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 이동통신 핵심부품 초고주파 제어 집적회로 국내 최초로 개발

ETRI, 이동통신 핵심부품 초고주파 제어 집적회로 국내 최초로 개발

- 휴대전화, 위성항법시스템(GPS), 능동 안테나 등에 사용되는
전파 제어 핵심부품 기술을 세계 정상 수준으로 국산화 -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휴대전화용 전파제어 칩이 국내 기술로 개발되어 외산 제품을 대체함은 물론 향후 위치추적, 음성, 데이터, 멀티미디어 등이 복합된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어 세계시장을 공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http://www.etri.re.kr) 초고주파소자팀(팀장 김해천)은 정보통신부 선도기반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무선통신용 초고주파 제어 집적회로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다. 무선통신용 초고주파 제어 집적회로는 안테나를 통한 초고주파신호를 선택하거나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경로를 변경해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전파 제어 부품으로서 전량 수입에 의존해 왔었다.ETRI의 독자적인 소자기술로 개발된 본 기술은 위치추적, 음성, 데이터, 멀티미디어 등이 결합한 복합단말에서도 혼선 없이 작동하는 뛰어난 성능으로 세계시장을 공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해 온 휴대 단말기용 핵심부품

전파 제어 부품은 휴대통신 단말기로 송·수신되는 전파의 흐름을 조종하는 핵심 부품으로서, 국내 휴대폰 업체들은 이를 일본 엔이씨(NEC)와 미국 엠에이컴(M/A-COM), 스카이웍스(Skyworks) 등에서 개당 2달러 이상의 가격으로 전량 수입해 사용하고 있다.2001년 현재 5,280만 대 규모였던 국내 휴대전화 생산량은 2004년에 1억 대를 돌파할 것으로 추산되며 2001년 기준으로 33억 달러였던 부품수입액 역시 거의 두 배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ETRI CDMA 산업 보고서, 2002).이 중 연 2억 달러를 넘을 것으로 보이는 전파 제어 부품 수입액은 기존 이동통신, 차세대 이동통신, 무선랜, 휴대인터넷, GPS 등이 한꺼번에 지원되는 복합단말이 상용화될 경우 급증할 것으로 보여 국산화가 더욱 시급하다.

● 뛰어난 성능으로 기존 휴대전화는 물론 차세대 복합단말에도 사용

ETRI의 초고주파 제어 집적회로는 칩 형태로 제작된 전파제어 부품으로서 전력 소모가 적고 소형화에 유리하며 외산 제품에 비해 신호의 손실이나 혼선 현상이 적어 휴대전화의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특히 다양한 주파수를 한꺼번에 제어해야 하는 복합단말에서 ETRI의 초고주파 제어 집적회로는 외산 제품에 비해 월등한 성능과 안정성을 보인다.본 기술은 6기가헤르쯔(GHz)의 초고주파까지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어 전 세계 이동통신 단말은 물론 이동형 TV방송(DMB), 위성항법장치(GPS), 기지국용 중계기, 능동안테나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따라서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은 물론 차세대 다중 서비스용 전파 제어 핵심 부품으로 상용화되어 관련 세계 시장을 공략할 것으로 기대된다.

● 개발 결과의 의미 및 시장 전망

차세대 휴대통신 단말기는 위치추적, 음성, 데이터, 멀티미디어 등 복합기능의 다중대역, 다중서비스를 지향하고 있어 전파제어 부품의 성능 향상과 소형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본 기술은 외산 제품보다 성능이 뛰어나고 소형화에 유리한 집적회로 형태여서 고주파 복합 모듈에 내장된 형태로 상용화될 것으로 보인다.고주파 복합모듈 세계시장은 2003년 현재 연 47억 달러 규모이며 복합단말의 발전에 따라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책임자인 ETRI 초고주파소자팀 문재경 선임연구원은, “본 기술 관련 핵심 특허 2건을 국내·외에 출원하여 우리나라 독자의 지적 재산권을 확보하였다”며, “이번 개발로 급속하게 융·복합화 하는 차세대 복합단말 산업을 선점할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였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