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ETRI 보도자료] ETRI, 6G부터 AI까지 글로벌 표준경쟁력 대폭 강화_250320_F.hwp

닫기

Embargo

없음-

배포일자 : 2025.3.xx26.(x(수)

배포번호 : 2025-28호

ICT전략연구소

표준연구본부장

이승윤(042-860-5508)

E-mail : syl@etri.re.kr

표준연구본부

전략표준연구실장

이강찬(042-860-6659)

E-mail : chan@etri.re.kr

대외협력부

홍보실장

정길호(042-860-0670)

E-mail : khchong@etri.re.kr

홍보실

선임행정원

이서진(042-860-063581)

E-mail : seojinkakapow@etri.re.kr

매수 : 보도자료 3매(참고자료 34매, 사진자료 146매)

배포처 : ETRI 홍보실

ETRI, 6G부터 AI까지 글로벌 국제표준경쟁력 대폭 강화 성과로 글로벌 기술 경쟁력 강화

-‘24년 국제표준제정 36건, 국제표준특허 1,215건 돌파

반영 기고 29건

- 국제표준이 기술패권...국제표준화 리더십 확장 쾌거- 신규 의장석 18석 등 총 88석 및 국제표준특허 1,215건

국제표준이 단순한 기술 규범을 넘어 국가 간 기술 패권 경쟁의 핵심 무대에 자리 잡은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지난해 국제표준화와 표준특허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2024년 한 해 동안 36건의 국제표준을 제정하고, 29건의 국제표준특허 반영 기고를 발표해 국제표준에 적용했다고 밝혔다.

또한 68건의 신규 표준특허를 창출하며 누적 국제표준특허 1,215건을 달성했다. 아울러 국제표준화기구 의장단 18석을 새롭게 확보함으로써 글로벌 표준화 분야에서의 리더십을 한층 강화했다는 평가다.

특히, 차세대 통신 분야에서의 성과가 두드러졌다. 2024년은 6G 표준화가 본격적으로 논의되는 시점으로, ETRI는 3GPPATSC 등 주요 국제표준화기구를 통해 5G와 6G 지능화·자동화 기술 관련 표준특허 33건을 확보했다. 또한, 14건의 표준특허 반영 기고서를 제출하며 차세대 통신 기술의 주도권 확보에 박차를 가했다.

국제표준화기구에서의 영향력도 크게 확대됐다. 2024년 신규 확보한 18석의 의장단은 전년 10석 대비 두 배가량 증가한 수치다. ITU-T, JTC 1과 같은 공적표준화기구에서 9개의 의장 및 부의장직을 확보했다.

O-RAN Alliance, IEEE 등 사실표준화기구에서도 의장 등의 직책을 수임하여 각 주요 표준화 그룹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ETRI가 보유한 국제표준화기구 의장석은 88석에 달한다.

ETRI의 표준화 성과는 차세대 통신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사이버보안 첨단 로봇·제조 첨단 모빌리티 양자 메타버스 등 다양한 중점기술 분야에 걸쳐 있다. 특히, 65건의 표준화 성과 중 66%는 국가전략기술분야에 해당하며, 이는 2023년 47%에서 많이 증가한 수치다. ETRI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국가전략기술분야의 표준 기고서 비중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러한 성과는 ETRI가 최근 구축한 표준화 거버넌스 운영 결과로 국제표준화 추진체계 및 선도전략 국제표준화기구 리더십 강화전략 전략기술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국제표준기술 선정 등을 통해 도출되었다.

특히, ETRI는 표준화와 기술사업화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 표준제정, 표준특허 확보, 기술사업화 수익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영향력 있는 국제표준기술을 선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표준화 성과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ETRI 방승찬 원장은 국제표준화는 단순한 기술 경쟁을 넘어, 국가 차원의 전략적 활동을 통해 글로벌 주도권을 확보하는 핵심 수단이다. 정부와 산업계, 연구기관이 긴밀히 협력한 결과, 대한민국 기술이 국제 표준을 선도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앞으로도 수요 중심의 표준화 전략을 강화해 국가 기술 경쟁력을 더욱 높이겠다고 밝혔다.

한편, ETRI는 무선통신(LTE/WiFi), 비디오 코덱(HEVC/VVC/AV1/VP9), 방송통신(ATSC 3.0) 등 핵심 기술 분야에서 표준특허를 확보했으며, 이를 포함한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통해 최근 3년간 1,500억 원 규모의 기술료 수입을 올렸다.

ETRI의 표준특허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국내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앞으로도 ETRI는 산업 전반에 걸친 파급 효과를 더욱 확산시켜 대한민국의 미래 기술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보도자료 본문 끝>

참고1

2024년 ETRI 국제표준화 현황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표준특허

72

85

60

70

68

누적특허

932

1,017

1,077

1,147

1,215

국제표준제정

73

31

36

46

36

누적 제정

73

104

140

186

222

표준특허반영

기고서

46

42

21

46

29

누적 특허반영 기고서

46

88

109

155

184

국제표준화기구 의장단

65

67

68

76

88

참고2

2024년 ETRI 신규 국제표준화기구 의장단 확보 현황

순서

성명

구분

표준화

기구 *

직책

1

오대섭

공적

APT

APT APG Working Party 3 Chair

2

이승윤

공적

APT

APT ASTAP TF on Future Direction Chair

3

이재영

사실

ATSC

Specialist Group on Physical Layer Vice Chair (TG3/S32)

4

이범렬

사실

IEEE

IEEE 3079 WG Chair

5

손욱호

사실

IEEE

IEEE 3079 Vice-Chair

6

이현정

사실

IEEE

IEEE 2888 TG7 Chair

7

오대섭

공적

ITU-R

ITU-R Study Group 4 Vice Chair

8

고남석

공적

ITU-T

ITU-T SG11 Vice Chair

9

김병찬

공적

ITU-T

ITU-T SG5 Vice Chair

10

이강찬

공적

ITU-T

ITU-T SG13 VIce Chair

11

정태식

공적

ITU-T

ITU-T SG15 Vice Chair

12

김형준

공적

ITU-T

ITU-T SG20 Chair

13

강신각

공적

ITU-T

ITU-T SG21 Vice Chair

14

강신각

공적

ITU-T

ITU-T SG16 AHG-Metaverse Chair

15

이승윤

공적

JTC 1

ISO/IEC JTC 1 SC 38 WG 3(Cloud) Convenor

16

이승윤

공적

JTC 1

ISO/IEC JTC 1 AG 2(JETI) Convenor

17

강신각

공적

JTC 1

ISO/IEC JTC 1 SC 6/AG 5 Convenor

18

이재승

사실

O-RAN Alliance

O-RAN Alliance

nGRG RS01-NTN(RI08) Rapporteur

* 표준화 기구

APT

아시아태평양지역 전기통신 협의체

ATSC

미국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 규격 표준화 기구

IEEE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

ITU-R

국제 전기통신 연합의 Radio 무선에 관한 표준

ITU-T

국제 전기통신 연합의 Telecommunication 통신 전반에 관한 표준

JTC 1

ISOIEC가 정보기술 분야 표준을 공동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표준화 기관

O-RAN Alliance

글로벌 오픈랜 기술 개발을 위해 통신사가 주도하여 설립한 표준 개발 기구

참고3

국가전략기술분야 대응 ETRI 표준화 활동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년 10월, 국가전략기술로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이동수단, 차세대 원자력, 첨단 바이오, 우주항공·해양, 수소, 사이버보안, 인공지능, 차세대 통신, 첨단로봇·제조, 양자 등 최종 12대 국가전략기술을 선정

국가전략기술분야 관련하여 분야별 ETRI의 국제표준제정 및 표준특허 반영 기고서 성과는 다음과 같음

국가전략기술분야

2023년 국제표준제정 및 표준특허반영 기고서

(건)

2024년 국제표준제정 및 표준특허반영 기고서

(건)

첨단모빌리티

3

4

첨단바이오

2

0

사이버보안

6

5

인공지능

1

5

차세대통신

26

22

첨단로봇/제조

0

5

양자

5

2

합계

43건

43건

ETRI 전체 실적 대비 국가전략기술분야 비중

47%

66%

참고4

ETRI 영향력 있는 국제표준기술 선정 결과 (2023~2024)

연도

(건수)

국제표준기술명

주요 성과

중점전략 기술분야

등록 특허

기술 이전

표준 (1, 2등급)

2023

(4건)

1

초고실감 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VVC(Versatile Video Coding) 표준기술

248건

80.4억

19건

메타버스

2

대화 기반 AI 교육 기술

5건

11.6억

3건

인공지능

3

5G 네트워크 고도화를 위한 backhaul fronthaul 구성 기술

5건

4.5억

4건

차세대통신

4

시민감 서비스를 보장하는 고신뢰 5G-Advanced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 표준기술

7건

2.9억

15건

차세대통신

2024

(6건)

1

비면허 대역 및 고주파 대역

차량사물통신(V2X) 기술비면허 대역 및 고주파 대역 차량·사물통신(V2X) 기술

-

1억

1건

차세대통신

2

몰입형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MPEG Immersive Video(MIV) 부호화 기술

-

0.6억

11건

메타버스

3

대화형 동시통역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기술

7건

19.3억

3건

인공지능

4

에어모빌리티용 임무장비 데이터 및

UAAN 프로토콜

2건

2.6억

7건

첨단

모빌리티

5

산업용 5G 사설망을 위한 비면허 대역

5G 이동통신 핵심기술

7건

-

7건

차세대통신

6

멀티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기술

9건

3.5억

6건

초성능컴퓨

Embargo

없음-

배포일자 : 2025.3.xx26.(x(수)

배포번호 : 2025-28호

ICT전략연구소

표준연구본부장

이승윤(042-860-5508)

E-mail : syl@etri.re.kr

표준연구본부

전략표준연구실장

이강찬(042-860-6659)

E-mail : chan@etri.re.kr

대외협력부

홍보실장

정길호(042-860-0670)

E-mail : khchong@etri.re.kr

홍보실

선임행정원

이서진(042-860-063581)

E-mail : seojinkakapow@etri.re.kr

매수 : 보도자료 3매(참고자료 34매, 사진자료 146매)

배포처 : ETRI 홍보실

ETRI, 6G부터 AI까지 글로벌 국제표준경쟁력 대폭 강화 성과로 글로벌 기술 경쟁력 강화

-‘24년 국제표준제정 36건, 국제표준특허 1,215건 돌파

반영 기고 29건

- 국제표준이 기술패권...국제표준화 리더십 확장 쾌거- 신규 의장석 18석 등 총 88석 및 국제표준특허 1,215건

국제표준이 단순한 기술 규범을 넘어 국가 간 기술 패권 경쟁의 핵심 무대에 자리 잡은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지난해 국제표준화와 표준특허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2024년 한 해 동안 36건의 국제표준을 제정하고, 29건의 국제표준특허 반영 기고를 발표해 국제표준에 적용했다고 밝혔다.

또한 68건의 신규 표준특허를 창출하며 누적 국제표준특허 1,215건을 달성했다. 아울러 국제표준화기구 의장단 18석을 새롭게 확보함으로써 글로벌 표준화 분야에서의 리더십을 한층 강화했다는 평가다.

특히, 차세대 통신 분야에서의 성과가 두드러졌다. 2024년은 6G 표준화가 본격적으로 논의되는 시점으로, ETRI는 3GPPATSC 등 주요 국제표준화기구를 통해 5G와 6G 지능화·자동화 기술 관련 표준특허 33건을 확보했다. 또한, 14건의 표준특허 반영 기고서를 제출하며 차세대 통신 기술의 주도권 확보에 박차를 가했다.

국제표준화기구에서의 영향력도 크게 확대됐다. 2024년 신규 확보한 18석의 의장단은 전년 10석 대비 두 배가량 증가한 수치다. ITU-T, JTC 1과 같은 공적표준화기구에서 9개의 의장 및 부의장직을 확보했다.

O-RAN Alliance, IEEE 등 사실표준화기구에서도 의장 등의 직책을 수임하여 각 주요 표준화 그룹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ETRI가 보유한 국제표준화기구 의장석은 88석에 달한다.

ETRI의 표준화 성과는 차세대 통신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사이버보안 첨단 로봇·제조 첨단 모빌리티 양자 메타버스 등 다양한 중점기술 분야에 걸쳐 있다. 특히, 65건의 표준화 성과 중 66%는 국가전략기술분야에 해당하며, 이는 2023년 47%에서 많이 증가한 수치다. ETRI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국가전략기술분야의 표준 기고서 비중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러한 성과는 ETRI가 최근 구축한 표준화 거버넌스 운영 결과로 국제표준화 추진체계 및 선도전략 국제표준화기구 리더십 강화전략 전략기술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국제표준기술 선정 등을 통해 도출되었다.

특히, ETRI는 표준화와 기술사업화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 표준제정, 표준특허 확보, 기술사업화 수익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영향력 있는 국제표준기술을 선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표준화 성과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ETRI 방승찬 원장은 국제표준화는 단순한 기술 경쟁을 넘어, 국가 차원의 전략적 활동을 통해 글로벌 주도권을 확보하는 핵심 수단이다. 정부와 산업계, 연구기관이 긴밀히 협력한 결과, 대한민국 기술이 국제 표준을 선도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앞으로도 수요 중심의 표준화 전략을 강화해 국가 기술 경쟁력을 더욱 높이겠다고 밝혔다.

한편, ETRI는 무선통신(LTE/WiFi), 비디오 코덱(HEVC/VVC/AV1/VP9), 방송통신(ATSC 3.0) 등 핵심 기술 분야에서 표준특허를 확보했으며, 이를 포함한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통해 최근 3년간 1,500억 원 규모의 기술료 수입을 올렸다.

ETRI의 표준특허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국내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앞으로도 ETRI는 산업 전반에 걸친 파급 효과를 더욱 확산시켜 대한민국의 미래 기술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보도자료 본문 끝>

참고1

2024년 ETRI 국제표준화 현황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표준특허

72

85

60

70

68

누적특허

932

1,017

1,077

1,147

1,215

국제표준제정

73

31

36

46

36

누적 제정

73

104

140

186

222

표준특허반영

기고서

46

42

21

46

29

누적 특허반영 기고서

46

88

109

155

184

국제표준화기구 의장단

65

67

68

76

88

참고2

2024년 ETRI 신규 국제표준화기구 의장단 확보 현황

순서

성명

구분

표준화

기구 *

직책

1

오대섭

공적

APT

APT APG Working Party 3 Chair

2

이승윤

공적

APT

APT ASTAP TF on Future Direction Chair

3

이재영

사실

ATSC

Specialist Group on Physical Layer Vice Chair (TG3/S32)

4

이범렬

사실

IEEE

IEEE 3079 WG Chair

5

손욱호

사실

IEEE

IEEE 3079 Vice-Chair

6

이현정

사실

IEEE

IEEE 2888 TG7 Chair

7

오대섭

공적

ITU-R

ITU-R Study Group 4 Vice Chair

8

고남석

공적

ITU-T

ITU-T SG11 Vice Chair

9

김병찬

공적

ITU-T

ITU-T SG5 Vice Chair

10

이강찬

공적

ITU-T

ITU-T SG13 VIce Chair

11

정태식

공적

ITU-T

ITU-T SG15 Vice Chair

12

김형준

공적

ITU-T

ITU-T SG20 Chair

13

강신각

공적

ITU-T

ITU-T SG21 Vice Chair

14

강신각

공적

ITU-T

ITU-T SG16 AHG-Metaverse Chair

15

이승윤

공적

JTC 1

ISO/IEC JTC 1 SC 38 WG 3(Cloud) Convenor

16

이승윤

공적

JTC 1

ISO/IEC JTC 1 AG 2(JETI) Convenor

17

강신각

공적

JTC 1

ISO/IEC JTC 1 SC 6/AG 5 Convenor

18

이재승

사실

O-RAN Alliance

O-RAN Alliance

nGRG RS01-NTN(RI08) Rapporteur

* 표준화 기구

APT

아시아태평양지역 전기통신 협의체

ATSC

미국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 규격 표준화 기구

IEEE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

ITU-R

국제 전기통신 연합의 Radio 무선에 관한 표준

ITU-T

국제 전기통신 연합의 Telecommunication 통신 전반에 관한 표준

JTC 1

ISOIEC가 정보기술 분야 표준을 공동 제정하기 위해 설립한 표준화 기관

O-RAN Alliance

글로벌 오픈랜 기술 개발을 위해 통신사가 주도하여 설립한 표준 개발 기구

참고3

국가전략기술분야 대응 ETRI 표준화 활동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년 10월, 국가전략기술로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이동수단, 차세대 원자력, 첨단 바이오, 우주항공·해양, 수소, 사이버보안, 인공지능, 차세대 통신, 첨단로봇·제조, 양자 등 최종 12대 국가전략기술을 선정

국가전략기술분야 관련하여 분야별 ETRI의 국제표준제정 및 표준특허 반영 기고서 성과는 다음과 같음

국가전략기술분야

2023년 국제표준제정 및 표준특허반영 기고서

(건)

2024년 국제표준제정 및 표준특허반영 기고서

(건)

첨단모빌리티

3

4

첨단바이오

2

0

사이버보안

6

5

인공지능

1

5

차세대통신

26

22

첨단로봇/제조

0

5

양자

5

2

합계

43건

43건

ETRI 전체 실적 대비 국가전략기술분야 비중

47%

66%

참고4

ETRI 영향력 있는 국제표준기술 선정 결과 (2023~2024)

연도

(건수)

국제표준기술명

주요 성과

중점전략 기술분야

등록 특허

기술 이전

표준 (1, 2등급)

2023

(4건)

1

초고실감 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VVC(Versatile Video Coding) 표준기술

248건

80.4억

19건

메타버스

2

대화 기반 AI 교육 기술

5건

11.6억

3건

인공지능

3

5G 네트워크 고도화를 위한 backhaul fronthaul 구성 기술

5건

4.5억

4건

차세대통신

4

시민감 서비스를 보장하는 고신뢰 5G-Advanced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 표준기술

7건

2.9억

15건

차세대통신

2024

(6건)

1

비면허 대역 및 고주파 대역

차량사물통신(V2X) 기술비면허 대역 및 고주파 대역 차량·사물통신(V2X) 기술

-

1억

1건

차세대통신

2

몰입형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MPEG Immersive Video(MIV) 부호화 기술

-

0.6억

11건

메타버스

3

대화형 동시통역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기술

7건

19.3억

3건

인공지능

4

에어모빌리티용 임무장비 데이터 및

UAAN 프로토콜

2건

2.6억

7건

첨단

모빌리티

5

산업용 5G 사설망을 위한 비면허 대역

5G 이동통신 핵심기술

7건

-

7건

차세대통신

6

멀티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기술

9건

3.5억

6건

초성능컴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