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 ITU-T ‘전기통신 번호체계 진화’ 국제표준화 주도

ETRI, ITU-T ‘전기통신 번호체계 진화’국제표준화 주도
-ITU-T 번호체계 진화 대응작업반 구성 및 의장직 선임
-국제 전기통신번호체계 미래 선도 표준권고안 2건 개발
-한국, 전기통신 번호체계 분야 국제표준화 영향력 커져



그동안 선진국들이 독점해 온 전기통신 번호체계 국제표준화 분야에 한국이 진출하여 전화번호의 미래 진화방향 등에서 표준 개발을 주도하게 되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최문기)는 지난달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ITU-T Study Group 2(SG 2)회의에서 서비스융합표준연구팀 안재영 전문위원이 “IP 기반 시스템의 도래에 따른 번호체계의 진화 및 융복합 현상에 대해 연구할 것”을 제안하여 관련 대응 작업반을 구성하고 의장직에 선임되었다고 14일 밝혔다.

이에 따라 해당 작업반에서는 ETRI 안재영 의장 주도로 향후 국제 전기통신 번호체계의 미래를 선도하는 표준 권고안으로 “NGN(Next Generation Network)과 IP 기반 융복합 시스템의 도래에 따른 번호 자원 관리의 진화 프레임워크” 및 “미래의 번호체계 진화 로드맵” 등 2건을 개발하게 되었다.

해당 작업반 및 표준 권고안 문서들은 향후 IP 기반 차세대 통신망의 도입 과정에서 일어나는 번호체계의 변화 및 현행 번호체계의 능력을 넘어서는 각종 신기술 및 비즈니스모델의 사례를 연구하여 대응방향을 정리하게 된다.

이를 통해 ETRI는 ‘국제 번호자원 할당’ 및 ‘자원 관리’와 관련한 국제 표준의 진화 방향을 주도적으로 제시할 예정이다.

특히 최근 국제 번호 자원할당 및 관리에 있어 쟁점이 되고 있는 기술 분야인 가상 이동통신망 사업자(MVNO), 항공 및 선박 전화, 인접 국경 국가간 월경서비스, NGN에서의 번호이동성, 글로벌 서비스 이동통신 번호, 기기간(machine to machine) 통신 서비스를 위한 번호 자원 할당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함으로써, 한국 주도로 국제 번호체계 표준화의 주도권을 장악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ETRI 정해원 표준연구센터장은 “그동안 선진 강대국에 독점되어 온 전기통신 번호체계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국제적인 주도권을 갖고 표준화를 리드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국제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값진 성과' 라고 말했다.

[배포번호 : 2009 - 04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