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보도자료] ETRI, 미래전략기술 선도할 차세대 연구리더 8인 선정_250821_F.hwp
Embargo |
- |
|||||
배포일자 : 2025.08.27.(수) |
배포번호 : 2025-62호 |
|||||
문의 |
기획본부 |
본부장 |
이현우(042-860-6526) |
E-mail : hwlee@etri.re.kr |
||
기획본부 |
기술기획부장 |
김세한(042-860-6196) |
E-mail : shkim72@etri.re.kr |
|||
기술기획부 |
창의원천기술기획실장 |
김민정(042-860-6268) |
E-mail : minjkim@etri.re.kr |
|||
창의원천기술기획실 |
책임연구원 |
임영재(042-860-1515) |
E-mail : yjlim@etri.re.kr |
|||
대외협력본부 |
홍보실장 |
정길호(042-860-0670) |
E-mail : khchong@etri.re.kr |
|||
홍보실 |
행정원 |
이서진(042-860-0635) |
E-mail : seojin@etri.re.kr |
|||
매수 : 보도자료 3매(참고자료 1매, 사진자료 5매) |
배포처 : ETRI 홍보실 |
ETRI, 미래전략기술 선도할 차세대 연구리더 8인 선정
- 반도체·AI·양자 이끌 신진 미래형 연구 과제 총 26억 원 지원
- AI 3대 강국 달성과 첨단 미래산업 견인 차세대 연구리더로 성장 기대
국내 연구진이 MZ세대 고급 인재들의 연구현장 유입을 위해 과감하고 유연한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젊은 연구자들의 도전정신을 북돋우고 창의적 연구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창의성과 도전정신을 갖춘 미래형 연구자를 발굴·육성하기 위해 ‘차세대주역 신진연구사업’ 8개를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선정된 과제들은 반도체, 로봇, 인공지능(AI), 양자기술 등 차세대 핵심기술을 폭넓게 아우르며, 젊은 연구자들의 창의적 발상과 혁신적 사고가 AI 3대 강국 도약을 추진 중인 정부의 과학기술정책 방향과도 맞닿아 있다는 평가다.
‘차세대주역 신진연구사업’은 ETRI가 추진하는 『창의도전 이음투자사업』의 1단계 ‘기획연구·육성형 투자’ 프로그램으로, 올해로 3년째를 맞이했다.
특히 선임연구원급 이하 신진 연구자들이 자율적으로 아이디어를 탐색하고 이를 실현 가능한 연구과제로 기획·구체화하는 데 집중하며, ETRI는 멘토링·컨설팅·교육 등 밀착 지원 체계를 통해 성장을 돕고 있다.
올해는 총 30건의 제안서가 접수되어 3.75대 1의 경쟁률을 보였으며, 이 가운데 8개 과제가 최종 선정됐다. 총 26억 원 규모로, 사업은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 말까지 추진된다. 이는 최근 3년 중 최대 규모의 선정·투자다.
ETRI가 최종 선정한 상위 2개 과제로는 ▲첨단 반도체 패키징을 위한 탄소저감형 분자 하이브리드 접합소재 원천기술 개발(최광문 선임연구원) ▲확장형 인공신체의 체화를 위한 신경가소성 기반 적응형 제어 인터페이스 연구(이현범 연구원)가 선정되어 각 4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이외 6개 과제에는 ▲의미 기반 혁신적 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구현 기술 개발(안성준 선임연구원) ▲웨어러블 및 로봇용 열 성형 기반 통합 센서·액추에이터 시스템 개발(최중락 연구원) ▲웨어러블 NIRS 센서 및 AI 기반 비침습 생체신호 분석용 차세대 진단 기술(김도훈 연구원) ▲튜닝 없이 실시간 보안 제어 가능한 LLM 기반 코드 생성 기술(이기호 연구원) ▲극저온 환경 극복을 위한 광섬유 광주파수영역 반사계 기반 mm급 고정밀 액면 감지 기술 개발(김대길 선임연구원) ▲모놀리식 확장형 양자 광집적회로 구현 위한 실리콘 스핀-컬러센터 제어 플랫폼 개발(문종성 연구원) 등이 포함되며, 각 3억 원의 연구비가 지원된다.
ETRI는 지난 2년간 선정된 13개 신진연구과제를 통해 SCI급 우수 논문 6편, 특허 18건, 기술이전 등 질적·양적 성과 모두에서 우수한 실적을 달성했다. 또한, 미국 CES 참관단 파견, 정부 간담회 초청, 후속 과제 연계 등 다양한 외부 활동을 통해 신진연구사업의 파급력과 확장성을 대외적으로 입증했다.
ETRI 저탄소집적기술창의연구실 최광문 선임연구원은 “창의적이고 원천적인 연구를 해보고 싶었다. 젊은 연구자들이 기반 연구를 발전시켜 독자적인 연구 분야를 만들어갈 수 있는 매우 의미 있는 제도라 생각한다. 단순한 단기 성과보다는 미래 연구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경험의 장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ETRI 이현우 기획본부장은 “이번 신진연구사업은 단순한 연구비 지원을 넘어, 차세대 연구리더를 체계적으로 발굴하고 육성하는 프로그램이다. 젊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AI 3대 강국 실현과 미래 기술 혁신을 이끌 차세대 연구자들이 탄생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미래 사회가 직면할 도전과 혁신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젊고 창의적인 신진연구자의 아이디어를 적극 발굴·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가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차세대 과학기술 리더로 성장할 인재를 양성하는 한편, 연구기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ETRI는 단발성 지원에 그치지 않고 과제 종료 후에도 후속 연구를 이어갈 수 있도록 추가 지원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유망한 신진연구자들이 꾸준히 성장하며 미래 과학기술을 이끌어갈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예정이다.
ETRI는 앞으로도 연구자 중심의 자율성과 수평적 조직문화를 확산하고, 기술혁신의 원천이 되는 창의 생태계 조성에 더욱 힘쓸 방침이다. <보도자료 본문 끝>
참고 |
2025년 차세대주역 신진연구사업 선정과제 목록 |
선정과제명 |
제안자 |
연구개요도 |
첨단 반도체 패키징을 위한 탄소저감형 분자 하이브리드 접합소재 원천기술 |
최광문 선임연구원 인공지능창의연구소/ 저탄소집적기술창의연구실 |
|
확장형 인공신체의 체화를 위한 신경가소성 기반 적응형 제어 인터페이스 연구 |
이현범 연구원 디지털융합연구소/ 감각확장연구실 |
|
의미 기반 혁신적 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구현을 위한 연구 |
안성준 선임연구원 초실감메타버스연구소/ 미디어방송연구실 |
|
웨어러블 및 로봇을 위한 열 성형 기반 통합 센서, 액추에이터 시스템 개발 |
최중락 연구원 인공지능창의연구소/ 지능형부품센서연구실 |
|
웨어러블 NIRS 센서 및 AI 기반 비침습 생체신호 분석용 차세대 진단 기술 개발 |
김도훈 연구원 수도권연구본부/ 지능정보융합연구실 |
|
튜닝 없이 실시간 보안 제어가 가능한 LLM 코드 생성 기술 연구 |
이기호 연구원 인공지능컴퓨팅연구소/ 온디바이스AI모델연구실 |
|
극저온 환경 극복을 위한 광섬유 광주파수영역 반사계 기반 mm급 고정밀 액면 감지 기술 개발 |
김대길 선임연구원 호남권연구본부/ 광ICT융합연구실 |
|
모놀리식 확장형 양자 광집적회로 구현 위한 실리콘 스핀-컬러센터 제어 플랫폼 개발 |
문종성 연구원 인공지능컴퓨팅연구소/ 양자센서연구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