붙임. (양식) 대구_단독형_고난도 자율조작분야_지역 미래신산업 분야 기업육성 R&D사업 수요조사.hwp
닫기
대구 단독형 (고난도 자율조작) |
『지역 미래신산업 분야 기업육성 R&D 사업』 기획을 위한 수요조사 |
안녕하십니까? 중소벤처기업부/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지역별(시·도) 국가전략기술 50대 분야 내 핵심기술 확보 및 성장을 지원하고, 지역의 산업생태계를 육성하기 위한 신규사업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이에 14개* 시·도 지역 소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지역별 50대 국가전략기술 관련 핵심품목 개발(R&D) 수요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조사에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많은 협조와 지원 바랍니다. *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귀하께서 응답하신 모든 내용은 본 조사를 위해서만 활용될 예정이며, 본 설문에서 응답해주신 정보는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개인정보 수집·이용)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으며, 동법 제21조(개인정보의 파기)에 의해 조사 종료 후 파기됩니다. 감사합니다. 2024. 04. 01.
|
응답자 기본 정보 |
1. 응답에 참여하시는 귀하의 정보를 아래와 같이 작성하여 주십시오.
기업 정보 |
기업명 |
사업자등록번호 |
응답자 정보 |
성함 |
직위 |
연락처(mobile) |
이메일주소 |
|
※ 설문응답시 소정의 사례(기프티콘) 예정, 연락처는 정확한 핸드폰 번호를 작성 부탁드립니다. |
2. 설문 참여를 위해 개인정보 수집/이용 및 제3자 제공에 동의하여 주십시오.
개인정보 제공 동의 |
귀하께서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하십니까? |
□ 동의 □ 동의하지 않음 |
|
귀하께서는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에 동의하십니까? |
|
□ 동의 □ 동의하지 않음 |
< 설문응답을 위한 지역별 미래신산업 안내 > |
||||||||||||||||||||||||||||||||||||||||||||||||
◆ 대구 지역 단독형 – 고난도 자율조작 ① 산업 정의
② 산업 가치사슬 (음영부분이 지역내 지원범주임)
③ 핵심품목
|
기술개발(R&D) 및 기업지원(비R&D) 수요조사 |
3. 귀사가 기술개발을 희망하는 핵심품목을 선택해주십시오. |
||
* 중복 응답 불가능, 다수 핵심품목 희망시 여러개 설문지 제출(첫 문항부터 끝까지 응답) |
||
산업명 |
핵심품목 |
선택(∨) |
단독형_고난도 자율조작 |
① 고난도 조작작업을 위한 복합기능 구동부품 및 모듈 |
|
② 미학습 물체 파지를 위한 스마트 그리퍼 |
||
③ 비정형 물체의 자유로운 파지가 가능한 소프트 그리퍼 |
||
④ 작업지능 로봇에 필요한 생성형 AI가 적용된 소프트웨어 |
||
⑤ 제조현장 자율조작을 위한 디지털 트윈용 가상환경 시뮬레이션 |
||
⑥ 인간-로봇 협업에 필요한 제어 알고리즘이 적용된 소프트웨어 |
||
⑦ 제조현장에서 자율조립작업이 가능한 첨단제조 로봇시스템 |
||
⑧ 제조현장에서 비정형 작업물의 고난도 자율 포장/이적재 작업 로봇시스템 |
||
⑨ 인공지능 기반 통합관제를 통한 다중 로봇 연동 협업작업 로봇시스템 |
||
농작업 고난도 자율작업을 위한 이동형 협동농작업 로봇시스템 |
4. 상기 응답하신 핵심품목을 구성하는 하위 세부품목에 대한 연구개발 계획을 작성해 주십시오. |
|||||||||||
세부품목명 |
|||||||||||
개요 및 필요성 |
세부품목 개요 |
(작성방법) 세부품목의 개념과 기술적·기능적 범위를 작성 |
|||||||||
(정의) (범위) |
|||||||||||
관련 동향 |
(작성방법) 세부품목에 대한 국내외 기술개발, 시장, 산업 동향을 작성 |
||||||||||
가나다 가나다 |
|||||||||||
연구개발 필요성 |
(작성방법) 세부품목 관련 지역기업·산업 현황을 토대로 시급히 지원해야 하는 당위성을 설명 지역 산·학·연 협력을 통한 공동개발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작성 |
||||||||||
가나다 가나다 |
|||||||||||
지원 규모 |
소요 기간 |
(작성방법) 세부품목 기술개발에 필요한 기간(정부 출연금 기준)을 선택(∨)해주십시오. |
|||||||||
( ) |
1년 이상 2년 미만 |
( ) |
4년 이상 5년 미만 |
||||||||
( ) |
2년 이상 3년 미만 |
( ) |
5년 이상 6년 미만 |
||||||||
( ) |
3년 이상 4년 미만 |
( ) |
6년 이상 |
||||||||
소요 예산 |
(작성방법) 세부품목 기술개발에 필요한 예산(정부 출연금 기준)을 선택(∨)해주십시오. |
||||||||||
( ) |
연간 1억 이상 3억 미만 |
( ) |
연간 7억 이상 9억 미만 |
||||||||
( ) |
연간 3억 이상 5억 미만 |
( ) |
연간 9억 이상 11억 미만 |
||||||||
( ) |
연간 5억 이상 7억 미만 |
( ) |
연간 11억 이상 |
||||||||
민간부담금 동의 |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에 따라 총연구개발비의 25% 이상을 민간 부담금(기관 부담 연구개발비, 중소기업 기준)으로 매칭해야 합니다. 귀사는 상기 기준에 따라 매칭 의향이 있으십니까? |
||||||||||
( ) |
예 |
( ) |
아니오 |
||||||||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에 따라 연구개발기관 부담금이 (현금) 10%, (현물) 90%입니다. 귀사는 상기 기준에 따라 현금을 얼마 매칭이 가능하십니까? |
|||||||||||
( ) |
1,000만 이상 5,000만 미만 |
( ) |
1억 이상 1.5억 미만 |
||||||||
( ) |
5,000만 이상 1억 미만 |
( ) |
2억 이상 |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목표 |
||||||||||
연차목표 |
1차년도 |
가나다 |
|||||||||
2차년도 |
가나다 |
||||||||||
3차년도 |
가나다 |
||||||||||
. . . |
|||||||||||
연구개발기관 |
주관기관 (중소기업) |
공동기관 (대학, 출연연) |
참여기관 (중소기업) (필요시) |
||||||||
(작성방법) 수요조사에 응답하는 지역소재 중소기업 작성(1개) |
(작성방법) 참여가능한 대학, 출연연, 연구·지원기관 작성(다수개) |
(작성방법) 수요조사에 응답하는 지역소재 중소기업 작성(필요시) |
|||||||||
참여기관 없을 시 해당셀 삭제 |
|||||||||||
추진내용 |
1차년도 |
가나다 가나다 |
가나다 가나다 |
가나다 가나다 |
|||||||
2차년도 |
가나다 가나다 |
가나다 가나다 |
가나다 가나다 |
||||||||
3차년도 |
가나다 가나다 |
가나다 가나다 |
가나다 가나다 |
||||||||
. . . |
|||||||||||
예상성과 |
(작성방법) - 정량적 성과 : 사업화 매출액 증가, 일자리 창출 등을 작성 - 정성적 성과 : 세부품목 간 연계성을 참고하여 지역 기업 간 생태계 조성 등을 작성 |
||||||||||
(정량적 성과) 가나다 가나다 (정성적 성과) 가나다 가나다 |
5. 상기 응답하신 핵심품목 관련 기업군 및 산업 성장을 위해 필요한 지원 프로그램(비R&D)을 선택해주십시오. (※중복 응답 가능) |
||
비R&D 프로그램 유형 |
상세 지원내용 (선택 ∨) |
|
❶ 컨설팅 ※ 지원사업 예시: 중소기업 혁신바우처, 스마트 마이스터 |
① 생산관리 컨설팅 |
( ) |
② 품질관리 컨설팅 |
( ) |
|
③ 기술사업화 전략 컨설팅 |
( ) |
|
④ 경영전략 컨설팅 |
( ) |
|
⑤ 사업 구조개선 컨설팅 |
( ) |
|
⑥ 마케팅/홍보전략 컨설팅 |
( ) |
|
⑦ 기타 (직접 작성: ) |
||
❷ 창업 및 성장 ※ 지원사업 예시: 창업중심대학 |
⑧ 초기사업화 자금 지원 |
( ) |
⑨ BM 개발 지원 |
( ) |
|
기타 (직접 작성: ) |
||
❸ 제조혁신 ※ 지원사업 예시: 스마트공장 |
스마트공장 솔루션 컨설팅(구축·도입계획/전략 수립) |
( ) |
스마트공장 연동설비 지원(인프라 조성) |
( ) |
|
스마트공장 도입기업 애로사항 해결 및 AS 지원 |
||
기타 (직접 작성: ) |
||
❹ 정책자금 ※ 지원사업 예시: 중진기금 융자 |
융자 지원 |
( ) |
재기 지원 |
( ) |
|
기술 보증 |
( ) |
|
민간 투자 |
( ) |
|
기타 (직접 작성: ) |
||
❺ 수출 ※ 지원사업 예시: 수출 바우처 |
수출 바우처 |
( ) |
해외전시 참가 지원 |
( ) |
|
온라인 수출 지원 |
( ) |
|
수출 BI 지원 |
( ) |
|
IR 및 데모데이 지원 |
( ) |
|
기타 (직접 작성: ) |
||
❻ 사업화 ※ 지원사업 예시: 지역주력 산업기업지원, 지역혁신 생태계 조성 |
장비활용 지원 |
( ) |
시험·검사 지원 |
( ) |
|
실증 지원 |
( ) |
|
시장검증 지원 |
( ) |
|
기술이전 지원 |
( ) |
|
사업화 전략 수립 및 기획 지원 |
( ) |
|
제품개선 및 고급화 지원 |
( ) |
|
기타 (직접 작성: ) |
||
❼ 인력양성 ※ 지원사업 예시: 소부장 재직자 인력양성, 기구축 인프라 기반 인력양성 |
인력 매칭 |
( ) |
내일채움공제 |
( ) |
|
임직원 연수 등 재직자 재교육 |
( ) |
|
기타 (직접 작성: ) |
지역 미래신산업 관련 지역기업 현황 및 애로사항 |
6. 해당 미래신산업에 대한 귀사의 진입 수준을 선택해주십시오. ( ) |
||
* 미래신산업 관련 매출액이 최초 발생한 시점을 ‘진입’으로 정의 |
||
① 향후 3년 내 진입 예정 |
② 진입 준비(향후 1년 내 진입 예정) |
|
③ 진입 1~2년 경과 |
④ 진입 2년 이상 |
7. 최근 3년간(’21~’23) 매출액 대비 해당 미래신산업에 대한 귀사의 연구개발 투자 비중은 평균적으로 얼마입니까? ( ) |
|||
① 0% |
② 0.5% ~ 1.0% |
③ 1.0% ~ 1.5% |
|
④ 1.5% ~ 2.0% |
⑤ 2.0% 이상 |
8. 귀사는 현재 해당 미래신산업 관련 기술개발이 가능한 연구인력(학사·석사·박사 상관없음)을 몇 명 보유하고 있으십니까? ( ) |
||
① 없음 |
② 1인 이상 3인 미만 |
|
③ 3인 이상 5인 미만 |
④ 5인 이상 7인 미만 |
|
⑤ 7인 이상 10인 미만 |
⑥ 10인 이상 |
9. 일반적인 기업입장에서 미래신산업 관련 사업 활동, 사업영역 전환 및 다각화/확장시 애로사항에 대해 5점 척도로 1차 체크하고, 특히 애로사항에 대해 지역 중소기업으로서 체감하는 어려움을 5점 척도로 2차 체크해주십시오. |
|||||||||||||
* 숫자가 클수록 체감하는 어려움이 높음을 의미, 1차와 2차 체크란에 숫자를 기입해주십시오.
|
|||||||||||||
구분 |
애로사항 |
일반 (1차) |
지역 중소기업 입장 (2차) |
||||||||||
연구개발 역량 |
① 자체 보유 기술 부재 또는 성숙도 부족 |
||||||||||||
② 자체 R&D 투자자금 부재 또는 부족 |
|||||||||||||
③ 자체 R&D 연구인력 부재 또는 부족 |
|||||||||||||
④ 외부 R&D(정부연구개발사업 등) 수주 역량 부족 |
|||||||||||||
⑤ 기술이전, 기술 라이선스 등 외부기술 확보 역량 부족 |
|||||||||||||
⑥ 지역 혁신기관(대학, 출연연, 연구·지원기관 등)과의 공동 연구개발 기회 부족 |
|||||||||||||
사업화 역량 |
⑦ 사업구조 개선(사업영역 전환, 다각화, 확장 등) 전략 수립 등 기획역량 부족 |
||||||||||||
⑧ 신기술/신산업에 대한 시장분석 및 검증 역량 부족 |
|||||||||||||
⑨ 사업화 아이템 구체화 및 BM 개발 역량 부족 |
|||||||||||||
제품화를 위한 시험·인증 획득 역량 부족 |
|||||||||||||
제품 품질향상 및 기능(성능)개선을 위한 고급화 역량 부족 |
|||||||||||||
인프라 역량 |
자체적인 연구시설·장비 투자 역량 부족 |
||||||||||||
지역 혁신기관 등이 보유한 연구시설·장비 인프라 접근·활용 기회 부족 |
|||||||||||||
제품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공정개선 및 생산관리 역량 부족(스마트공장 등) |
|||||||||||||
산업 공급망 역량 |
해당 산업 관련 기업의 양적 부족 및 시장 미형성 |
||||||||||||
전방 수요산업의 기업과 협력관계 부재 또는 불충분 |
|||||||||||||
후방 산업의 기업과 협력관계 부재 또는 불충분 |
|||||||||||||
국내 제품 판매를 위한 지역/전국 단위 수요처(판로) 확보 어려움 |
|||||||||||||
해외 제품 판매를 위한 수출 판로 확보 어려움 |
|||||||||||||
정책 및 법·제도 활용역량 |
법률, 특허, 회계, 마케팅 등 기업지원 전문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부족 |
||||||||||||
신기술/신산업에 대한 규제로 시장진입이 어려움 |
|||||||||||||
신기술/신산업 지원정책에 대한 접근이 어려움 |
|||||||||||||
기타 |
(직접 작성) |
사업 추진 기대효과 |
10. 귀사가 신규사업에 선정되어 원하는 대로 지원을 받을 수 있다면, 귀사의 매출액이 기존의 추세보다 “추가적으로” 연평균 몇 %p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 ) |
|||||
* 해당하는 정확한 수치(%p)에 체크해주십시오. (척도 1개 선택) |
|||||
[참고] %p (퍼센트 포인트) : 두 백분율과의 산술적 차이를 나타낼 때 쓰는 단위 (예시) ‘기존의 매출액 증가 추세’가 10%였는데 지원시책에 의해 이 추세가 15%로 증가하였다면, 5%p 증가, 지원시책에 의해 20%로 증가했다면 10%p 증가 |
|||||
① 0 %p |
② 1 %p |
③ 2 %p |
④ 3 %p |
⑤ 4 %p |
|
⑥ 5 %p |
⑦ 6 %p |
⑧ 7 %p |
⑨ 8 %p |
⑩ 9 %p |
|
⑪ 10 %p |
⑫ 11 %p |
⑬ 12 %p |
⑭ 13 %p |
⑮ 14 %p |
|
⑯ 15 %p |
⑰ 16 %p |
⑱ 17 %p |
⑲ 18 %p |
⑳ 19 %p |
|
20 %p |
기타(직접입력) |
11. 귀사는 R&D 종료 후, R&D 과제의 성과로 인해 직접적 매출 증대 효과가 발생하기까지 소요되는 기간과 매출 증대 효과가 지속되는 기간(매출증가율 하향추세 직전)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직접 입력) ( ) |
||
R&D 과제 종료 후 직접적 효과 |
기간 |
|
R&D 과제 종료 이후 매출 증대 효과가 발생하기까지 소요 기간 |
( )년 |
경과 후 효과 발생 |
매출 증대 효과가 발생한 후 매출 상승이 지속되는 기간(매출 증가율 하향추세 직전까지) |
( )년 |
동안 지속 |
◆ 설문에 참여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