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 고정밀 위성영상처리 소프트웨어 시연회 개최

ETRI, 고정밀 위성영상처리 소프트웨어 시연회 개최

- 12월 22일(월),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고정밀 위성영상처리 소프트웨어 시연회 및 최신 기술 동향 발표회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http://www.etri.re.kr) 공간영상정보연구팀(팀장 김경옥 박사)은 오는 12월 22일 오전 9시 30분 서울교육문화회관 가야금 홀에서 고정밀 위성영상처리 소프트웨어 시연회를 개최한다.고정밀 위성영상처리 소프트웨어는 정보통신부 과제인 "고정밀 위성영상 처리기술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된 국내최초의 컴포넌트 기반 고정밀 위성영상 처리기술로서 빠른 처리속도, 높은 정밀도, 뛰어난 호환성 등의 장점을 갖추고 있어 다른 종류의 영상처리 관련 산업에도 폭넓게 활용될 수있는 소프트웨어이다.
본 기술은 2005년도 발사 예정인 아리랑 2호 위성이 보내오는 신호를 받아 1미터(m) 크기의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고정밀 영상처리를 담당하게 된다.본 기술을 통해 우리 나라는 중저해상도 위성으로부터 획득할 수 없었던 상세한 지상 영상정보를 전기, 가스, 수도, 통신 등의 구조물 구축, 은행 및 보험회사 등의 자연재해 예측, 국가기관의 정밀 국토개발계획 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독자적으로 보유하게 되었다.

연구책임자인 김경옥 ETRI 공간영상정보연구팀장은, "이번 시연회를 계기로 고정밀 위성영상처리 분야의 국내 기술경쟁력을 한층 더 발전시킬 기술 및 정보교류의 장이 마련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본 시연회는 행사 당일 현장등록을 통하여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참가비는 무료이다.문의 (042)860-6268 (http://sitc.etri.re.kr/register2.html)

[용어설명]

고정밀 위성영상

지구관측 위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위성영상의 공간해상도 및 분광해상도는 괄목할만한 향상을 이루었다. 기존의 중저해상도 위성영상이 10m 이상의 공간해상도를 제공하는 반면 고정밀 위성영상은 현재 1~4m의 공간해상도를 제공한다. 공간해상도 1m라 함은 영상의 한 화소가 지표면의 가로 세로 1m 영역을 정보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현재 SpaceImaging사가 상업적으로 1m 공간해상도의 위성영상을 제공하고 있으나 2004년 우리나라의 다목적 실용위성 2호기를 포함한 약 10여기의 위성이 고정밀 위성영상을 제공함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고정밀 위성영상을 활용한 서비스 개발에 많은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아리랑위성 2호

아리랑위성 2호의 주요 임무는 한반도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규모의 자연 재해를 감시하고 각종 자원의 이용 실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지리 정보 시스템에 활용 가능한 고해상도의 지구 관측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임무를 완수하기 위하여 아리랑위성 2호는 1m 해상도의 팬크로매틱 영상과 4m 해상도의 다중대역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고해상도 카메라(Multi-Spectral Camera, MSC)를 탑재할 예정이다. 또한, 아리랑위성 2호는 한반도의 국지적인 지역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육지를 관측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디지털 지도와 여러 대역에 걸친 다양한 컬러의 영상을 합성한 지도와 같은 고품질의 부가가치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아리랑위성 2호는 아리랑위성 1호의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되기 때문에 아리랑위성 1호 개발 사업을 통해 축적된 기술과 인력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리랑위성 1호의 뒤를 이어서 계속적인 지구 관측을 함으로써 축적된 영상은 향후 고부가가치의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컴포넌트

컴포넌트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과 분산객체기술에서의 재사용이 가능한 프로그램 빌딩 블록으로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형성하기 위해 같은 컴퓨터에 있거나 또는 네트웍 상의 다른 컴퓨터에 있는 컴포넌트들과 조합될 수 있다. 컴포넌트는 네트웍 상에 있는 다른 서버들로 배포될 수 있으며, 필요한 서비스를 위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컴포넌트는 컨테이너라 불리는 환경 내에서 동작하는데, 컨테이너의 예로는 웹 페이지나 웹 브라우저, 그리고 워드프로세서 등을 들 수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