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경영일반보도자료

ETRI 정연구 박사, 지능형로봇 국제표준화기구 의장 진출

ETRI 정연구 박사, 지능형로봇 국제표준화기구 의장 진출
- OMG 로보틱스 표준분과 공동의장에 선출
- 국내 최초 로보틱스관련 국제표준기구 의장


최근 세계 각국에서 국가가 직접 나서서 기술개발 관심에 그 열기가 더욱 고조되고 있는 지능형 로봇분야에서 국제 표준을 책임질 의장이 국내에서 최초로 탄생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임주환)는 29일, 지능형로봇연구단의 정연구 박사(52, 사진)가 지난 12월초 미국 캘리포니아주 벌린게임(Burlingame)에서 개최된 OMG회의에서 지능형로봇의 국제 표준화를 주도할 로보틱스 표준분과위원회의 공동의장으로 선출되었다고 밝혔다.

따라서 정연구 박사는 앞으로 지능형로봇의 국제표준화 작업과 방향을 결정하는 일과 표준작업반의 구성에서 한국대표가 작업반장에 선출되는 일에 주요 영향력을 갖게 되었으며, 국내 지능형로봇의 표준을 국제표준으로 추진하는 일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OMG는 소프트웨어 분야의 민간인 표준기구로 기업중심의 사실상(de facto) 표준기구이다. 회원 수가 460여 기관이나 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정보통신 표준 기구중의 하나이며, 유엠엘(UML)과 코바(CORBA) 표준을 제정하여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OMG는 국제적으로 유일하게 지능형로봇의 표준을 제정하게 되는 로보틱스 표준분과위원회를 갖고 있으며, 지능형로봇의 국제표준 의장직에는 국내 처음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ETRI는 2005년 1월에 발족한 로보틱스 첫 표준위원회 회의부터 참여하여 국제표준화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였으며, 금년 12월에는 로보틱스 표준분과위원회로 상향조정되면서, 미국, 일본과 함께 공동의장직을 수행하게 되었는데 한국은 국제적으로 우수한 IT기술을 바탕으로 네트워크기반 지능형 서비스로봇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특히 경쟁력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추진 중에 있는 표준 분야는 지능형로봇의 핵심기술이 되는 ▲지능형로봇의 아키텍처 ▲미들웨어 ▲장치 추상화 인터페이스 ▲휴먼-로봇 상호작용 API 등이 있으며, 지능형로봇표준은 국제적으로는 시작 단계이므로 앞으로 국제 표준제정을 통한 지능형 로봇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키우고, 국제시장을 선점할 기반을 구축하게 되었다고 ETRI는 설명했다.

ETRI 정연구 박사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지능형서비스로봇 프로젝트그룹의 의장과 지능형로봇표준포럼의 운영위원으로 한국의 지능형로봇 부문을 대표하여 국제표준활동을 수행하고 있고 아울러 ETRI내에서는 표준작업 실무반원들과 표준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ETRI 정연구 박사는 미국 웨인 주립대에서 전산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1991년 ETRI에 입사했으며, ISO위원으로 6년간을 활동해온 정통 국제표준 전문가이다.


[참고자료]
● OMG
OMG는 1988년에 설립된 소프트웨어 표준을 만드는 민간인 주도의 컨소시엄이다. 현재 회원은 460여 기관이 되므로, 세계적으로 중견 소프트웨어 기관은 대부분 회원사이다. 미국의 기업들이 주도를 하고 있으나, 유럽, 일본 및 아사아도 참여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모델링 표준인 UML은 소프트웨어 설계 시에 국제적으로 많은 국가에서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고, CORBA도 안정성이 검증된 분산환경의 미들웨어로서 국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는 UML을 바탕으로 하여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생산하는 MDA 및 실시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도 이슈이다. 참고로 일본은 약 10개사가 참여하고 있으며, 히다찌, NEC, NTT, 도시바와 같은 대기업도 참여하고 있고, 미국에서는 IBM, HP, SUN, 록히드, 보잉 등의 대부분의 소프트웨어사들이 참여하고 있다.

● ISO 해당위원회(ISO TC184 및 ISO/IEC JTC1/SC24)

ISO TC184는 기계 자동화 국제 표준기구로서, 공장자동화를 주로 다룬다. 여기서 SC2는 산업용 로봇의 표준을 제정하고 있으며, 주로 로봇 관련된 하드웨어 장치에 대한 표준규격을 제정하여 왔다. 지능형로봇은 아직은 표준위원회가 없으며, 설립에 대하여는 연구 중에 있다.
JTC1은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을 담당하는 Joint Technology Committee이며, JTC1 산하의 SC24는 컴퓨터그래픽스, 영상처리 가상현실, 3D 애니메이션 등의 기술을 담당하고 있고, WG7은 영상처리를 위한 모델링, 데이터교환, 영상처리함수의 API 등에 대한 국제 표준을 제정한다.

● Robotics DSIG (Domain Special Interest Group)
OMG 산하에 2005년 1월31일 표준안제정 위원회로 발족되었으며, OMG산하의 도메인 기술위원회(Technology Committee) 산하에 있다. 표준안은 WG(작업반, Working Group)에서 작성하여 DSIG위원들 간의 논의를 거쳐 수정을 한 후 최종안에 대해 위원들이 투표와 인준을 거쳐 표준안
으로 작성하지만, TC로 상정할 수 있는 권한은 없기 때문에 관련된 DTF(Domain Task Force)의 협조를 받아서 관련 DTF에서 승인 받아 DTC로 표준안을 상정한다.

● Robotics DTF (Domain Task Force)
OMG 산하에 2005년 12월 9일에 Robotics DSIG로부터 Robotics DTF로 상향되는 것을 DTC에서 승인을 받아 발족이 되었다. 표준 활동은 DSIG와 같으나, 표준안에 대하여 DTC로 상정할 수 있는 투표권이 있다. Robotics DTF도 OMG산하의 도메인 기술위원회(Technology Committee) 산하에 있다.

● UML (Unified Modeling Language)
객체지향 소프트웨어를 모델링 하는 표준 그래픽 언어이다. 1988녀부터 객체지향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모델링과정은 객체지향으로 분석하고, 설계하는 과정을 말하며, 모델링 언어는 설계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그래픽 심벌을 의미한다. UML은 ISO표준으로 승인을 받았다. 현재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전문회사에서는 UML을 소프트웨어 설계 시에 사용하고 있다.

● CORBA (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CORBA는 개방형 컴퓨터 응용이 네트워크에 대하여 함께 사용하는 아키텍처와 하부구조를 위하여 개방적이고 벤더-독립적으로 정한 표준 규격이다. 상호작용은 두 개의 핵심이 되는 규격으로 나온다. 두 규격은 OMG Interface Definition Language(OMG IDL)와 표준 프로토콜인 GIOP와 IIOP이다. 이 사양에 의하여 벤더제품에 관계없이 컴퓨터, OS, 프로그램언언 및 네트워크에 독립적으로 상호호환이 되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가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