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보도자료 - ETR 유-헬스 연구에 앞장 060323-26.hwp
Embargo : 없습니다.
문의처 |
통신서비스전략연구그룹장 지 경 용 (042-860-6610) kyjee@etri.re.kr 홍 보 팀 장 김 희 철 (042-860-3915) k21human@etri.re.kr 홍 보 실 정 길 호 (042-860-6758) khchong@etri.re.kr |
||
배포번호 : 2006-26 |
매수 : 2매 (사진 1매) |
배포처 : ETRI 홍보실 |
- 유헬스 관련 전문연구, 기술경제성 분석 첨병역
- 『유비쿼터스 시대의 보건의료』책 발간
최근 새로운 성장산업의 핵심으로 부각되고 있는 유헬스(u-Health)와 관련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임주환)가 그 중심에 서서 체계적으로 분석, 전망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우리나라가 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더욱 더 필요를 절감케 되는 것들중에 하나가 바로 의료서비스이다. 이와관련 ETRI는 향후 웰빙이 강조되는 미래사회의 원격진료(유헬스)에 대해 작년 수행과제로 “유헬스 비즈니스 모델개발 및 법제도 관련연구”를 마치고 올해에는 “유헬스 산업 파급효과 분석” 등에 대한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이처럼 ETRI가 유헬스 분야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우리나라가 IT강국이면서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고 의료서비스가 발달하고 있기에 적용모델로 적합하며 유비쿼터스시대 IT의 실현 방식으로 대표적인 서비스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유비쿼터스시대 IT의 등장은 인간의 삶을 사회, 문화, 경제 등의 측면에서 크게 변화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즉,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통해 컴퓨터, 가전, 자동차, 생활기기, 의료기기, 교통시설, 동물과 식물의 모든 사물이 전자공간과 물리공간 사이에서 연결되며 이를 통해 우리의 삶은 편안하고 안전하며 효율적인 환경이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유헬스 관련 현황 및 전망의 소개, 유헬스 세부영역들을 전문가들이 모여 사업방향과 이에 따라 도출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일목요연하게 총망라해 집대성한 전문도서가 최초로 발간되어 화제다.
본 책자는 새로운 성장산업의 중심이 될 유헬스에 대해 각계 전문가들이 다양한 각도에서 고찰한 결과를 한 권의 책으로 엮은 것으로 유비쿼터스 시대 보건의료의 발전과 전망을 알기 쉽게 설명한 전문도서이다.
또한 책에서는 유비쿼터스 시대의 유헬스 기술, 솔루션, 표준화, 수용전망, 법제도 등도 상세히 담고 있다.
이 책을 저술한 대표저자인 ETRI 정보통신서비스연구단 통신서비스전략연구그룹장인 지경용 박사는 “유헬스는 고령화 시대의 의료복지 제공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획기적 대안기술이며, 나아가 우리나라와 같이 IT 인프라와 서비스가 잘 보급된 나라에서는 도입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 특히 유헬스 산업은 현재의 의료수준도 한층 높이고 웰빙이 증진되며 고용창출 등 경제적 파급효과 또한 커서 성장엔진으로서도 손색이 없다” 고 말했다.
“유비쿼터스 시대의 보건의료” 책은 유비쿼터스 전문가 시리즈 제 10편으로 도서출판 진한 M&B에서 출판되었으며 지경용 박사외 16명의 각분야 정상급의 전문가가 공동 저술한 도서이다.<보도자료 본문끝>
<참고자료>
유비쿼터스 시대의 보건의료 |
CONTENTS 머리말 제1장 유비쿼터스 시대의 보건의료 1. 서론 2. 유비쿼터스 시대의 보건의료 서비스 3. u-Health 시장 환경분석 4. 성장동력으로서의 u-Health 시장 가능성 조사 5. 기대효과 6. 결론 및 시사점 제2장 u-Health 서비스와 솔루션 1. 병원정보화에서 e-Health, u-Health로 2. 유비쿼터스 병원으로의 진화 3. e-Health의 개념, 유형 및 국내 동향 4. u-Health 서비스 개념 5. u-Health 서비스의 유형 6. 생체정보 모니터링을 통한 유비쿼터스 건강관리 사례
제3장 u-Health의 표준화 1. 표준이란 2. 표준의 세계적 동향 3. u-Health의 표준화 4. u-Health 표준기술 5. u-Health 관련 국내 표준화 기구 6. u-Health 관련 국내 표준화 기구 7. 국내외 표준화 문건 추진현황 제4장 유비쿼터스와 전자의무 기록 1. 의료 산업화와 정보화의 두 얼굴 2.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의료정보화 3. 병원정보시스템 발전의 역사 4. 병원정보시스템은 죽었다! 지능형 임상 정보시스템으로 진화 5. 이종 정보시스템 통합과 Gloal Health Information Server 6. 한평생 매일매일 24시간 돌봐주는 똑똑한 의료 정보 시스템 7. 사이버 이상향으로서의 유비쿼터스 의료정보시스템 제5장 센서기술과 보건의료 1. 유비쿼터스 헬스의 태동 2. 유비쿼터스 헬스의 정의 3. 산업계 및 연구개발 동향 4. 센서 기술의 발전 방향과 유비쿼터스 헬스 5. 한국보건의료체계의 이해 6. 맺음말 |
제6장 RFID의 의료분야 적용 1. RFID 기술 2. 의료분야 응용 3. 의료 RFID 시스템 실증실험 제7장 u-Health와 의료기관의 미래 1. 의료서비스 경쟁력 강화 2. 의료기관의 수입구조 3. 국민 의료비 지출현황 4. 인구사회학적 변화 5. 병원 정보화 6. RFID의 이용 7. 원격진료 및 원격치료 8. 의료의 질 관리 및 환자안전 9. 21세기 의료의 목표 10. 유헬스 시대의 의료전달체계
제8장 한방과 u-Health 1. 뉴패러다임 : 전통과 현대 기술의 공진화 2. 한방산업의 이해 3. 한방산업의 현황 4. 한방과 u-Health 비즈니스 제9장 u-Health 수요 전망과 활성화 1. 서론 2. u-Health 개요와 서비스 3. u-Health 수요전망과 수용 영향요인 4. u-Health 시장 개발 방향 5. 결론 제10장 유비쿼터스 의료 관련 법제도 - 원격의료를 중심으로 1. 배경 2. 원격의료 관련 법적이슈 3. 국외법제도 동향 4. 국내보건의료정보 법제도 현황 5. 유비쿼터스 의료 관련법제도 개선안 제11장 From Digital Hospital to U-Healthcare Hospital 1. 서론 2. 본론 3. 결론 |
|
◉ 도서명 : 유비쿼터스 시대의 보건의료 ◉ 저 자 : 지경용, 김동수, 김민철, 이용희, 김새별, 이성기, 김일곤, 곽연식, 김주한, 이정환, 유승화, 박래웅, 김승호, 김문구, 박종현 채영문, 이학종 ◉ 판 형 : 4×6 변형판 ◉ 페이지 : 400 page ◉ 정 가 : 28,000원 ◉ ISBN : 89-8432-219-9 ◉ 발 행 : 2006년 3월 14일 초판 ◉ 공 급 : - 전화 : 02)364~8491 - 팩스 : 02)319~3537 - 홈페이지 : - 담당 : 전대권 부장 (011-381-2997) |
국내에서 유비쿼터스라는 용어가 IT 산업의 미래 모습으로 상징화되어가고 있다. 선진국에서도 전자태그를 통한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상용화 사례가 점점 증가하고 있고, 당뇨를 체크 할 수 있는 변기, 혈중 산소를 측정 할 수 있는 반지 등 실용적인 유비쿼터스 컴퓨팅 제품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이 적용되는 u-Health에서는 건강진단이나, 질병관리, 응급관리, 의사와의 만남 등 그 동안 병원에서만 이루어지던 의료 행위가 IT 기술을 매개로 보다 편리한 형태로 진화하게 된다.
u-Health는 u-단말기로 이루어진 통합 네트워크를 통해 의료관련 정보, 지식, 서비스의 상호작용 및 교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복합적인 새로운 의료영역을 열어 줄 것이다. u-Health는 가정 또는 훨씬 광범위한 영역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기존의 협소한 의료 공간을 가정과, 직장, 도로, 도시 전체로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강한 사람도 확장된 의료 공간 안에서 의료 서비스를 받을 것이며, 이러한 의료서비스들이 일상 생활화될 것이다.
유비 쿼터스 시대의 보건의료는 이렇듯 새로운 성장산업의 중심이 될 u-Health에 대하여 각계 전문가들이 다양한 각도에서 고찰한 결과를 한 권의 책으로 엮어낸 것이다. 유비쿼터스 시대에 보건의료의 발전과 전망을 다수의 전문가 식견을 바탕으로 하여 한 눈에 알 수 있도록 구성된 전문도서로서 손색이 없다. 이 책은 유비쿼터스 시대에 맞는 u-Health를 이해하고자 하는 의료계와 통신 산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