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경영일반보도자료

ETRI 이준섭 선임연구원, 국제표준화회의 RFID분야 의장 선임

ETRI 이준섭 선임연구원,
국제표준화회의 RFID분야 의장 선임

- 세계 최고의 IT R&D 연구기관으로 우뚝 선 ETRI 치하-
- 우리나라의 RFID 국제 표준화 본격 추진 계기 마련 -

    우리나라가 전파식별(RFID)분야의 국제 표준화를 주도하기 위한 첫발을 내딛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www.etri.re.kr) 기반기술연구소(소장 강석열) 표준연구센터(센터장 이형호) 차세대인터넷표준연구팀은 지난 3월 29일부터 4월 1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 전기통신협의체(APT) 산하 표준화 회의인 아시아․태평양 정보통신표준화 회의(ASTAP)에서 이준섭 선임연구원이 RFID EG(Expert Group)의 의장격인 라포쳐(Rapporteur)에 선임됨으로써 향후 RFID EG 회의를 주재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 전파식별(RFID) : 사람을 포함한 모든 사물에 붙일 수 있는 태그(tag)에 고유한 정보를 입력하고, 리더기(reader)를 통해 이 정보를 읽고, 다른 시스템과 연계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 현재는 주로 물류 유통 분야에서 적용을 위한 표준화가   진행 중임

※ APT(Asia-Pacific Telecummunity) :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전기통신 발전을 위해  지나 1979년에 발족한 국가간 협의체로 현재 한국을 포함하여 33개국이 회원으로 참 여하고 있음

※ ASTAP(APT Standardization Program) :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정보통신 표준화  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지난 1998년 APT 산하에 설립한 표준화 회의로 ITU-T 등의   국제 표준화 기구에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공통 의견을 담아 공동 기고서를 제출 하고 있으며, 향후 자체적인 표준도 개발할 계획으로 있음

※ EG(Expert Group) : 특정 분야에 대한 표준화 및 회원국 간 협력을 위한 실질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ASTAP 내의 전문가 그룹

※ Rapporteur(라포쳐) : ASTAP의 각 전문가 그룹을 책임지고 운영하는 의장격에 해당 하는 직책

  ETRI 차세대인터넷표준연구팀(팀장 김형준)은 RFID 관련 국제 표준화의 본격적인 추진을 위해 RFID EG의 신설을 제안하였고, 이번에 신설된 RFID EG를 주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유통 물류 중심의 기존 RFID 기술 표준화뿐만 아니라 RFID 기술과 통신 서비스를 연계한 새로운 영역의 표준화를 주도할 계획이다. 특히 차세대인터넷표준연구팀은 정보통신부의 "RFID 표준화 과제“ 수행을 통해 휴대폰에 RFID 리더칩을 탑재하여 새로운 ”모바일 RFI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국내 규격의 표준화 작업을 주도하고 있다. 이번 라포쳐 선임으로 이들 표준화 작업 결과들을 국제 표준화와 연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

  한편, 국내 RFID 정책을 총괄하고 있는 정보통신부 광대역통합망과 서석진 과장은 "이번 ASTAP회의에서 RFID EG 라포쳐 선임을 계기로 모바일 RFID 서비스를 위한 국내 개발 표준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도록 더욱 노력함으로서 우리나라가 모바일 RFID 서비스 시장을 선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