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보도자료] ETRI, 브라질 방송표준 채택 쾌거_250829_F.hwp
International Embargo |
TV·온라인 : 4.1.(화) 오후 12시부터 ~ 신문 : 4.2.(수) 조간용 온라인 : 즉시보도, 지면 : 8.30.(토) 조간용 |
|
||||
배포일자 : 2025.4.28.29..(수금) |
배포번호 : 2025- 2963호 |
|||||
문의 |
초실감메타버스연구소 |
미디어방송연구실장 |
서재현(042-860-4869) |
E-mail : jhseo@etri.re.kr |
||
미디어방송연구실 |
책임연구원 |
허남호(042-860-6568) |
E-mail : namho@etri.re.kr |
|||
미디어방송연구실 |
책임연구원 |
박성익(042-860-6648) |
E-mail : psi76@etri.re.kr |
|||
대외협력본부 |
홍보실장 |
정길호(042-860-0670) |
E-mail : khchong@etri.re.kr |
|||
홍보실 |
행정원 |
이서진(042-860-0635) |
E-mail : seojin@etri.re.kr |
|||
매수 : 보도자료 23매(참고자료 31매, 사진자료 109매, 동영상 25매) |
배포처 : ETRI 홍보실 |
ETRI, 브라질 방송표준 채택 쾌거
- ATSC와 공동제안, 브라질 차세대방송차세대 방송 표준채택
- 세계 최초 MIMO와 LDM 결합한 전송기술 세계최초 개발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지상파방송 전송기술이 북미(北美)표준 제정에 이어 브라질 차세대 방송 표준으로 채택되는 쾌거를 이뤘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브라질 차세대 방송 서비스(DTV+)를 위한 물리계층 전송 방식이 브라질 대통령령으로 최종 선정되었다고 29일 밝혔다. 본 기술은 ATSC 3.0 기반 다중송수신안테나(MIMO)와 계층분할다중화(LDM)를 결합한 전송기술이며, 지난 2024년 9월에 ATSC 3.0 물리계층 국제표준으로도 공식 채택되었다.
브라질은 차세대 방송 서비스 도입을 위한 TV 3.0 프로젝트에 따라 2020년 물리계층, 전송계층, 비디오/오디오 등 기술분야에 대해 기술제안요청서를 공개하고 후보 기술을 모집했다.
ETRI는 ATSC 3.0 기반 MIMO 및 LDM을 결합한 새로운 전송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이를 북미(北美)방송 표준화 기구인 ATSC와 함께 공동으로 브라질 차세대 방송 표준의 물리계층 후보 기술로 제안했다. 이 외 일본, 중국, 유럽의 글로벌 방송 기관도 각각 후보 기술을 제안했다.
TV 3.0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브라질 SBTVD 포럼은 제안된 네 개의 후보 기술에 대해 엄격한 실험실 기술검증을 거친 후, 우리나라의 ATSC 3.0과 일본의 Advanced ISDB-T 기술을 최종 후보로 선정했다.
ETRI는 국내 방송·통신 장비 기업인 클레버로직과 함께 시제품을 개발, 최종 선정 절차인 실환경 시험에 적극 참여했다. 이 과정에서 브라질의 추가 요구사항인 MIMO 송신기 식별 기술 및 LDM 기반 지역방송 삽입 기술을 추가로 개발했다.
브라질의 SBTVD 포럼은 기술의 완성도, 성능 및 상용화 가능성, 경제적 효과 등을 면밀히 검토한 끝에 ETRI 제안기술을 차세대 지상파 방송 물리계층 전송 방식으로 최종 채택했다. 브라질 정부는 이를 이번 대통령령으로 공식 승인했다.
브라질 최대 방송사 TV 글로보(Globo)는 본 연구진이 개발한 MIMO와 LDM 결합기술을 사용해 리우데자네이루에서 ‘2024 파리 올림픽’을 시연한 바 있다.
ETRI는 MIMO와 LDM 결합 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해 ATSC 3.0 기술의 차세대 브라질 방송 표준 채택을 견인했다. 지난해 6월, ETRI 박성익 책임연구원은 ATSC로부터 브라질 및 인도 표준화 활동의 공을 인정받아 『2024년 ATSC 리처(Richer) 산업 메달』을 수상한 바 있다.
ATSC 3.0은 ETRI 뿐만 아니라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기업이 적극 참여해 개발한 기술이자 대한민국이 전 세계 최초로 도입한 기술이다. 국내 업체들이 해외 방송 장비 시장에 활발히 진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번 브라질의 ATSC 3.0 기술 도입을 통해 ATSC 3.0 방송기술이 남미 전체로 확산될 가능성을 높였으며 국내기업의 남미 시장 진출 주도권 확보 기회를 마련했다.
브라질의 ATSC 3.0 채택은 브라질을 비롯한 남미 국가와 한국 간 지속적인 기술 협력의 필요성을 의미하며, 양국의 방송 산업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ETRI 방승찬 원장은 “이번 표준 채택은 지난 2020년에 북미표준으로 채택된 이래로 ETRI가 원천기술 개발과 글로벌 기술경쟁을 주도해 일궈낸 쾌거라 할 수 있다. 국제적 기술 영향력 확보라는 과실을 거둔 국제협력의 모범사례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본 기술과 관련된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지원하는 “초고품질 UHD(UHQ) 전송 기술 개발” 및 “지상파 8K 미디어 브로드캐스트 송수신 기술 개발”, “ATSC 3.0 이동방송 수신칩 개발”과제로 수행하였다. <보도자료 본문 끝>
용어설명 |
1) 차세대 방송 서비스(DTV+) : DTV+는 브라질의 차세대 방송의 브랜드 이름이며, 브라질의 현재 디지털 방송은 일본의 ISDB-T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 Terrestrial) 전송규격을 사용
2) ATSC : 북미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 규격을 제정하는 표준화 기구(ATSC :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3) 다중송수신안테나(MIMO) : Multi-Input Multi-Output : 2개 이상의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를 적용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높이는 무선 전송 기술
4) 계층분할다중화(LDM) : 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 여러개의 서비스를 하나의 주파수로 보내기 위해 송신전력을 나누어 사용하는 무선 전송 기술
5) 일본, 중국, 유럽의 방송기술 : Advanced ISDB-T(일본의 DiBEG), DTMB-A(중국 DTNEL), 3GPP 5G Broadcast/EnTV(퀄컴(Qualcomm))
참고 |
ATSC 3.0 기술 관련 참고 자료 |
< 브라질 TV 3.0 표준화 단계 및 물리계층 후보 기술 >
< MIMO와 LDM의 결합 기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