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경영일반보도자료

ETRI, 美 포틀랜드 주립大와 MOU체결

ETRI, 美 포틀랜드 주립大와 MOU체결
- 유비쿼터스 환경, 정보통신 기술경영 공동연구
- 미국 최고학부와 국제활동 채널구축 큰 의미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www.etri.re.kr, 원장 임주환)는 지난 28일 오전 10시(현지시각), 미국 오레곤주 포틀랜드 주립대학(PSU)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새로운 정보통신 기술경영 등에 대한 국제공동연구”관련, 현지 힐튼호텔에서 MOU를 체결했다.

ETRI 정보통신서비스연구단(단장 박기식)과 PSU 컴퓨터공과대학(학장, 로버트 드라이든)간의 MOU 체결을 통해 향후 양 기관간 IT분야의 포괄적인 협력관계 구축이 가능케 되었다.

특히 기술정책 및 통신경영 등에 필요한 정보통신 기술경영, 기술혁신, R&D 및 신기술관리분야 등에 대한 국제공동연구를 비롯하여 픽멧(PICMET) 등 국제학술대회를 통해 실질적인 상호협력의 기반을 구축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동안 ETRI 정보통신서비스연구단은 IT분야의 기술과 밀접히 연계된 정책 및 전략연구와 경제성분석 등을 전문적으로 수행해 왔으며, 이번 MOU 체결을 토대로 그동안의 IT 정책 및 전략 등에 대한 국제공동연구기반을 갖춰 향후 연구성과가 가시화될 전망이다.

PSU 컴퓨터공과대학은 컴퓨터 및 시스템 공학과 기술경영 등에 있어서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미국 오레곤주 최고 학부이다. 특히 기술경영학과의 경우 PICMET이라는 정보통신 기술경영분야의 최고수준의 국제학술대회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정보통신 관련 기술경영 및 기술혁신, R&D 관리 등과 관련된 활발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이번 MOU를 통한 향후 주요 협력내용으로는 ▲정보통신 기술경영, R&D 관리, 기술 경제성 분석, 신기술관리 분야 등에 대한 공동연구 ▲ 정보통신 신기술 관련 상호 정보교류 및 활용 ▲ PICMET 관련 공동세미나 및 워크샵 개최 ▲ 연구인력 교류 등을 담고 있다.

ETRI 정보통신서비스연구단장인 박기식 박사는 “이번 MOU체결을 통해 양 기관이 상호 협력함으로써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통신 정책 및 서비스 관련 전략연구 등에 대한 국제공동 연구가 가능, 이 분야의 새로운 국제적 활동채널이 구축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보도자료 본문끝>


[참고자료]

● 포틀랜드주립대 컴퓨터공과대학 소개
(Maseeh College of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포틀랜드 주립대학(PSU)은 오레곤주 포틀랜드 시내에 소재해 있으며, 컴퓨터공과대학 학장은 로버트 드라이든(Robert D. Dryden)이며 학과는 토목&환경 공학과, 컴퓨터과학과, 전기&컴퓨터 공학과, 공학 및 기술 경영학과, 기계&재료 공학과, 시스템 공학과 등 총 6개 학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PICMET을 주관하고 있는 공학 및 기술경영학과(Engineering and Technology Management : ETM)의 경우 기술 및 엔지니어링을 경영학과 접목한 교육으로 잘 알려져 있고 선두적 혁신가 또는 공학과 기술관련 기업의 중견 경영자 이상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과 식견을 가르키고 있다.

PICMET(Portla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nagement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은 IEEE의 매니지먼트 분야로서 ETM이 편집부로 활동하고 있다. ETM의 학과장인 Dundar F. Kocaoglu 교수가 CEO로 있으며, 1989년 기술경영에 관한 정보의 확산을 위해 비영리조직으로 구성되었다.

최초의 PICMET 컨퍼런스는 1991년 10월 “Technology Management: The New International Language?” 라는 주제로 30개국 400명의 참가하에 개최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주요 관심영역은 정보와 지식관리, 기술경영, 기술혁신, R&D 관리, 기술확산 및 대체, 기술평가, 기술이전 및 마케팅, 및 신기술관리 등이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