖에 할 수가 없

∧  ㈜아큐픽스는 향후 컨슈머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었죠. 외국의 우수한 장비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좀 

더 나은 환경의 실험실이 필요했습니다. 특히 계측기

와 같이 대당 몇 억씩 하는 장비들은 중소기업에서 구

입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죠. 좀 더 깊이 있는 테스트, 

결과분석 등을 위해서는 ETRI 네트워크품질연구실의 

테스트 공간이 꼭 필요했습니다. 그 테스트 결과를 가

지고 어떤 내용을 중요하게 봐야만 하는지, 제품에 반

영해야만 하는 내용은 무엇인지, ㈜아큐픽스에게는 테

스트 분석과 관련한 ETRI의 노하우도 꼭 필요한 것이

었고요. 

“ETRI를 통해 수많은 테스트를 하는 과정에서 
제품의 안정성까지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은 
중소기업에게 큰 도움이 되겠지요. 
㈜아큐픽스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ETRI에게도 큰 자산이 됩니다.”

117

>>>

116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장비 및 시험지원

㈜아큐픽스

PART 

04


background image

㈜아큐픽스,

또 한 번의 도약을 

준비하다

ETRI 네트워크품질연구실의 시험장비지원, 분석기

술지원, 성능인증 시험지원 등 다양한 도움이 있었기

에 제품의 안정성까지 확보할 수 있었던 겁니다”라며 

ETRI의 기술 및 시험장비지원 등을 통해 얻을 수 있었

던 강점에 대해 설명했다.

ETRI와 함께하면서 얻을 수 있는 건 이뿐만이 아니었

다. ‘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서 이미 전 세계에 이름을 

알리고 있는 ETRI이기 때문에 테스트 결과나 제품 안

정성 등을 해외에 알릴 때 비즈니스 차원에서의 경쟁력

까지 확보할 수가 있었다. ETRI를 통해 검증된 제품 안

정성과 신뢰는, ㈜아큐픽스의 기술력을 전 세계에 알

릴 수 있는 중요한 무기가 됐다.

  임상묵 전무와 남기동 박사의 파트너십은 ㈜아큐픽스가 급성장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남기동 박사(ETRI 네트워크품질연구실 실장)는 “중소기업이 어

려운 부분은 딱 3가지 정도로 정리할 수 있을 겁니다. 

우선, 우수인력을 보유하기 어렵다는 점, 충분히 제품 

테스트를 할 수 있는 공간 확보가 어렵다는 점, 그리고 

제품과 관련한 홍보 및 마케팅이 어렵다는 점 등이겠지

요. ETRI 네트워크품질연구실은 이와 관련한 부분들을 

최대한 충족시켜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했습니다. 꾸

준히 테스트를 하는 과정에서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도 중소기업에게는 큰 도움이 되겠지요. 

㈜아큐픽스가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ETRI에게도 큰 자산이 된다고 확신합니다”라

며 중소기업 입장에서의 어려운 부분, 그리고 이를 밀착

지원하기 위한 ETRI의 자세 등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이처럼 ㈜아큐픽스가 조금씩 DPI 사업영역을 넓혀가

며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던 데에는 ETRI의 밀착지

원과 자문 또한 큰 역할을 차지했다. 향후 추진하게 될 

인도네시아 ‘클린 파이프 프로젝트’에서도 ETRI의 밀

착지원은 그대로 이어진다. 

  ㈜아큐픽스는 ETRI 네트워크품질연구실의 시험장비지원, 분석기술지원, 

성능인증 시험지원 등을 통해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119

>>>

118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장비 및 시험지원

㈜아큐픽스

PART 

04


background image

∧  ㈜아큐픽스가 DPI 사업영역을 넓혀가며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던 데에는 ETRI의 밀착지원과 자문도 큰 역할을 했다.

∧  현재 ㈜아큐픽스는 인도네시아에서 DPI 기술을 통해 전 국가적으로 데이터들을 관리, 제어할 수 있게 만드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아큐픽스가 인도네시아에서 추진하고 있는 ‘클

린 파이프 프로젝트’는 160억 원 규모의 사업. DPI 기

술을 통해 전 국가적으로 데이터들을 관리, 제어할 수 

있게 만드는 사업이다. 이를 통해 세계시장에서의 사업

영역을 조금씩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아큐픽스는 이 

외에도 ‘M태그(M-Tag)’와 ‘E스킨(E- Skin)’ 등 나노 소자

를 활용한 제품으로 또 한 번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임 전무는 “M태그란, 얇은 필름 위에 산화철 입자를 입

혀 자석을 가져다 대면 색깔이 변하는 제품입니다. 명

품 액세서리나 의류, 특산품 등에 부착하면 위조방지 

및 인식을 할 수가 있지요. 그리고 E스킨은 세계 최초의 

컬러 전자종이입니다. 전자책과 LED 전광판, 휴대

폰 케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지요. 산업

분야뿐만 아니라 컨슈머 시장에서의 사업영역을 넓혀 

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라며 

㈜아큐픽스의 주력 제품 중 하나인 ‘M태그(M-Tag)’와 ‘E

스킨(E-Skin)’에 대해 간략히 설명했다.

ETRI의 시험 네트워크 제공, 시험운용지원 및 분석기

술지원 등을 통해 안정성 있는 제품과 기술력 확보, 그

리고 더 나아가 전 세계 시장에서의 사업영역 확대를 

꾀하고 있는 ㈜아큐픽스. 지금까지의 기술력을 근간으

로 더 많은 것들을 가능케 할 ‘㈜아큐픽스의 세계’가 벌

써부터 궁금하다.  

Information

* DPI(Deep  Packet  Inspection) : 인터넷상에 

흘러 다니고 있는 데이터의 출발지와 목적지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함으로써 이를 
제어하는 기술. 바이러스와 해킹 및 시스템 보안 
등에 활용 가능 

121

>>>

120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장비 및 시험지원

㈜아큐픽스

PART 

04


background image

사업화 수주

코위버㈜ | 신뢰를 바탕으로 한 사업화 수주의 결실!

㈜포스트큐브 | 기술경쟁력, 40여 억 원 규모의 사업수주로 이어지다!

Action!

행동과 실천은

불가능을 가능케 한다

PART

 

05


background image

코위버㈜는 독보적인 기술력을 통해 국내 광통신장비 분야 1위를 지키고 있는 기업이다. 하지만 이에 안주

하지 않고 더 먼 곳으로 치닫기 위해 장기적인 비전과 목표를 준비하고 있다. 이를 위해 ETRI로부터 

중점적으로 지원받은 것은 기술지원을 근간으로 한 사업화 지원과 마케팅 지원, 전문인력 교육 등이다.


background image

사업화 수주

코위버㈜

10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

124


background image

 

ETRI 기술지원,
사업화, 마케팅지원을 통해
더 큰 목표를 꿈꾸다!

코위버㈜가 ETRI로부터 지원받은 내용은 
사업화를 위한 마케팅 및 기술지원, 해외 마케팅 
현장지원, 역 파견을 통한 전문인력 교육 등 
입니다. 특히 ETRI의 사업화 및 마케팅 기술 
지원은 코위버㈜의 입장에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단기적인 차원에서의 수익
만을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차원에서 
사업화의 큰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되지요. 
ETRI 밀착지원을 통해 코위버㈜는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 할 수 있었습니다.

ETRI 밀착지원 내용
①  PTN 상용화 및 사업화 지원
②  PTN 첨단 계측장비 및 해외시장 마케팅 

지원

③  인력 역 파견, 공동 세미나 등을 통한 기술

습득 및 교육지원 

Mini 

Interview 
/

설 립 년 │ 2000년

대     표 │ 황인환

소 재 지 │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 19길 12 
 

코위버 빌딩

전     화 │ (02) 3140-3300

홈페이지 │ www.coweaver.co.kr

기업현황

코위버㈜ 대표 제품 & 기술

* 코위버㈜는 광통신장비와 솔루션, 다양한 전송기술의 대부분을 자체적으로 개발, 

보유하고 있다. PTN 장비 시리즈 중 하나이다. (UTRANS-7200)

“ETRI 맞춤형 기술지원, 

중소기업의 비전에도
긍정적 영향”

“ETRI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등 

중소기업  지원프로그램은  중소기업의 

기술부족 및 전문인력 부족 등의 어려운 

부분들을 보완해줍니다. 미래 기술에 대한 

노하우를 이전받게 되면 기업의 장기적인 

운영전략이나 비전을 마련하는데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지요. 

ETRI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시장의 변화 혹은 소비자의 요구가 

달라질 경우에는 과감하게 기술변경요청도 

해야만 합니다. 

ETRI는 중소기업의 파트너라는 사실을 

늘 잊지 말고, 함께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Summary 

Board

성기혁 총괄사장

127

>>>

126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사업화 수주

코위버㈜

PART 05


background image

신뢰를 바탕으로 한 
사업화 수주의 결실!

15년 역사를 지닌 코위버㈜는 국내 광통신장비 분야 

1위를 지키고 있는 기업이다. 총 130여 명의 직원 중 

40%가 연구개발 인원이며 이를 근간으로 하여 광통신

장비와 솔루션, 다양한 전송기술의 대부분을 자체적으

로 개발,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SK와 KT, LG U+ 등 3개 통신사 모두에 

제품을 공급, 국내 시장에서는 거의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성공률 90% 이상의 제

품 상용화 기술을 보유, 이미 중소기업의 차원을 벗어

난 기술력을 지니고 있다. 

그렇다면 이처럼 국내 시장에서의 높은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 코위버㈜가 ETRI와의 인연을 맺으며 기

술지원 및 사업화 지원을 받게 된 이유는 무얼까.

코위버㈜ 성기혁 총괄사장은 “평소부터 ETRI 1실 1기

업 맞춤형 기술지원 등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에 많

은 관심이 있었습니다. 중소기업의 기술력이 제 아무

리 뛰어나다고 해도 부족한 부분이 있을 수밖에 없죠. 

때문에 부족한 핵심기술을 보완할 수 있는 ETRI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을 함께하게 됐습니다. 

특히 중소기업은 미래기술에 대한 사전준비, 전문인

력, 핵심기술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이 부분을 극복하

기 위해서는 ETRI를 적극 활용할 수밖에 없었죠”라며 

ETRI 기술지원 및 사업화 지원 등을 받게 된 동기를 

설명했다. 

15년 역사의

국내 광통신장비 분야

1위 기업

∧  코위버㈜는 총 130여 명의 직원 중 40%가 연구개발인원이며 광통신  

 장비와 솔루션, 다양한 전송기술을 자체적으로 개발, 보유하고 있다.

129

>>>

128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사업화 수주

코위버㈜

PART 

05


background image

코위버㈜는 ETRI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프로그램

을 통해 장비지원과 미국·이란 등 해외진출을 위한 마케

팅지원, 그리고 여러건의 기술지원을 받았다. 또한 회사 

내 전문 인력들의 기술습득을 위한 설계기술지도 교육 등 

ETRI의 또다른 중소기업 지원프로그램의 도움까지 받을 

수 있었다. 코위버㈜ 김근식 부사장은 “중소기업이 미래

를 내다보고 투자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ETRI와 같은 

연구소들의 선행연구 결과들을 통해 더 나은 제품들을 

선보이는 게 중소기업이 할 수 있는 부분인 거죠. ETRI

의 원천기술들을 가지고 안정성 높은 제품을 상용화하는 

것. 그것이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국

가적인 차원에서의 발전 또한 가능케 하는 것이라고 생

각합니다”라며 동반성장을 위한 중소기업과 ETRI의 역

할을 강조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코위버㈜는 2014

년 ‘대한민국 ICT 산업분야 우수상’ 수상 및 ‘네트워크 코

리아 2014 산업인의 날 장관상’ 수상 등에 이어 내년에

는 우수 중견기업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소기업은 미래기술에 대한 
사전준비, 전문인력, 핵심기술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이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ETRI를 적극 
활용해야만 합니다.”

ETRI의 달라진 모습,

김 부사장의 마음을 움직이다

김 부사장은 코위버㈜에 몸을 담기 전, ETRI로부터 기

술이전 및 지원을 받았던 적이 있다. 하지만 제품 상용

화 직전 단계에서 기술지원이 끊기는 경우가 빈번했고 

그에 따른 실망도 크기만 했다. ETRI에 대한 애정은 일

순간 애증으로 바뀌기도 했다. 그렇게 몇 년여가 흐른 

후 지금, 김 부사장이 보는 ETRI는 과거와 달랐다. 무

언가 ETRI에 대한 신뢰가 생기고 있다는 걸 스스로도 

느낄 수 있었다.

“과거의 ETRI와는 많이 달라졌다는 걸 느끼면서 함께

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죠. 대부분의 연구원들이 하나

의 사업 혹은 프로젝트를 꾸준히 이어나가고 있다는 

점, 그리고 중소기업들과 진정으로 커뮤니케이션하고 

있다는 느낌이 ETRI를 다시 보게끔 만들었습니다. 현

재 코위버㈜의 내부인력을 ETRI 광전달망시스템연구

실에 역 파견, 다양한 전문분야 연구원들과의 공동 세

미나 등을 통해 기술습득 및 공유를 하고 있는 것 또한 

ETRI의 변화에 따른 신뢰인 셈이죠.”

∧  코위버㈜는 광통신장비와 솔루션, 다양한 전송기술의 대부분을 

자체적으로 개발, 보유하고 있다.

∧  코위버㈜ 김근식 부사장

∧  코위버㈜ 김홍주 기술고문

131

>>>

130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사업화 수주

코위버㈜

PART 

05


background image

현재 ETRI 광전달망시스템연구실에 역 파견된 김홍

주 기술고문은 코위버㈜의 전략수립 및 사업화를 추

진해 나가는데 있어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중·장기적인 차원에서 코위버㈜의 사업화 전략

을 함께 모색할 수 있도록 그 방안을 제시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김홍주 기술고문은 “코위버㈜의 회사인원 대부분이 개

발자이다보니 자기 확신이 강한 편입니다. 소비자들이 

원하는 게 있으면 신속하게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수익

을 낼 수 있었죠. 하지만 기업의 미래를 생각한다면 단

기적인 시야로만 운영할 수가 없죠. 장기적인 차원에

서의 기술개발, 그리고 사업화전략이 마련되어야 합니

다. 뿐만 아니라 사업화전략을 좀 더 구체화시키려면 

그에 알맞은 지식과 정보가 필요하죠. ETRI에서 습득

한 노하우와 기술들을 코위버㈜ 임직원들과도 공유함

으로써 사업화를 통한 수익의 극대화에 큰 도움을 주게 

될 것입니다”라며 ETRI의 사업화 및 마케팅, 교육지원

을 통한 이점에 대해 설명했다.

코위버㈜는 이 외에도 ETRI 광전달망시스템연구실로

부터 PTN 상용화 및 사업화 기술지원, 해외시장 기술 

마케팅지원, 시험장비 및 시험기술지원 등을 받았으

며, 특히 이란 시장 진출을 위한 ETRI의 마케팅 밀착지

원을 통해 장기적으로 3,000억 원 규모의 사업을 수주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코위버㈜는 ETRI의 꾸준한 기술지원, 그리고 사업화, 마케팅지원 등을 통해 상호간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연 750억 원 이상의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133

>>>

132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사업화 수주

코위버㈜

PART 

05


background image

Information

*  PTN(Packet Transport Network)  :  데이터를 

패킷으로  전달하는  망,  그리고  광  전송망을 
하나로  통합한  차세대  전달  망.  설치비와 
운영비는 줄이고 데이터 전송속도는 훨씬 더 
빠름

장기적인 차원에서의

기술개발,

연구 가능한 환경 마련되어야

이제 코위버㈜는 유선통신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무선

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더 

나아가 글로벌 기업과의 직접적인 경쟁보다는 특화된 

분야를 통해 더불어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유제훈 박사(ETRI 광전달망시스템연구실 책임연구원)는 “코위버㈜

와는 2011년, 미래네트워크 연구시험망(KOREN, KOrea 

advanced REsearch Network) 개발을 위해 본격적으로 기

술지원 및 사업화 지원을 하게 됐습니다. 이 외에도 코

위버㈜의 기술지원 요청을 통해 개발한 PTN 장비들을 

SK와 KT, LG U+ 등의 통신사들에 납품, 사업화의 기

틀을 마련하게 됐지요. 1세대 전송장비에서 차세대 전

송장비 중심으로 사업화의 틀을 조금씩 전환시켜 나가

게 된 셈입니다. 이를 위해 코위버㈜에서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개발인력들이 몇 개월간 ETRI에 와서 동고

동락하기도 했지요. 수익창출을 위한 사업화, 그 이전

에 전문인력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코위버㈜는 절실

하게 깨닫고 있었던 것입니다”라며 기술과 전문인력 교

육을 근간으로 한 코위버㈜의 사업화 노력을 강조했다.

국내 광통신장비 분야 1위인 코위버㈜는 ETRI의 꾸준

한 기술지원, 그리고 사업화, 마케팅지원 등을 통해 상

호간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기술 상

용화 기간을 크게 앞당김으로써 기업매출 부분에서도 

연 750억 원 이상의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장비보

다는 사람,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

업. 코위버㈜가 더 먼 곳을 향해 오랫동안 걸어갈 수 있

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코위버㈜는 SK와 KT, LG U+ 등 3개 통신사 모두에 제품을 공급, 

국내 시장에서는 거의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

  코위버㈜에서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개발인력들이 몇 개월간 

ETRI에 와서 동고동락하며 차세대 기술 확보에 주력해왔다.

135

>>>

134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사업화 수주

코위버㈜

PART 

05


background image

이메일이 편지를 대체하고 있다. 우체국을 찾는 일도 많지 않다. 하지만 우체국은 꼭 필요하다. 이런 상황 

에서  무인우편물류  솔루션  전문기업  ㈜포스트큐브의  ‘우편자동접수기’와  ‘접수배달통합기’는  새로운 

대안을 마련해준다. ETRI 기술지원을 등에 업은 ㈜포스트큐브, 이제 글로벌 시장으로 나설 태세다.


background image

사업화 수주

포스트큐브

11 Postcube

Ubiquitous postal &
logistic solution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

136


background image

독보적인 기술
지원을 통한
사업화 수주가 가장 큰 결실 

㈜포스트큐브는 좀 더 적극적인 사업화를 위해 
기술과 성능의 업그레이드 및 시장동향 분석이 
필요했습니다. ETRI는 그런 부분들을 충분히 
지원해줬을 뿐만 아니라 성능 및 기능 테스트, 
국제전시회 참가 등에도 늘 함께 했습니다. 
특히 ‘오토 라벨링’과 ‘우편용 접수정보 자동
획득’ 기술이전 등의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 
으로 40여 억 원 규모의 사업을 수주할 수 
있었다는 점은 가장 크게 도움이 됐던 부분
입니다.

ETRI 밀착지원 내용
①  34억 원 규모의 우편자동접수기 설치 수주 

및 해외 박람회 현장지원

②  무인 우체국 구축 관련 운영관제기술 및 

시험결과분석지원

③  ‘오토 라벨링’ 기술, ‘우편용 접수정보 자동

획득’ 기술이전 

Mini 

Interview 
/
최승록 대표

“ETRI 기술지원,

그리고 사업화 전략지원까지”

“우편물류와 관련된 인프라 산업은 단기간에 

발전시켜 나가기 힘든 분야입니다. 게다가 

중소기업이 국내 기술만으로 뚫을 수 없는 

부분 또한 분명 존재하지요. 이러한 상황에서  

ETRI  기술지원은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하는 근간이 됩니다. 더 나아가 

해외진출을 위한 사업화 지원까지 받을 수 

있지요. 기술력과 전략방향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면 ETRI의 문을 

두드려보는 것도 좋은 선택일 것입니다.”  

설 립 년 │ 2006년

대     표 │ 최승록

소 재 지 │ 서울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28 
 

STX-V타워 1506호

전     화 │ (02) 855-6781~4

홈페이지 │ www.postcube.kr

기업현황

㈜포스트큐브 대표 제품 & 기술

* ㈜포스트큐브의 ‘우편자동접수기’는 우체국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기기의 안내에 

따라 우편물을 처리할 수가 있다.

Summary 

Board

139

>>>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138

사업화 수주

㈜포스트큐브

PART 

05


background image

기술경쟁력, 
40여 억 원 규모의 사업수주로 이어지다!

무인우편물류 솔루션 전문기업인 ㈜포스트큐브는 ‘우

편자동접수기’와 ‘접수배달통합기’로 우편, 물류의 혁

신을 가져오고 있는 기업이다. 특히 ‘우편자동접수기’

는 1990년대 후반에 개발돼 지속적인 성능개선, 보완

과정을 거쳐 2008년부터는 우정사업본부에 꾸준히 납

품되고 있는 ‘검증된 솔루션’이기도 하다.

㈜포스트큐브 최승록 대표는 “국내 무인우편물류 관련

분야에서는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습니다. 우편접

수와 소포발송 등 우체국 안에서 진행되는 모든 프로세

서가 ‘우편자동접수기’에 전부 들어가 있으니까요. 이

메일이 등장하고 난 후 우체국의 이용률은 점점 더 낮

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체국을 없앨 수는 없지요. 

단지 이용률이 낮아지고 있을 뿐이지 사회적으로는 꼭 

필요한 서비스거든요. 시대 변화에 따라 우체국의 입지

가 달라지고 있다면, 그에 따른 대체재와 보완재도 반

드시 필요할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그게 바로 ㈜포스

트큐브의 ‘우편자동접수기’, 그리고 ‘접수배달통합기’

지요”라며 ㈜포스트큐브 무인우편물류 솔루션의 개발

동기와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우체국 안의

모든 프로세서가

무인 우편 시스템 하나로

  ㈜포스트큐브는 국내 무인우편물류 관련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

141

>>>

140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사업화 수주

㈜포스트큐브

PART 

05


background image

㈜포스트큐브의 ‘우편자동접수기’는 우체국을 직접 방

문하지 않고도 기기의 안내에 따라 우편물을 처리할 수

가 있다. 우편물의 크기와 무게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것은 물론 등기와 소포 등 다량의 우편물까지 처리가 

가능하다. 게다가 신용카드나 휴대폰, 교통카드로도 

결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우체국뿐만 아니라 지하철 역

사나 오피스텔 로비, 대형 빌딩과 아파트형 공장 등 활

용범위가 굉장히 넓다는 데에 강점이 있다.

㈜포스트큐브의 또 다른 무인우편물류 솔루션 중 하나

인 ‘접수배달통합기’는 택배 발신과 수신기능, 물건 보

관기능 및 등기우편물 수령기능까지 갖추고 있는 제

품.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가 직접 대면할 필요가 없

기 때문에 보안유지는 물론 사생활 보호에 장점이 있

다. 뿐만 아니라 세탁물 혹은 냉장식품 등 배달물품을 

“성능개선을 위한 ETRI 기술지원, 
시장동향 분석 등을 통해 제품의 
기술력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었던 
것이 경쟁력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  ㈜포스트큐브 최승록 대표

  전 세계 어디에 내어 놓아도 부끄럽지 않을 진보된 기술력을 

        보유하는 것이 바로 ㈜포스트큐브의 목표다.

∧ 나동길 박사(ETRI 스마트포스트연구팀 선임연구원)

주고받는 용도로도 이용할 수 있어 일상생활에서의 활

용도가 높다.

“우체국에 대한 대중의 수요, 그리고 우체국 이용 시 

불편한 사항들을 모두 고려하여 솔루션에 반영했습니

다. 처음, 개발을 완료했을 당시에는 많은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더 많은 분들의 관심을 

받고 있지요. 성능개선을 위한 ETRI 기술지원, 시장동

향 분석 등을 통해 제품의 기술력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었던 것이 경쟁력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라고 생각

합니다.”

㈜포스트큐브의 무인우편물류 솔루션들은 세계우편박

람회인 ‘포스트 엑스포(Post-Expo)’, 국내외 500개국 IT업

체들이 참가하는 ‘월드 IT쇼(World IT Show)’에도 선보여 기

술력과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좋은 평가를 얻은 바 있다.

143

>>>

142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사업화 수주

㈜포스트큐브

PART 

05


background image

ETRI 스마트포스트연구팀이 ㈜포스트큐브 지원분야 

중 가장 큰 비중을 뒀던 것은 바로 사업화를 위한 수주

였다. 물론 ‘우편자동접수기’의 성능개선을 위한 시험

평가, 시장동향 분석, 기술지원 등은 꾸준히 병행됐다. 

이를 통해 우편용 오토 라벨링(Auto Labeling) 기능, 우편

발신 및 수신주소 인식기술, UI 디자인 등을 한층 업

그레이드하여 탑재할 수가 있었다. ETRI 스마트포스

트연구팀은 이 외에도 ‘포스트 엑스포 유럽(Post-Expo 

Europe)’, ‘포스트 엑스포 아시아(Post-Expo Asia)’와 같은 

우편 관련 국내외 전시회에 참가지원을 하는 등 ㈜포

스트큐브 ‘우편자동접수기’의 마케팅과 홍보에도 온 힘

을 기울였다.

최 대표는 “기술개발지원을 통해 제품을 완성했다고는 

해도 이것을 조금씩 사업화 해나가는 건 어려울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ETRI 스마트포스트연구팀의 

도움이 굉장히 컸지요.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기술진의 

조언은 앞으로의 개발방향을 잡아나가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향후 ‘우편자동접수기’의 

꾸준한 업그레이드, 안정화를 통해 세계 시장으로의 진

출방안도 모색할 예정입니다”라며 ETRI 스마트포스트

연구팀의 기술개발지원, 사업화 과정을 통해 얻은 성과

들을 상세히 설명했다.

ETRI 스마트포스트연구팀의

기술지원 및 사업화 수주 노력

이에 나동길 박사(ETRI 스마트포스트연구팀 선임연구원)는 “수많

은 회의 및 심포지엄 참가를 통해 ‘우편자동접수기’의 개

선사항 및 사업화 방안을 고민하고 수립하게 됐습니다. 

특히 한 분야에서의 특화를 통해 천천히, 조금씩 경쟁력

을 갖춰나가려고 하는 ㈜포스트큐브의 사업전략이 꽤 인

상적이었지요.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의 가능성 또한 충

분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가능성이 구체화되기 위

해서는 ETRI 스마트포스트연구팀의 꾸준한 기술지원 및 

사업화 지원이 뒤따라야만 하겠지요”라며 중·장기적인 

차원에서의 지원노력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포스트큐브의 ‘우편자동접수기’는 우체국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기기의 안내에 따라 우편물을 처리할 수가 있다.

145

>>>

144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사업화 수주

㈜포스트큐브

PART 

05


background image

Information

* 우편자동접수기 : 우체국 안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업무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 
우편물의 크기와 중량측정, 소포 및 등기발송,  
다량의 우편물 발송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신용카드와 휴대폰으로도 결제가 가능해 
이용편의성 제공함 

㈜포스트큐브는 사업수주를 통해 우편자동접수기 총 

60여대를 우정사업본부에 설치하는 등 2014년 기준

으로 전년대비 32%, 총 34억 원의 매출증가율을 기록

했다. 뿐만 아니라 제품 상용화에 있어 어려운 부분들

에 대한 기술지원, 오토 라벨링 기능 설계자문 등을 통

해 7억 원 규모의 ‘무인우편 접수배달 통합기’ 사업수

주 또한 추진 중이다. 

더 나아가 국내 무인우편물류 솔루션 분야에서의 독보

적 시장점유율을 기반으로 ‘무인우체국 구축’ 사업자에 

선정돼 관련시장으로 진출한 바 있다. 이 외에도 세계

우편박람회 ‘포스트 엑스포 2015(Post-Expo 2015)’ 참가, 

러시아와 터키 등 해외 수출기회의 확보 등 세계시장에

서의 마케팅 활동 또한 활발히 진행할 예정이다.

최 대표는 “㈜포스트큐브의 비전은 고객들이 우편과 택

배 업무를 좀 더 편리하고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만

드는데 있습니다. 이러한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 ㈜포

스트큐브는 전 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무인우체국과 우

비교우위의 기술 

경쟁력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진출 계획

∧  ㈜포스트큐브의 무인우편물류 솔루션들은 세계우편박람회에도 선보여 

기술력과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좋은 평가를 얻은 바 있다.

편자동접수기를 구현, 꾸준히 업그레이드하고 있는 중

이지요. 전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부끄럽지 않을 진보된 

기술. 그 하나를 이뤄내기 위해 천천히, 조금씩, 노력해

나갈 계획입니다”라며 ㈜포스트큐브의 비전, 그리고 향

후 목표를 설명했다. 

이처럼 ㈜포스트큐브가 무인우편물류 솔루션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는 데에는 분명 ETRI 기술지

원 및 사업화 수주노력이 뒷받침하고 있다. 

실례로, ETRI 기술지원을 통해 개발기간을 단축했을 뿐

만 아니라 1억여 원의 비용절감효과도 얻었기 때문. 게

다가 ETRI 스마트포스트연구팀으로부터 ‘오토 라벨링’ 

기술, ‘우편용 접수정보 자동획득’ 기술 등을 이전받음

으로써 사업을 수주하는데 꼭 필요한 비교우위의 경쟁

력까지 갖출 수 있었다.

㈜포스트큐브는 앞으로도 ETRI 스마트포스트연구팀

과 함께 ‘우편자동접수기기 이용편의기술’ 등의 공동연

구 및 기술이전을 통해 국내 시장을 넘어 글로벌 시장

에서의 사업범위를 점차 넓혀나갈 예정이다.  

 

147

>>>

146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사업화 수주

㈜포스트큐브

PART 

05


background image

해외진출

㈜누리텔레콤 | ETRI 기술지원으로 세계시장 점유율 UP!

㈜솔탑 | 솔탑을 통해 만나는 ‘또 다른 우주’

Champion! 

멀리 바라보는 힘이

곧 경쟁력

PART

 

06


background image

주변 사물을 통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주고받는 ‘사물인터넷’을 아는가? 전기사용량과 전기요금도 

실시간으로 확인한 후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누리텔레콤의 ‘지능형검침인프라’에서는 이 모든 

게 가능하다. ETRI와 함께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해나가고 있는 곳, ㈜누리텔레콤이다.


background image

해외 진출

누리텔레콤

12 Nuritelecom

Smart metering solution leader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

150


background image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ETRI 기술지원,
글로벌 마케팅을 성공으로
이끌다! 

인증 또는 표준기술이 중요한 건 국내에서도 
해외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아이템 혹은 
기술이 제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인증, 표준
기술 확인이 없으면 모든 게 쓸데없는 일이 
되지요. 특히 ㈜누리텔레콤의 ‘지능형검침 
인프라’는 기업, 사회 인프라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그만큼 더 엄격한 기준이 적용됩니다. 
ETRI의  국제  표준기술지원을  통해  해외 
에서의 마케팅뿐만 아니라 사업영역도 확대
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지요.

ETRI 밀착지원 내용
①  IP 표준 네트워크 기술의 상용화 지원 및 
    해외사업 수주 및 홍보지원
②  100대 이상의 단말 시험 검증을 통한 제품 

안정성 향상 도모

③  소프트웨어 운영체계 최적화 구성 및 
    국제인증 획득지원

Mini 

Interview 
/
조송만 대표

㈜누리텔레콤 대표 제품 & 기술

* ㈜누리텔레콤의 ‘지능형검침인프라’는 전력사용량과 요금정보를 점검할 때 유선과 

무선 통신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설 립 년 │ 1992년 

대     표 │ 조송만

소 재 지 │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6

전     화 │ (02) 781-0777

홈페이지 │ www.nuritelecom.co.kr

기업현황

“글로벌 시장을

무대로 하는 기업이

꼭 알아두면 좋을 몇 가지 것들”

“ETRI 밀착지원과 연구개발을 통해 관련

분야에서 세계 최초에 가까운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었습니다. 게다가 국제 표준에 부합

하는 솔루션 구축기술을 이전받으면서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마케팅도 한결 수월 

해질  수  있었지요.  앞으로도  ETRI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우수한 기술인력 확보 

및 협업을 해나갈 것입니다. 향후 ETRI의 

기술지원, 협조를 받고자 하는 기업들은 해당 

기술을 충분히 습득할 수 있는 인력을 우선  

확보하시라는 말씀을 전하고 싶네요. 그렇게 

준비가 된다면 해당 기업과 ETRI 양쪽의 

발전은 물론 시너지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ETRI 원천기술의 우수성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지만, 특히 글로벌 무대를 

대상으로 하는 기업이라면 ETRI와 함께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될 거예요.”

Summary 

Board

153

>>>

152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해외 진출

㈜누리텔레콤

PART 

06


background image

ETRI 기술지원으로
세계시장 점유율 UP!

강남의 조그마한 오피스텔. 새벽 2시가 넘었는데도 사

무실에 불이 켜져 있다. 한쪽에는 작은 야전침대 하나, 

그리고 3명의 전 직원이 각자의 자리에 앉아 기술개발

에 매달리고 있다. 피곤에 겨운 듯 누구 하나 말이 없

다. 사무실을 떠도는 적막.

“1990년대 초,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은 굉장히 낙후되

어 있었어요. 대부분의 소프트웨어는 수입해 사용하는 

상황이었죠. 우리의 힘으로 만든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세계시장에 진출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어요. 그리고

는 대기업을 그만두고 갑자기 벤처기업을 시작한 거죠. 

겁도 없이(웃음).”

조송만 대표는 그렇게 자본금 5,000만 원을 들고 ㈜누

리텔레콤의 전신인 ‘A.T.I System’을 창업한다. 매 순

간이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통신용 에뮬레이터, 웹 브

라우저 등등 소프트웨어 개발에만 주력했다. 

겁도 없이 시작한 벤처기업,

글로벌 원격 검침시장으로

뛰어들다!

>  ㈜누리텔레콤은 ETRI와 함께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고 있는 

곳이다.

  ㈜누리텔레콤의 경쟁력은 늘 처음처럼 유지하고 있는 젊은 에너지다.

155

>>>

154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해외 진출

㈜누리텔레콤

PART 

06


background image

하면서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도 가시화한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원격검침시스템’도 기능적인 업그레

이드가 필요했다. 

그래서 구상한 것이 3세대 지능형검침인프라. 자동검

침과 동시에 소비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력사용량과 요

금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을 실현할 수 있게 

하는 기술적 지원이 절실했다. 

해외표준에 적합한 원천기술을 다수 확보하고 있는 

ETRI는 이를 도와줄 수 있는 상대로서 최고의 파트너. 

㈜누리텔레콤은 ETRI에서 보유한 IPv6 지원 경량 운

영체제(nanoQplus)를 기반으로 ‘지능형검침인프라’의 한 

단계 업그레이드를 위한 연구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

하게 된다.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에서 

번번이 좌절하며 마케팅 전략을 과감히 수정해야 할 필

요성을 느끼게 된다.

“불특정다수를 상대로 하는 제품보다는 기술진입장벽

이 높으면서도 기업을 상대로 한 마케팅 제품이 가능성 

있다고 봤어요. 그리고 지금의 ㈜누리텔레콤을 있게 

한 ‘원격검침시스템(AMR :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을 독자적으로 개발하게 됐죠. 게다가 창업 초기부터 

세계시장을 겨냥하고 있었기 때문에 발 빠른 글로벌 마

케팅도 동시에 이뤄져야만 한다고 생각했어요.”

1998년, 독자적으로 개발한 ‘원격검침시스템’은 곧바

로 국내 산업용 원격검침시장을 주도하게 된다. 특히 

2000년 초에는 일본 현지법인과 미국지사까지 설립

∧  ㈜누리텔레콤 조송만 대표

“ETRI의 적극적인 기술지원과
자문을 받게 되면서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었죠.
그것이 경쟁력의 핵심입니다.”

∧  ㈜누리텔레콤의 ‘지능형검침인프라’는 전 세계 14개국 80만여 고객들에게 솔루션을 공급, 지금까지의 누적 수출액만 550억 원에 달하고 있다.

∧   김선태 박사(ETRI 실시간SW연구실 실장)

157

>>>

156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해외 진출

㈜누리텔레콤

PART 

06


background image

실시간으로 전력사용량과 요금정보 제공이 가능한 ‘3

세대 지능형검침 인프라’는 개발단계에서부터 약간의 

어려움이 있었다. 관련기술의 상용화 사례가 없어 참조

할만한 모델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적정 규모의 테스트

를 할 수 있는 시험환경이 전무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누리텔레콤은 기술개발에 필요한 기기들과 

시험환경을 제공하고, ETRI 실시간SW연구실에서는 

적극적인 기술지원과 보완을 통해 제품 성능향상과 안

정성 확보를 꾀하기로 하면서 ‘지능형검침인프라’의 업

그레이드 비용과 개발기간을 크게 단축시켜 나갔다.

“ETRI의 적극적인 기술지원과 자문을 받게 되면서 국

제 표준에 부합하는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었죠. 더 나

아가 해외 다양한 지역에 사업제안을 할 수도 있었고

요. 특히 스마트그리드 핵심솔루션인 지능형검침인프

라 분야, 공장 및 빌딩 에너지관리시스템 분야, 에너지

저장장치(ESS : Energy Storage System)의 관리 소프트웨어,  

바코드/RFID 사업 등 에너지 이용과 관련한 모든 단계

의 솔루션을 갖추게 됨으로써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한 

서비스에 의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 ㈜누리텔레콤의 ‘지능형검침인프라’는 전력사

용량과 요금정보를 점검할 때 유선과 무선 통신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40여종 이상의 관련특허 확보 및 다양한 국제인증까

지 취득함으로써 가나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전 세계 

14개국 80만여 고객들에게 솔루션을 공급, 지금까지

의 누적 수출액만 550억 원에 달하고 있다. 

김선태 박사(ETRI 실시간SW연구실 실장)는 “ETRI에서는 협

소한 장소 및 예산사용 문제 때문에 10개 이상의 단말

기로 실험하는 게 조금 어려웠죠. 그런데 ㈜누리텔레

콤이 충분한 실험 공간 및 대규모 단말을 확보해 주면

서 시험검증을 통해 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됐

습니다. 두 기관의 서로 다른 기술개발 일정으로 상호 

시너지를 발휘할 시간이 많지 않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어떻게든 서로 믿고 부대끼며 함께했던 것이 지금의 결

과물들을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라며 ETRI와 ㈜누리

텔레콤이 지나온, 어려웠던 순간들을 전했다. 

20여 년 동안 한 분야에서 축적되어온 ㈜누리텔레콤의 

기술. 여기에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ETRI 기술지원이 

더해져 그 가능성과 경쟁력은 막강해졌다. 글로벌 시장

에서도 우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누리텔레콤의 저

력은 어느 날 갑자기 운 좋게 주어진 것이 아니었다. 통

신 소프트웨어 기술을 기반으로 전력 IT 분야 국내 최

고의 기술력을 갖추기까지 20여 년에 걸쳐 막대한 연

구개발 투자와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왔기 때문에 지

금의 ㈜누리텔레콤이 있을 수 있었던 것이다.

전 세계 14개국

80만여 고객들에게

솔루션 공급

∧  ㈜누리텔레콤이 전력 IT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기술력을 갖추기

까지는 20여 년에 걸친 막대한 연구개발 투자와 수많은 시행
착오가 있었다.

∧  ㈜누리텔레콤의 ‘지능형검침인프라’는 전력사용량과 

요금정보를 점검할 때 유선과 무선 통신방식을 모두 사용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159

>>>

158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해외 진출

㈜누리텔레콤

PART 

06


background image

Information

*  지능형검침인프라(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  원격검침  분야의  1세대가 

검침원이  직접  검침하는  수동검침이었다면, 
2세대는  산업용에  이용되는  자동원격검침 
시스템이다. 이후 3세대는 스마트그리드(지능형

전력망)

를 활용한 지능형검침인프라로, 소비자가 

전력사용량과  요금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 
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을 실현할 수가 있다.

* IPv6 지원 경량 운영체제(nanoQplus) : ETRI

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50kb 이내의 스레드
(Thread)

 기반 경량 운영체제로, 6LoWPAN/

IPv6/RPL/UDP/CoAP 등의 네트워크 프로
토콜을 포함하고 있으며 스마트 그리드의 스마트 
미터, 모니터링용 센서 등의 무선 경량 IOT 단말을 
위한 것이다.

㈜누리텔레콤은 향후 북유럽 및 아프리카, 중동과 아

시아, 남미 지역의 마케팅을 공격적으로 추진해 매출성

장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최근에는 남아공에 193억 원 

규모의 사물인터넷 기반 홈 인프라 구축사업을 수주했

으며, 61억 원 규모의 한국전력 계량데이터관리시스템 

구축사업 또한 수주한 바 있다. 향후 한국전력이 에너

지신산업에 1조1,200여 억 원을 투자하기로 한 가운

데, ㈜누리텔레콤의 ’지능형검침인프라‘ 또한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조 대표는 “스마트그리드 해외시장 개척과 시장 확대

에 사명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제품경

쟁력 확보가 최우선시 되어야만 하겠지요. 지속적인 해

외시장 공략과 더불어 마이크로그리드 사업 확대, 통신

기술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솔루션의 경쟁력 구축 등 다

양한 전략들을 세우고 있습니다. 

지금과 같이 ETRI의 전 방위적인 기술지원이 함께할 

때 그 실현 가능성은 점점 더 구체화되겠지요. 이 외에

도 기술 상용화 마케팅 및 인력지원의 폭이 좀 더 넓어

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라며 ㈜누리텔레콤의 향후 계

획, 그리고 ETRI에 바라는 사항들을 강조했다.

지난 20여 년 동안 전 세계 어디에 내어 놓아도 부끄럽

지 않을 기술력으로 성장하고 있는 ㈜누리텔레콤. ‘연

륜이 느껴지는 기업문화’를 상상했지만 절대 그렇지 않

았다. ㈜누리텔레콤은 ‘IT회사의 분위기는 딱딱할 것’이

라는 편견을 깨주는 회사였다. 재즈 혹은 클래식 팀을 

초청해 직원들을 위한 작은 콘서트를 정기적으로 개최

한다거나 CEO와 임직원들의 친밀한 관계형성을 위해 

부서별 런치타임, CEO 산행 등 다양한 CEO 스킨십 프

로그램을 운영하며 기업문화에도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었다. 이처럼 ㈜누리텔레콤의 경쟁력은 다른 그 무

엇도 아닌, 늘 처음처럼 유지하고 있는 젊은 에너지가 

아닐까 싶었다. 글로벌 시장을 무대로 활약하고 있는 

㈜누리텔레콤. 그들에게는 이미 세계가 좁다.  

 

해외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는 

‘젊은 기업’

 ㈜누리텔레콤을 방문해 기술지원을 논의 중인 김흥남 원장(우)과 김선태 박사(좌) 

∧  ㈜누리텔레콤은 지속적인 해외시장 공략과 더불어 마이크로그리드(Micro Grid) 사업 확대, 통신기술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솔루션의 경쟁력 구축 등 

다양한 전략들을 세우고 있다. 

161

>>>

160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해외 진출

㈜누리텔레콤

PART 

06


background image

최근, 영화 ‘인터스텔라’가 굉장한 인기를 끌었다. 이처럼 우주는 많은 사람들에게 묘한 짜릿함을 준다. 

ETRI의 해외 시장 마케팅 지원 등을 통해 국내 최초로 위성지상국시스템을 수출하며 항공우주산업의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솔탑. 이제 ㈜솔탑을 통해 또 다른 우주를 만나게 될 지도 모른다.


background image

해외 진출

솔탑

13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

162


background image

해외시장에
위성지상국시스템 수출!
ETRI 해외진출 마케팅
지원이 핵심!

㈜솔탑이 ETRI로부터 중점적으로 지원받게 
된 부분은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자문 및 
마케팅, 기술지원 등입니다. 
특히 선진국의 우수한 위성업체들을 직접 
방문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게  
되면서 기술개발 및 연구에 좀 더 집중할 수 
있게 되었죠. 뿐만 아니라 ETRI 위성시스템 
연구실의 지원을 통해 해외시장에서 40억 원 
규모의 사업을 수주할 수도 있었습니다.
ETRI라는 이름만으로 가질 수 있는 신뢰도 
또한 큰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해요.

ETRI 밀착지원 내용
①  위성지상국시스템 관련 해외진출 기술지원 

및 40억 원 규모의 해외사업 수주지원

②  비행역학시스템에  대한  설계기술지원  및 

위성지상국시스템 시험지원

③  위성임무계획  및  비행역학에  대한  기술 

교육, 해외견학 기회 제공

Mini 

Interview 
/
사공영보 대표

설 립 년 │ 1995년 

대     표 │ 사공영보

소 재 지 │ 대전시 유성구 유성대로 1476-55

전     화 │ (042) 867-7443

홈페이지 │ www.soletop.com

기업현황

“잘 맺어진 연결고리가

선순환 할 수 있도록 

서로 노력해야”

“눈앞의 것만 바라봐서는 안 됩니다. 누군가가 

시키는  것만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것도 

무의미하지요. 어떤 것을 연구하고 만들어나

갈 것인지, 그리고 시장에 어떻게 팔 것인지를  

분명히 한 후 기술을 개발하고 부족한 기술은 

ETRI에 지원요청을 해야만 합니다.  

또한 기업은 기술상용화를, ETRI는 원천

기술 개발을 중심으로 서로간의 신뢰를 쌓아 

나가야겠죠. 잘 맺어진 연결고리가 선순환 할 

수 있도록 양쪽 모두가 노력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솔탑의 대표 제품 & 기술

위성지상국시스템에는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응용, 처리하는 기술이
집약되어 있다.  ㈜솔탑은 이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자랑하고 있다.

Summary 

Board

165

>>>

164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해외 진출

㈜솔탑

PART 

06


background image

솔탑을 통해 만나는
‘또 다른 우주’

1995년 설립된 ㈜솔탑은 위성지상국시스템 전문개발 

기업이다. 위성지상국시스템, 즉 위성관제시스템과 위

성영상수신처리시스템 등 위성연구개발 분야에서는 

국내 위성산업 초기부터 시작해 오랫동안 관련 기술과 

노하우를 축적해오고 있으며, 아리랑위성 1~2호와 3, 

5, 3A호, 천리안위성 관제시스템, 영상수신처리시스

템 등을 개발, 한국 항공우주산업의 역사를 함께해 온 

선도기업이기도 하다.

㈜솔탑 사공영보 대표는 “한국 최초의 다목적 실용인

공위성인 ‘아리랑 1호의 위성관제시스템 개발 관련 업

무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참여한 적이 있었어요. 

당시 ETRI의 개발, 연구진들이 그 프로젝트를 진행하

고 있었는데 그때부터 ETRI와 인연을 맺기 시작했죠. 

1990년대 중, 후반만 해도 국내에서는 아직 위성과 관련

한 기술들이 전무했어요. 

아리랑 1호를 통해

맺어진 ETRI와의 인연

   

㈜솔탑은 국내 위성산업 초기부터 시작해 오랫동안 관련기술과 노하우를 축적해오고 

있으며 한국 항공우주산업의 역사를 함께해 온 선도 기업이기도 하다.

167

>>>

166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해외 진출

㈜솔탑

PART 

06


background image

수많은 기술들이 집약되어야만 하다 보니 조금 어려운 

부분도 있었겠죠. 무엇보다 한국 최초의 다목적실용인

공위성과 관계된 일을 하고 있다는 게 굉장히 설레었

어요(웃음). 그리고 그때부터 위성과 관련된 공부를 조

금씩 하기 시작했죠. 미래에의 비전이나 수익? 그런 걸 

생각하기보다는 그저 해보고 싶었어요. 새로운 것이었

으니까요. 특히 저에게는 ...”이라며 위성 및 관제시스

템 개발에 관심을 가지게 된 동기를 설명했다.

㈜솔탑이 주력하고 있는 사업 분야는 위성 지상체계시

스템, 무인기 지상체계시스템, 해양 장비 및 지상체계시

스템으로 나누어진다. 특히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

로 한 ㈜솔탑의 위성 지상국시스템은 스리랑카와 필리

핀, 태국 등 세계 각 국에서 사용 중이기도 하다.

국내 최초의

위성지상국시스템 해외수출,

그리고 40억 원 규모의 사업수주

19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 위성지상국시스템을 

본격적으로 개발하려고 하니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

목을 잡았다. 당시 일부 전문적인 기술개발은 외부 기

업에 맡겨놓고 있었는데, 그렇게 하다 보니 시스템의 

각 부분만 완성도가 높았지, 시스템 전체의 완성도는 

높이기가 어려웠다. 위성지상국시스템의 안정성을 위

해서라도 시스템 전체를 바라보고 조율할 수 있는 능력

자가 필요했다. 

㈜솔탑은 다시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ETRI 위성시스템연구실의 지원을 받기 시작했고, 

실제 위성지상국시스템과 관련된 여러 가지 장비들을 

국산화하는 데에도 ETRI가 큰 도움을 주었다.

“ETRI와 기업은 서로 다른 시선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유기적인 연계를 할 수 있다면 
서로의 능력을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  ㈜솔탑 사공영보 대표

∧  이병선 박사(ETRI, 위성시스템연구실 실장)

∧  ㈜솔탑은 2015년,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위성지상국시스템 수출에 나설 계획이다.

169

>>>

168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해외 진출

㈜솔탑

PART 

06


background image

특히 ETRI 위성시스템연구실로부터는 위성지상국시

스템 개발기술지원과 장비지원, 위성지상국시스템 상

용화를 위한 마케팅지원, 신기술 도입과 관련된 자문, 

해외 위성제작사로부터의 기술교육 제공 등 관제시스

템과 관련된 전 분야에서 풍부한 지원을 받게 된다.  

사공영보 대표는 “해외로의 수출을 적극적으로 모색했

던 것도 바로 그 시기였어요. ETRI 위성시스템연구실

로부터 ‘위성지상국시스템의 수출 가능성이 높다’라는 

조언을 들었을 때였죠. 위성을 만들어 수출하는 것보다

는 위성지상국시스템을 만들어 수출하는 게 훨씬 더 활

용도도 높고 더 많은 나라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는 말이 설득력 있게 다가왔어요. 실제로, 위성을 만들

어 발사하지 못하는 나라가 많지만 위성지상국시스템

을 필요로 하는 나라는 많거든요. 

이병선 박사(ETRI, 위성시스템연구실 실장)는 “㈜솔탑과는 타

이밍이 잘 맞았던 것 같아요. ETRI에서는 1980년대 

말부터 위성관련 개발인력을 모으고 있었거든요. 그리

고 1990년대 중반, 통신위성인 무궁화 1~2호를 쏘아 

올렸고 1990년대 말부터는 한창 위성지상국시스템 개

발에 열을 올렸던 시기였죠. 때마침 그때 ㈜솔탑이 함

께하게 된 거예요. 항공우주산업의 초창기부터 파트너

가 되기 시작한 거죠”라며 ㈜솔탑과 ETRI 위성시스템

연구실이 한 길을 걷게 된 당시의 상황을 설명했다.

㈜솔탑으로서는 ‘이보다 더 좋을 수’가 없었다. 항공우

주산업의 1세대라고 할 수 있는 ETRI의 연구진들과 위

성지상국시스템 개발을 함께 한다는 건 그 자체만으로

도 많은 노하우를 얻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다. 이후 

㈜솔탑은 위성지상국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게 된다. 

∧  ㈜솔탑은 ETRI 위성시스템연구실의 기술지원 및 해외마케팅지원 등을 통해 위성지상국시스템의 품질향상을 이끌어냈다.

∧  ㈜솔탑이 주력하고 있는 사업 분야는 크게 위성 지상체계시스템, 무인기 지상체계시스템, 그리고 해양 장비 및 지상체계시스템으로 나누어진다.

171

>>>

170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해외 진출

㈜솔탑

PART 

06


background image

Information

* 위성지상국시스템 : 위성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들을  수신해  응용,  처리하는  기술  및 
시스템

* 통신해양기상위성 : 천리안 위성과 같이 통신

해양 및 기상관측 카메라를 탑재한 위성

* 다목적 실용위성 : 아리랑 위성 같이 고해상도 

카메라를 탑재한 위성

우수한 기술력의 위성지상국시스템을 수출한다면 해

당 국가의 항공우주산업 발전을 위해서도 유익할 것이

라고 봤습니다”라며 ㈜솔탑의 위성지상국시스템이 본

격적으로 해외시장에 선보이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이어 “그렇게 얼마 되지 않아 ETRI 위성시스템

연구실의 기술지원 및 제안으로 ‘태국 지구정보·우주

기술개발국(GISTDA)’의 10억 원 규모 사업입찰에 응모

한 적이 있었어요. 그때 해외사업을 처음 수주할 수 있

었죠. 관제시스템 수출로는 국내 최초이기도 했어요. 

ETRI 위성시스템연구실의 지원이 아니었다면 해외시

장에서의 마케팅과 수출에서도 어려울 수밖에 없었을 

거예요”라며 해외진출을 위한 ETRI의 전폭적인 지원

부분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이 박사는 “㈜솔탑의 기술력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지금은 ㈜솔탑이 ETRI를 따라가고 있는 형국

이지만 결국 언젠가는 ETRI가 ㈜솔탑을 따라가게 될 

거예요. 그 과정에서 서로를 믿고 함께할 수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하겠죠. ETRI와 기업은 서로 다른 시선을 가

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유기적인 연계를 할 수 

있다면 서로의 능력을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는 선순환

이 이뤄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라며 기업과 ETRI의 

동반성장을 위한 요건에 대해서도 역설했다.

㈜솔탑은 ETRI 위성시스템연구실의 기술지원 및 해외

마케팅지원 등을 통해 위성지상국시스템의 품질향상은 

물론 개발기간 단축, 해외시장에서 40억 원 규모의 사

업수주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결실을 맺고 있는 중이다.

전 세계적으로 위성개발보다

지상국시스템의 수요가 더 많아

㈜솔탑은 2015년을 ‘글로벌 시장진출의 디딤돌’로 생

각하고 있다.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기상위성분석시

스템, 실용위성관제시스템 등 본격적인 관제시스템 수

출에 나설 계획이다.

사공영보 대표는 “그동안 한국의 항공우주산업은 위성

을 개발하는 데에만 시간과 노력을 집중하고 있었습니

다. 하지만 위성은 10%에 지나지 않지요. 이를 활용하

는 위성지상국시스템과 서비스가 전체의 90%를 차지

하고 있다는 걸 알아야 합니다. 이동통신기지국은 ‘위

성 플랫폼’이고 모바일단말기는 ‘위성지상국시스템을 

비롯한 서비스’라고 예를 들어봅시다. 사람들은 어떤 

걸 더 자주 구입하게 될까요. 당연히 모바일단말기입니

다. 이동통신기지국을 구입하는 사람은 없죠. 마찬가

지입니다. 물론 위성개발도 중요하지만 이를 활용하는 

위성지상국시스템, 서비스 등의 개발에 주력한다면 좀 

더 품질 좋은 시스템을 세계 여러 나라에 수출할 수가 

있겠지요. 이제 ㈜솔탑은 위성지상국시스템의 품질을 

한층 업그레이드시켜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수출을 추

진하는 것은 물론 국내 위성개발 프로젝트 등에도 꾸준

히 참여해 한국 항공우주산업 발전에 기여할 예정입니

다”라며 ㈜솔탑의 향후 계획과 비전에 대해 설명했다.

국내 유일의 위성지상국시스템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

장 내에서의 기술력을 뽐내고 있는 ㈜솔탑. 향후 이들

의 행보가 저 멀리 우주를 향해 있다는 것은 누구나 예

상할 수 있는 사실이다. 늘 언제나 푸르게 솟아있는 탑, 

한국 항공우주산업의 버팀목으로 그 자리를 늘 든든하

게 지킬 것이다.  

 

         

>  한국 항공우주산업의 버팀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기업, ㈜솔탑이다.

173

>>>

172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해외 진출

㈜솔탑

PART 

06


background image

부록

프로그램 소개 및 성과

Appendix

 

                            

Start!

기업 성장의 시작은

ETRI와 함께하다

부록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프로그램 및 성과 등


background image

APPENDIX

부록

ETRI 일반현황

임     무

설    립

설립목적

·1976년 12월 설립
· 한국전자통신연구소(KTRI), 시스템공학연구소(SERI),  

한국전자기술연구소(KIET)가 모태

정보, 통신, 전자, 방송 및 관련 융·복합기술 
분야의 산업원천기술 개발 및 성과확산을 통해  
국가경제·사회발전에 기여

· IT분야 기술사업화 및 중소기업 기술지원

· 기술정책수립 지원, 시험평가 인증, 인력양성 등

· 방송·통신 미디어 분야 연구개발
· SW·콘텐츠 분야 연구개발
· IT기반 융·복합 분야 연구개발
· IT부품·소재 분야 연구개발
· IT분야 정보보호 및 표준화 연구개발

연구개발

서비스

기원지원

비전 및 전략     

·

창의·융합 R&D혁신 시스템 구축

·

글로벌 Open R&BD 역량 강화

·

중소·중견기업 동반성장 생태계 구축

·

지식재산 Biz전략 강화

·

창의인재 육성 HRD 시스템 구축

경영비전

추진전략

창의성(Creativity) 및 생산성(Productivity) 극대화

미래를 창조하는 

ICT Innovator

혁신형
연구성과 창출

글로벌IP
경쟁력 확보

세계 수준의
선진경영체계 구축

·세계일등기술 : 연 8건
·핵심원천기술 : 연 35건

·기술료 : 5천만 불
·핵심 표준특허 : 500건

·글로벌 Talent : 10%
·긍정조직문화 : 전사 확산

성과경영

특허경영

인재경영

경영목표

01

설립 및 임무

일반현황

177

>>>

176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APPENDIX

부록

ETRI 일반현황

 

  SW·콘텐츠연구소  

“인간중심의 디지털 라이프 실현을 위한 SW·콘텐츠 연구”

기초연구에서부터 핵심기술 개발과 상용화 기술 개발까지 아우르는 전주기 R&D 추진 

   융합기술연구소  

“지능형 네트워크, 사물인터넷 시대를 여는 새로운 융합 기술 개발”

ICT 융합을 통해 산업의 경쟁력 향상과 새로운 고부가가치 창출

   

정보통신부품소재연구소  

“글로벌 중소중견기업을 육성·창출할 부품소재 핵심·원천기술 개발”

전자정보산업의 핵심인 융합부품 및 소재 분야의 핵심·원천기술 개발 주도

  

   

방송통신미디어연구소  

“세상을 따뜻하게 만들 이용자 친화적 방송통신 기술 연구”

차세대 방송통신미디어 핵심원천기술 및 표준기술 확보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창조

   

통신인터넷연구소  

“초고속통신 서비스로 Mobile Life를 구현할 통신 기술 개발”

유무선 통합, 이동통신기술, 미래인터넷 기술 및 광인터넷 인프라와 미래네트워크 

기술 분야 연구

   창의미래연구소  

“ICT정책 및 R&D 기술기획을 선도하기 위한 통섭형 Think-Tank”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혁신적인 ICT 기술을 위해 미래기술연구와 기술정책연구, 

창의기술 및 표준연구 담당

   사업화본부  

“중소기업과 상생협력으로 창조경제를 구현하는 기술사업화 파트너”

ETRI의 사업화혁신 전략인 “백(百)·만(萬)·조(兆) 성과확산 전략” 추진

주요연구분야

02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프로그램

지원개요  | 연구실 별 1개 이상의 기업을 공개 선정하여 잠재적 히든챔피언으로 성장

할 수 있도록 가상연구소 역할 수행

지원형태  | 선정 후 최대 2년까지 밀착지원 [기업부담금 : 무상]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1실 1기업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 연계

마케팅/판로지원

연구원 전문인력 활용

기술/시장 정보 제공

아이디어/정보교류, 커뮤니티

유관기관 연계지원

R&D 기술 자문/교육

연구시설 공동 활용

지원 연구실

지원 코디네이터

지속적 기술 교류

맞춤형 집중지원

지원성과 극대화

179

>>>

178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APPENDIX

부록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프로그램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기업목록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기업목록

연구소

SW·콘텐츠

융합기술

부품소재

방송통신

통신인터넷

사업화본부

합계

대상기업/

연구실

50/37

37/32

20/16

33/26

31/27

 2/1

173/139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현황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기업목록

연구소

회사명

연구실

홈페이지

SW·콘텐츠

제어시스템보안연구실

(주)제니스텍

www.zenithtek.co.kr

SW·콘텐츠

통방융합

SOC연구실

㈜더게이트테크놀러지스

www.thegate.co.kr

SW·콘텐츠

CG기술연구실

㈜딜리

www.dilli.co.kr

SW·콘텐츠

CPS연구실

MDS테크놀로지㈜

www.mdstec.com

SW·콘텐츠

지식마이닝연구실

㈜마인즈랩

www.mindsinsight.co.kr

SW·콘텐츠

멀티미디어프로세서연구실

㈜코아로직

www.corelogic.co.kr

SW·콘텐츠

암호기술연구실

소프트포럼㈜

www.softforum.com

SW·콘텐츠

고성능컴퓨팅

SW연구실

㈜소프트웨어인라이프

www.softwareinlife.com

SW·콘텐츠

음성처리연구실

㈜파인디지털

www.finedigital.com

SW·콘텐츠

암호기술연구실

㈜아이씨티케이

www.ictk.com

SW·콘텐츠

인증기술연구실

㈜듀얼아이

www.duali.com

SW·콘텐츠

스토리지시스템연구실

㈜유투앤

www.u2n.kr

SW·콘텐츠

스마트콘텐츠연구실

㈜아이포트폴리오

iportfolio.co.kr

SW·콘텐츠

RF/Analog SoC연구실

㈜리딩유아이

www.leadingui.com

SW·콘텐츠

가상현실연구실

㈜카몬

www.kamon.tv

SW·콘텐츠

네트워크보안연구실

㈜시스메이트

www.sysmate.com

SW·콘텐츠

분석소프트웨어연구실

㈜한국플랫폼서비스기술

www.kpst.co.kr

SW·콘텐츠

CPS연구실

㈜이공감

www.e-gg.co.kr

SW·콘텐츠

고성능컴퓨팅시스템연구실

㈜신테카바이오

www.syntekabio.com

SW·콘텐츠

차세대

OS연구실

㈜알티스트

www.rtst.co.kr

SW·콘텐츠

지식이러닝연구실

㈜자연사연구소

www.nhriapp.com

SW·콘텐츠

차세대영상연구실

㈜알디텍

www.rd-tek.co.kr

SW·콘텐츠

임베디드

SW플랫폼연구실

㈜스마트큐

www.smartqtech.com

SW·콘텐츠

서버플랫폼연구실

㈜컴트리

www.comtree.kr

SW·콘텐츠

콘텐츠보호연구실

헤드플레이

www.codechaser.org

SW·콘텐츠

인증기술연구실

㈜케이사인

www.ksign.com

SW·콘텐츠

스마트게임플랫폼연구실

㈜싸이웍스

www.syworks.com

SW·콘텐츠

데이터관리연구실

㈜이씨마이너

www.ecminer.com

SW·콘텐츠

자동통역연구실

㈜시스트란 인터내셔널

www.cslli.co.kr

SW·콘텐츠

지식이러닝연구실

제이에스씨게임즈㈜

www.jscgames.com

SW·콘텐츠

휴먼컴퓨팅연구실

소프트온넷㈜

www.softsonnet.com

SW·콘텐츠

실시간

SW연구실

레이디오펄스㈜

www.radiopulse.co.kr 

SW·콘텐츠

언어처리연구실

헬로챗㈜

www.hellontalk.com 

SW·콘텐츠

서버플랫폼연구실

이트론㈜

www.e-trons.co.kr

SW·콘텐츠

모바일서비스플랫폼연구실

㈜리코시스

www.realosys.com

SW·콘텐츠

실시간

SW연구실

㈜누리텔레콤

www.nuritelecom.com

SW·콘텐츠

CG기술연구실

㈜맥스트

www.mexst.com

SW·콘텐츠

인증기술연구실

㈜쿠노소프트

www.kounosoft.com

SW·콘텐츠

휴먼인터페이스

SoC연구실

㈜엑스톤

www.axstone.com

SW·콘텐츠

모바일컨텐츠연구실

㈜세방에스디엘

www.sdl.kr

SW·콘텐츠

ICT융합보안연구실

한국정보보호시스템㈜

www.kinfosec.co.kr

SW·콘텐츠

인터랙티브입체영상연구실

㈜화이버옵틱코리아

www.fiber-optic.co.kr

SW·콘텐츠

스마트콘텐츠연구실

㈜앙클

ancle.kr

부록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프로그램

181

>>>

180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기업목록

연구소

회사명

연구실

홈페이지

SW·콘텐츠

휴먼인식기술연구실

㈜이미지넥스트

www.imagenext.co.kr

SW·콘텐츠

웨어러블컴퓨팅연구실

㈜마이크로텍시스템

www.micro-tech.co.kr 

SW·콘텐츠

휴먼인식기술연구실

㈜케이쓰리아이

www.k3i.co.kr

SW·콘텐츠

멀티미디어프로세서연구실

㈜셀루온

www.celluon.com

SW·콘텐츠

RF/Analog SoC연구실

두온시스템㈜

www.autrol.co.kr

SW·콘텐츠

모바일보안연구실

㈜유브릿지

www.ubridge.co.kr

SW·콘텐츠

암호기술연구실

코나아이㈜

www.konai.co.kr

융합기술

IoT플랫폼연구실

㈜핸디소프트

www.handysoft.co.kr

융합기술

자동차

IT플랫폼연구실

㈜카텍

www.car-tech.co.kr

융합기술

자율제어미들웨어연구실

한일에스티에스㈜

www.hanilsts.com

융합기술

WPAN응용연구실

㈜에이투유정보통신

www.a2uict.com

융합기술

의료영상연구실

㈜젬스메디컬

www.gemss-medical.com

융합기술

에너지

IT기술연구실

㈜이젝스

www.ezex.co.kr

융합기술

자율제어미들웨어연구실

㈜엔토피아

www.ntopia.net

융합기술

위치/항법기술연구실

㈜지오투정보기술

www.geotwo.com 

융합기술

자동차

IT융합연구실

㈜에이디칩스

www.adc.co.kr

융합기술

사물통신연구실

㈜디오브이

www.dov.co.kr

융합기술

LED통신연구실

㈜유양디앤유

www.yuyang.co.kr 

융합기술

3D인지플랫폼연구실

퍼스텍㈜

www.firsteccom.co.kr 

융합기술

지역산업

IT융합연구실

㈜유시스

www.usys.co.kr 

융합기술

자동차

IT플랫폼연구실

한국델파이㈜

www.kdac.co.kr

융합기술

인간로봇상호작용연구실

㈜뉴런

www.new-run.net

융합기술

바이오정보연구실

㈜제윤

www.jeyun.com

융합기술

임베디드시스템연구실

㈜오씨티

융합기술

실감감성플랫폼연구실

㈜다울디엔에스

www.daooldns.co.kr

융합기술

사물감성융합연구실

㈜옥타컴

www.octacomm.net

융합기술

지식융합서비스연구실

유비즈정보기술㈜

www.ubizit.co.kr

융합기술

지식융합서비스연구실

㈜카이런소프트

www.chironsoft.com

융합기술

자동차인프라협력연구실

㈜테슬라시스템

www.teslasystem.co.kr

융합기술

공간정보기술연구실

㈜포디존

www.4dzone.co.kr

융합기술

바이오메드연구실

㈜레퍼런스바이오랩 

www.rbiolabs.com

융합기술

의료소자연구실

㈜스마트케어

www.smtcare.co.kr

융합기술

조선해양

IT융합연구실

㈜하버맥스

www.harbormax.com

융합기술

의료

IT융합연구실

㈜오성전자

www.ohsungec.co.kr

융합기술

자율주행시스템연구실

㈜언맨드솔루션

www.unmansol.com

융합기술

물류프로세스연구팀

대성엘앤에이㈜

www.dslan.com

융합기술

사물인지연구실

케이아이씨시스템즈㈜

www.kicsystems.com

융합기술

지능형

IoT단말연구실

㈜텔레웍스

www.teleworks.co.kr

융합기술

스마트포스트연구팀

㈜포스트큐브

www.postcube.kr

융합기술

자동차인터랙션연구실

네이버시스템㈜

www.neighbor21.co.kr 

융합기술

지능로봇제어연구실

㈜모빌토크

www.mobiletalk.co.kr

융합기술

조선해양

IT융합연구실

㈜대명엘리베이터

www.delco21.com

융합기술

지역산업

IT융합연구실

렉스젠㈜

www.rexgen.co.kr

정보통신부품소재

혼성신호처리연구실

㈜넥스트칩

www.nextchip.com

정보통신부품소재

자연모사

I/0인터페이스연구실

㈜나노브릭

www.nanobrick.co.kr

정보통신부품소재

GaN전력소자연구실

㈜테스

www.hites.co.kr

정보통신부품소재

웨어러블소자연구실

㈜유플러스비전

www.upv.co.kr

정보통신부품소재

RF융합부품연구실

㈜기가레인

www.gigalane.com

정보통신부품소재

나노인터페이스소자연구실

㈜신명전자

정보통신부품소재

스마트

I/O제어연구실

㈜유피케미칼

www.upchem.co.kr

정보통신부품소재

GaN전력소자연구실

AP시스템㈜

www.apsystems.co.kr

APPENDIX

부록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프로그램

183

>>>

182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기업목록

연구소

회사명

연구실

홈페이지

정보통신부품소재

광인터넷부품연구실

㈜네온포토닉스

www.neonphotonics.com

정보통신부품소재

광무선융합플랫폼연구실

㈜엘디스

www.eldis.co.kr

정보통신부품소재

에너지변환소자연구실

㈜리빙케어

www.lcdv.co.kr 

정보통신부품소재

전력제어소자연구실

씨아이에스㈜

www.cisro.co.kr

정보통신부품소재

스마트

I/O제어연구실

㈜디엔에프

www.dnfsolution.com

정보통신부품소재

IT융합부품연구실

㈜알에프세미

www.rfsemi.co.kr

정보통신부품소재

소프트

I/O인터페이스연구실

㈜엔라이팅

www.enlighting.co.kr

정보통신부품소재

광집적플랫폼연구실

㈜켐옵틱스

www.chemoptics.co.kr

정보통신부품소재

태양광기술연구실

㈜제이몬

www.jmon.co.kr

정보통신부품소재

광무선융합플랫폼연구실

㈜정상라이다

www.jslidar.com

정보통신부품소재

나노융합센서연구실

㈜블루콤

www.bluec.co.kr

정보통신부품소재

광무선융합플랫폼연구실

㈜큐에스아이

www.qsilaser.com

방송통신

인지무선기술연구실

이노넷㈜

www.innonet.co

방송통신

스마트

TV시스템연구팀

가온미디어㈜

www.kaonmedia.com

방송통신

미디어네트워킹연구실

㈜아펙스플랫폼

www.apexplatform.net

방송통신

미디어클라우드연구실

㈜이노피아테크

www.innopiatech.com

방송통신

위성무선

RF기술연구실

알에프에이치아이씨㈜

www.rfhic.com

방송통신

전자파환경연구실

㈜에이치시티

www.hct.co.kr 

방송통신

오디오연구실

㈜소닉티어

www.sonictier.com

방송통신

마이크로파기술연구실

동양이엔피㈜

www.dyenp.com

방송통신

위성무선

RF기술연구실

㈜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www.intelliantech.com 

방송통신

입체방송연구실

㈜씨앤오

www.icno.co.kr 

방송통신

모바일미디어융합연구실

㈜에세텔

www.essetel.com

방송통신

스마트

TV미디어연구팀

㈜카이미디어

www.kai-media.com

방송통신

위성휴대방송통신연구실

㈜에이알테크놀로지

www.i-art.co.kr

방송통신

생활전파기술연구실

블루웨이브텔㈜

www.bluewavetel.com

방송통신

위성시스템연구실

㈜솔탑

www.soletop.com 

방송통신

지상파방송연구실

㈜넥스윌

www.nestwill.com

방송통신

디지털홀로그래피연구실

㈜님버스

www.nimbus.kr

방송통신

케이블방송연구실

㈜엘컴텍

www.elcomtech.co.kr

방송통신

위성시스템연구실

㈜위스페이스

www.wespace.kr 

방송통신

위성광대역방송통신연구실

㈜코메스타

www.comesta.com

방송통신

마이크로파기술연구실

㈜코프

www.korf.co.kr

방송통신

위성항법연구실

㈜넷커스터마이즈

www.netcus.com

방송통신

모바일방송연구실

㈜마루이엔지

www.marueng.co.kr 

방송통신

스마트미디어플랫폼연구실 

㈜케이벨

www.kbell.co.kr

방송통신

스펙트럼공학연구실

㈜솔루윈스

www.soluwins.com

방송통신

디지털홀로그래피연구실

㈜한교아이씨

www.hangyo97.co.kr

방송통신

미디어네트워킹연구실

㈜인텔리안시스템즈

www.intelliansys.co.kr

방송통신

감성미디어연구실

㈜가인에스아이

방송통신

영상미디어연구실

㈜스마트구루

www.smartguru.co.kr

방송통신

전파신호분석연구실

에이앤디엔지니어링㈜

www.adeng.com

방송통신

모바일미디어융합연구실

케이아이티밸리㈜

www.kitvalley.com

방송통신

스마트

TV서비스연구팀

㈜다트미디어

www.dartmedia.co.kr

방송통신

마이크로파기술연구실

㈜디아이디

www.didsp.co.kr

통신인터넷

광네트워크제어연구실

㈜우리넷

www.woori-net.com

통신인터넷

Giga통신연구2실

㈜쏠리드

www.solid.co.kr 

통신인터넷

네트워크품질연구실

㈜아큐픽스

www.accupix.com 

통신인터넷

무선전송연구

1실

에이엠텔레콤㈜

www.amtel.co.kr

통신인터넷

광단말솔루션연구실

라이트웍스㈜

www.lightworks.co.kr 

통신인터넷

클라우드네트워킹연구실

㈜텔레필드

www.telefield.com 

APPENDIX

부록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프로그램

185

>>>

184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수요자 만족도는 

88점으로 

만족 수준

기업 종업원수 증대 효과

1,450명

(*단순 종업원 증가수, 2014년 말 추정)

품질수준 58.9%에서 

지원 후 81.8%로, 

22.9% 상향

비용절감액효과는

 

118억 원으로 추정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56.1%에서 지원 후 78.9%로,

22.8% 상승

기업 매출액 증대 효과 

2,670억 원 

(*단순 매출 증가액, 2014년 말 추정)

   기술개발기간 

   

7.2개월 단축

   (17.3개월   10.1개월) 

제품개발기간

 

7개월 단축

(17.4   10.4개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성과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성과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기업목록

연구소

회사명

연구실

홈페이지

통신인터넷

광전송연구실

㈜에이알텍

www.artech200.com 

통신인터넷

광전송연구실

㈜오이솔루션

www.oesolution.com

통신인터넷

지역산업기술개발실

㈜링크옵틱스

www.linkoptics.com

통신인터넷

관제디바이스연구실

㈜디지탈테크

www.digital-tek.co.kr

통신인터넷

광응용부품연구팀

㈜이상테크

www.lstech.kr

통신인터넷

Giga통신연구3실

㈜씨맥스와이어리스

www.cmaxwireless.com 

통신인터넷

SDN기술연구실

㈜유미테크

www.ymtech.co.kr

통신인터넷

스마트워크연구실

㈜욱성미디어

www.wooksungmedia.com 

통신인터넷

초고속모뎀연구실

㈜아리텔

www.r-tron.com 

통신인터넷

유무선신뢰네트워킹연구실

㈜크레블

www.creble.com 

통신인터넷

무선전송연구

4실

㈜온워즈

통신인터넷

무선응용연구

3실

㈜스핀텔레콤

www.spintelecom.co.kr 

통신인터넷

무선전송연구

2실

㈜네스랩

www.nesslab.com

통신인터넷

이동무선백홀연구실

회명정보통신㈜

www.hoimyung.co.kr 

통신인터넷

네트워크

SW플랫폼연구실

㈜아키스

www.archys.com

통신인터넷

네트워크컴퓨팅융합연구실

㈜케이아이엔엑스

www.kinx.net

통신인터넷

광전달망시스템연구실 

코위버㈜ 

www.coweaver.co.kr 

통신인터넷

유무선융합서비스플랫폼연구실 

㈜티씨아이네트 

www.tci.co.kr 

통신인터넷

무선응용연구

4실 

㈜모뎀게이트 

www.modemgate.com

통신인터넷

네트워크컴퓨팅융합연구실 

㈜아이엔소프트 

www.in-soft.co.kr

통신인터넷

스마트워크연구실

㈜유프리즘 

www.uprism.com

통신인터넷

무선응용연구

2실

㈜이엠따블유

www.emw.co.kr

사업화본부

중소기업기술지원팀

㈜마미로봇

www.mamirobot.com

사업화본부

중소기업기술지원팀

㈜에드모텍

www.admotech.com

APPENDIX

부록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프로그램

187

>>>

186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APPENDIX

부록

어깨동무 프로그램 

02

중소기업지원 

‘어깨동무 프로그램’ 소개

지원개요  | 이전기술이 조기 제품(서비스)화 될 수 있도록 사업화 추가  
                R&D 지원

지원형태  |  ETRI 연구인력이 직접 추가 R&D 수행
 

[기업부담금: 직접비 50% 현금·현물]

사업화 추가R&D 지원

R&D 

추가 지원

기술이전

사업화 추가

R&D 개발

기술 사업화 성공

기업의 
제품화

기술 요구

조기 기술

제품화

·시험 및 장비지원

· 생산제작 및 테스트

  베드 시설

어깨동무 
프로그램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사업화 추가R&D 지원
·기술도우미 상담센터

·개방형 혁신창업
·연구소기업 설립 및 지원
·창조경제타운 ICT 멘토링
·ETRI 창업공작소

·

상용화 현장지원(단기)

·

연구인력 현장지원(중기)

·

기술인재지원(장기)

·애로

기술지원

·ETRI 기술이전
·Gap-Bridge 프로그램
·기술예고제
·ETRI 특허 실시

창업지원

기술

사업

화지원

전문인

력지원

기술사업화지원

03          중소·중견기업 지원  

어깨동무 프로그램

189

>>>

188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APPENDIX

부록

어깨동무 프로그램 

지원개요  | 기업이 기술/제품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ETRI 및
 

유관기관의 보유장비, 시험시설 등을 유·무상 지원

시험 및 장비지원

Tes

t-bed 서비스

실제 사용환경과

같은 시험환경 제공

인증 서비스

제품 시험결과,

표준적합성 인증 등

시험 서비스

제품의 성능/
신뢰성 시험 제공

장비지원

고가의 IT장비

사용 지원

시설지원 서비스

제품개발에

필요한 주요시설 지원

제작지원 서비스

IT제품 생산 또는

시제품 제작 지원

지원개요  | ETRI와 중소기업간의 창구 역할로서 IT분야 기술문의 및
 

애로사항에 대해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상담서비스 제공

 

[미래창조과학부의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와 연계]

기술도우미 상담센터

http://escort.etri.re.kr 접속 후, 상담 신청

http://www.venture119.re.kr 

기술도우미

센터

· 중소기업기술수요발굴 상담

· 애로기술 해결

· 기술사업화 컨설팅

· 인력파견상담

· 공공연구/수탁개발 상담

· 기술 및 시장정보지원

· 기타 기술문의 상담

연구인프라지원

기술사업화지원 

191

>>>

190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APPENDIX

부록

어깨동무 프로그램 

전문인력지원

연구인프라지원

http://ctcc.etri.re.kr 접속 후, 중소기업 지원 메뉴 선택 및 검색

지원개요  | 융합기술 및 제품개발에 필요한 상용시제품 생산제작 시설과 

예비 검·인증 테스트베드를 지원하며, 입주공간 제공

생산제작 시설 및 테스트베드

지원개요  | 연구과제 종료 전·후 기술이전 기업에 ETRI 개발자를
 

단기간 파견하여 이전기술의 완성도 제고

지원형태  |  월 단위 파견 또는 출장 [기업부담금:무상(과제종료 전), 유상(과제종료 후)]

상용화 현장지원(단기 인력파견)

지원개요  | 중소기업 기술사업화 애로 해결을 목적으로 ETRI 연구인력을
 

기업 R&BD 현장에 중기(1년 내) 파견

지원형태  |  동일기업에 최대 2명 파견 가능 [기업부담금:파견인력 인건비의 30%]

연구인력 현장지원(중기 인력파견) 

금형/목업/사출 제작

· 제품 디자인

· 제품 기구 설계

· 기구설계 보안

· 워킹 목업

· 금형 설계(3D)

· 금형 제작

· 시사출 성형

PCB/SMT 제작

· 초기회로 설계

· PCB 설계

· 시급부품 수/발주

· PCB 수/발주/검사

· SMT/시제생산

· 시제품 검사

· Rework/Repair

테스트베드

· 차세대 네트워크

· 차세대 음향

· 이동통신 단말

· 박막 소자(MIT)

· 감성 파노라마

· 정보자원 기술검증

· 사이버 해킹

애로분야 연구인력 매칭

- 단기 : 1개월~1년
- 중기 : 1년 이내
- 장기 : 3년

중소기업
연구인력 

부재에 따른

기술사업화 애로

목표 제품/

서비스 사업화 

성공

193

>>>

192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APPENDIX

부록

어깨동무 프로그램 

기술보유  |  IT 및 IT융·복합분야에 총 1,576건의 이전가능 기술보유[2014.10.20. 현재]

지원개요  |   기업이 필요한 ETRI 보유기술은 기술이전계약 체결 후 활용 가능(유상)

ETRI 기술이전

기술력강화지원

지원개요  |  석·박사급 고급연구 인력을 기업 현장에 장기(3년) 파견       
                  하여 기업의 연구인력난 해소 지원

지원형태  |   동일기업에 1명, 6년간 가능
                  [기업부담금: 파견인력 인건비의 40% 수준]    

기술인재지원(장기 인력파견)

지원개요  |   기업이 기술개발 과정에서 직면하는 기술애로를 ETRI 내·외부 IT분야 

전문인력을 활용해 해결지원(2,000여명 전문가 POOL)

지원형태  |   기술난이도(기간)에 따라 등급(A~D) 구분, 등급별 기업부담금 차등 
                  [예시, A등급 

⇨ ETRI 350만 원, 기업 150만 원]  

애로기술지원

http://www.venture119.re.kr 접속 후, 지원 신청

http://www.itec.etri.re.kr의 기술이전 검색 메뉴 또는 ETRI 기술이전 앱 접속 후 검색

전문인력지원

http://partners.nst.re.kr 접속 후 신청

http://www.venture119.re.kr 접속 후, 지원 신청

195

>>>

194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APPENDIX

부록

어깨동무 프로그램 

※ ETRI 보유 특허에 대한 정보 검색

특허무상양도는 무상양도 대상 특허 목록을 공고하고, 이에 대한 신청을 접수받아 심사 
후 양수인 선정 

http://www.etri.re.kr 접속   특허 메뉴 선택

KIPRIS(http://www.kipris.or.kr) 검색 및 확인 가능 

특허보유 |  IT 및 IT융·복합분야 20,000건의 특허 보유 

지원개요 |   필요로 하는 특허기술은 실시계약 체결 후 활용 가능(유상)
 

미활용 특허는 무상양도 가능(2013년: 81건, 2014년: 370건)

ETRI 특허 실시

기술력강화지원

무상양도
특허선정

무상양도
수요조사

양수인

적격심사

무상양도

http://itec.etri.re.kr의 기술예고 메뉴 또는 ETRI 기술이전 앱 접속 후 검색

지원개요  |   당해년도 개발 중인 기술목록과 내용을 개발완료 이전에 기업에게 사전 

예고하여 기술사업화 구상기회 제공(2008년부터 시행, 총 850건 예고)

지원형태  |   Web/모바일 앱, 책자 및 DVD 등으로 연 2회 배포(무상)

기술예고제

지원개요  |   기업이 관심을 가지는 특정기술 분야의 최신 기술동향 등에 대해 동일 분야
                  ETRI 전문가가 찾아가는 기술세미나 제공

지원형태  |   소수의 희망기업을 대상으로 연 10회 개최(무상)

Gap-Bridge 프로그램

197

>>>

196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APPENDIX

부록

어깨동무 프로그램 

개방형 혁신창업

중소·중견

기업

기업 공동  설립

(선도 신기술)

기술출자

기술발굴

현금출자

BM제시

마케팅

현금출자

기술/경영 컨설팅을 통한 성장 지원 및 사업화 협력

연구소기업 설립 및 지원

지원개요  | ETRI 보유기술의 직접 사업화를 위한 연구소기업 공동설립   
                및 성장지원 [ETRI 기술출자 원칙, 현금출자 병행 가능]
                *현금출자는 ETRI 100% 자회사인 에트리홀딩스㈜가 진행

설립혜택  |  특구지원사업 및 세제혜택, ETRI 연구소기업 브랜드 사용 가능

연구소기업 :  특구 안의 국립연구기관 및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자신이 보유한 

기술을  직접  사업화하기  위하여  자본금(기술,  현금  등)의 
20% 이상을 출자하여 특구 안에 설립하는 기업(연구개발특구 

                          육성 등에 관한 특별법)

창업지원

지원개요  | ETRI 직원 및 외부전문가의 예비창업지원

  

               (ETRI 기술 + 내·외부 IDEA)

지원형태  | 예비창업자 선정, 창업준비(예비창업)지원

 

               *계약직원, 외부전문가는 초빙연구원 채용 

외부전문가의 예비창업지원

 

창업공모를 통해 선정된 외부전문가에게 ETRI기술을 활용하여 창업할 
수 있도록 예비창업지원
 

지원기간  | 선정 후 3개월 ~ 5개월

자금지원  | 1인당 인건비 포함, 5천만 원 이내로 ETRI와 협의하여 지원

공간 및 장비지원 | 지원기간 중 ETRI 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 예비 창업지원   
              

         공간 및 장비 등 지원

창 업 교 육 지 원 |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월 1회 이상 창업교육지원. 창업교육      
                          전문 기관과 연계하여 특화된 교육 프로그램 지원

컨 설 팅 지 원 | 에트리홀딩스㈜ 및 경영지원단, 민간컨설팅 전문기업 등을  
 

         활용하여  예비창업자의 사업모델 수립, 사업방향 및 전략  

                              등에  대해 1대1 멘토링

199

>>>

198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APPENDIX

부록

어깨동무 프로그램 

지원개요  | 창조경제타운 우수 아이디어의 멘토링을 통해 사업화
 

우수 아이템을 발굴하고, 실험시제품 제작 지원 

ETRI 창업공작소

http://ctcc.etri.re.kr 접속 후, 중소기업 지원 메뉴 선택 및 검색

아이템

발굴

3D printer

콘텐츠 디자인

디지털 

Tool-kit

전문가
멘토링

아이디어

실험시제품

제작

http://www.creativekorea.or.kr 접속 후, 아이디어 제안 및 멘토링 신청

지원개요  | 창조경제타운 ICT분야 우수 아이디어 발굴 및 사업화지원

지원형태  |  아이디어 진단 및 사업화지원(무상)

창조경제타운 ICT 멘토링

아이디어

제안자

(멘티)

ICT총괄멘토

(ETRI)

사업화 지원

(실행 멘토링)

성공사례

창조경제

타운

발굴

진단멘토링

(개선방향 진단사유 멘토추천)

전주기

기술지원

아이디어 보완

제안

선정

사업화

코디네이터

(ETRI)

창업지원

· 아이디어 멘토링

·지식 교류의 장

·상용 아이템 발굴

스마트 오피스

· 창의 아이디어 구현

· 3D프린터, 디자인, 툴-킷

· 실험시제품 제작

스마트워크 플레이스

· 개인전용 사무공간

· 제품화 구상 창의공간

· 예비창업 공간

스마트워크 스페이스

201

>>>

200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APPENDIX

부록

담당자 및 연락처

어깨동무 프로그램

전화

홈페이지

기술사업화지원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정옥조 책임, 이용훈 선임)

042-860-1049
042-860-3803

http://www.venture119.re.kr

사업화 추가R&D 지원 
(박범수 책임)

042-860-1622

기술도우미 상담센터 
(이동한 책임)

042-860-0911

http://escort.etri.re.kr

연구인프라지원

시험 및 장비지원 
(김종면 선임, 김주석 연구원)

042-860-6751
042-860-5293

http://www.venture119.re.kr

생산제작 및 테스트베드 시설 
(소운섭 책임)

042-860-6356

http://ctcc.etri.re.kr

전문인력지원

상용화 현장지원(단기) 
(송재관 책임)

042-860-6502

연구인력 현장지원(중기) 
(김인수 책임)

042-860-5343

기술인재지원(장기) 
(황택진 선임)

042-860-1768

http://partner.nst.re.kr

애로기술지원 
(김동섭 책임)

042-860-5570

http://www.venture119.re.kr

기술력강화지원

ETRI 기술이전 
(김호민 기술원)

042-860-1804

http://www.etri.re.kr

Gap-Bridge 프로그램 
(노두환 기술원)

042-860-1393

기술예고제 
(김재면 책임)

042-860-6692

http://www.etri.re.kr

ETRI 특허 실시 
(김동리 책임)

042-860-5132

http://www.etri.re.kr

창업지원

개방형 혁신창업
(김용채 책임)

042-860-4991

연구소기업 설립 및 지원 
(오경석 책임)

042-860-5076

창조경제타운 ICT 멘토링 
(정상욱 책임)

042-860-4947

http://creativekorea.or.kr

ETRI 창업공작소  
(소운섭 책임)

042-860-6356

http://ctcc.etri.re.kr

04 어깨동무 프로그램 

담당자 및 연락처

203

>>>

202

>>>

중소기업의 희망을 여는  

1실 1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우수사례집


background image

ICT Innovator for a Great Tomorrow!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 세상
고객과 함께 I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