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 고해상도 위성영상 무상 온라인 서비스 제공

ETRI, 고해상도 위성영상 무상 온라인 서비스 제공

- 신행정수도사업단 후보지 조사 등 관계기관에 무상 제공,
연 100억 원 이상의 위성영상 구입비용 절감 효과 예상 -

소형자동차를 식별할 수 있는 수준인 공간해상도 1m급의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정부 중앙부처가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http://www.etri.re.kr) 텔레매틱스연구단 LBS연구팀(팀장 박종현 박사)은 인공위성 영상정보와 관련 성과물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서비스할 수 있는 위성영상정보 통합관리를 위한 포탈사이트(http://simc.etri.re.kr)를 구축, 본격적인 서비스에 들어갔다.

정보통신부 ‘위성영상정보 통합관리’ 사업의 일환으로 구축된 동 사이트에서는 국내의 원격탐사 관련 연구자들이 인공위성 영상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10m~30m 해상도를 갖는 중·저해상도 위성 영상을 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연구소, 대학교 등에 무상으로 제공한다.

또한 e-HD.com으로부터 구입한 해상도 1m의 IKONOS 위성영상을 정부중앙부처에 무상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자료는 환경 변화상태 감시, 식생 분포변화 조사, 환경오염 방지, 도시 계획, 시설물 관리, 유통 체계 관리 등의 분야에 활용되어 행정, 학술, 재난관리, 경제, 건설교통 등 각종 정책 수립 및 수행에 있어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사업의 효과

위성영상정보 통합관리사업의 목적은 국내에서 활용성이 높은 위성영상을 한 곳에서 집중관리하면서 필요한 기관에 무상으로 즉시 서비스함으로써 위성영상의 활용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중복 투자를 방지하여 영상 구입 예산을 절감하는 데에 있다.
2002년 8월부터 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연구소, 대학교 등의 관계기관에 자료를 협조하였으며, 2004년 1월 현재 협조한 자료를 금액으로 산정하면 약 79억 8천만원으로 위성영상 구입원가 대비 효과는 730% 이상의 실적을 보이고 있다. 구축된 위성영상을 서비스할 경우 앞으로 중·저해상도 영상은 매년 약 10억원, 고해상도 영상은 매년 100억원 이상의 영상구입비가 절감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2003년 7월에 고해상도 위성영상인 IKONOS 위성 영상을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잠재 수요 기관에 대한 설문 조사한 결과, ‘위성영상정보 통합관리센터’에서 저렴하게 IKONOS 영상을 배포한다면 총 700억원 이상의 수요를 창출하면서 예산 절감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해상도 위성영상은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현지 실사를 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비용 및 시간을 줄이고자 하는 경우 아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행정수도 입지선정을 위하여 특정지역에 대하여 조사를 해야 할 경우 현지조사보다는 1m 해상도의 IKONOS 위성영상을 활용하는 것이 시간 및 비용 절약을 위해 더 효율적이다. 실제로 신행정수도사업단에서는 행정수도의 후보 지역인 경기도 남부, 충청남북도 전역, 전라북도 북부 지역에 대한 광역 실태 조사를 위해 ‘위성영상정보 통합관리센터’에서 제공되는 시가 65억원 상당의 IKONOS 위성영상 자료를 무료로 제공받아 활용하고 있다.

□ 자료 이용 방법

‘위성영상정보 통합관리센터’의 자료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해야 한다. 회원가입은 일반회원과 인증회원으로 구분하여 웹 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진다.

일반회원은 웹 사이트를 통해 즉시 가입할 수 있으며, 위성영상 원본 및 위성 영상 관련 성과물에 대한 검색 서비스 등 위성영상의 주문을 제외한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인증회원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웹 사이트의 등록양식을 우편 접수하여 인증받아 회원가입을 할 수 있으며, 위성영상 원본 및 위성영상 관련 성과물에 대한 검색/주문 등 웹 사이트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고해상도 위성영상인 IKONOS 위성영상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자격은 국방부와 정보기관을 제외한 정부중앙부처로 한정되며, 위성영상의 제공은 별도의 신청서를 우편으로 접수하여 이루어진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