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 KT와 공동으로 VoIP 내장형 VDSL 홈게이트웨이 개발

ETRI, KT와 공동으로 VoIP 내장형 VDSL 홈게이트웨이 개발

- 오는 17일(화) 서울 교육문화회관서 전시회 및 기술워크샵 개최 -

가정 내의 정보가전기기들을 고속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고품질의 주문형비디오(Vod, Video on Demand) 서비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어디에서나 PDA 등 휴대형 정보기기를 사용하여 집안의 전등, 가스밸브 및 TV, 냉장고 등의 정보가전기기들을 원격에서 쉽게 제어할 수 있는 홈네트워킹 핵심장치인 홈게이트웨이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서 개발되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http://www.etri.re.kr) 액세스기술연구부 홈네트워크팀(팀장 박광로 박사)은 고품질의 VoIP 기능(Voice over IP, 전화망과 IP망을 연결해주는 기능), 고속 보안 기능, 가전기기 원격제어 기능, 네트워크 및 디바이스 관리 기능을 가지는 차세대 멀티미디어 게이트웨이인 e-Home Gateway를 개발하였다. e-Home Gateway는 정보통신부 선도기술개발 국책 사업 중 홈게이트웨이 시스템 기술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KT 홈넷연구실(실장 정학진 박사)이 주관하고 ETRI, KETI(전자부품연구원)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2년간 연구개발한 결과이다.

  정보가전기기들을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고 쉽게 제어 가능  가정은 사생활 영역이기 때문에 유해정보의 차단 등 보안성 확보가 매우중요하다. 주부, 어린이, 노인 등 다양한 계층이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여러 형태의 정보가전기기들을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생활환경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e-Home Gateway는 기본적인 방화벽 기능뿐만 아니라 안전한 재택근무를 위한 가상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을 지원하는 IP보안 기능을 탑재하여 고속의 네트워크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트래픽 및 네트워크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인 SNMP(간이 망관리 프로코콜,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에이전트 기능을 내장함으로써 가정 내 정보가전 기기의 유지보수를 손쉽게 해준다. 또한 홈게이트웨이에는 전화망과 IP망을 접속하게 해주는 VoIP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서 집안의 사용자는 홈게이트웨이와 연결된 일반 전화기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저렴한 인터넷 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장 전망 및 기술개발의 의미 - 다양한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는 차세대 멀티미디어 게이트웨이홈게이트웨이 세계 시장은 2006년까지 연간 128%의 고성장이 예상되며, 특히 아시아의 경우 연간 172%의 폭발적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05년 약 4,937억달러로 예상되는 홈네트워크 세계시장에서 e-Home Gateway기술이 수출주력 상품으로 해외 시장 개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홈네트워크팀 박광로 팀장은 이번에 개발한 e-Home Gateway는 단순한 이더넷 허브 형태의 기존 제품과는 달리 고속 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초고속디지털가입자회선)통하여 VoD 서비스 등을 가정에서 받아볼 수 있어 가정 정보화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것이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세계 최고수준의 초고속정보통신망 인프라를 바탕으로 침체된 국내 IT산업이 재도약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 기대했다.

한편 ETRI와 KT는 지난 2년간의 홈게이트웨이 기술 개발 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고 상용화를 촉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오는 12월 17일(화) 오전 10시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일반인 및 관련업체를 대상으로 전시회 및 기술 워크샵을 가질 예정이다.

[용어설명 ]

  ●HomePNA(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전화선을 사용한 가정내 통신망 기술규격을 종합할 목적으로 1998년에 컴퓨터 통신망 기기 제작회사가 설립한 업계 단체 또는 그 단체가 만든 기술을 의미함

  IEEE1394
미국 전기 전자 학회(IEEE)가 표준화한 새로운 직렬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의 규격. 비디오 카메라, 비디오 카세트 녹화기(VCR) 등의 가전 기기를 개인용 컴퓨터(PC)에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블루투스(Bluetooth)
PC, 프린터, 전화, 팩스, 휴대폰 등의 정보통신기기는 물론 TV, 냉장고 등 가전제품도 10m ~100m 정도의 거리에서 무선으로 연결해 주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 기존의 2선식 가입자 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전화국에서 가정으로 1.5Mbps(또는 6Mbps), 가정에서 전화국으로 16kbps의 통신(비대칭)을 실현할 수 있는 기술

  ●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전화선을 이용한 고속 디지털 전송 기술의 하나. 기존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기술인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ADSL)보다 전송 거리가 짧은 구간에서 고속의 데이터를 비대칭으로 전송하는 기술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Local Bus
주변기기 연결 내부 버스중앙 처리 장치(CPU)와 주변 장치를 직접 연결하여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내부의 데이터 이동 통로

  ●AP(Access Point)
망 서비스(전용선이나 VAN 등)에서 망과 이용자의 접근점.   VPN(Virtual Private Network)공중 전화망 상에 사설망을 구축하여 이용자가 마치 자기의 사설 구내망 또는 전용망 같이 이용할 수 있게 구축한 통신망

  ●UPnP (Universal Plug and Play)
Microsoft, Intel 등이 모여서 만든 UPnP 포럼에서 제안한 정보가전 미들웨어 기술로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정보가전 기기들을 복잡한 설정 절차 없이 곧바로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특별한 설정을 하지 않고도 기기를 네트워크에 연결만 하면 기기의 서비스를 바로 사용할 수 있다.

  ●OSGi (Open Services Gateway initiative)
OSGi는 외부 인터넷에 존재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가정, 자동차 또는 작은 사무실과 같은 내부 홈 네트워크로 전달하기 위한 표준화된 API를 제공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 표준으로 부각되고 있는 기술이다.

  ●번들 (Bundle)
번들은 OSGi 프레임워크 상에 탑재되어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본 단위이다. 서비스 제공자 또는 사용자는 OSGi 프레임워크에 번들을 추가, 삭제, 갱신할 수 있다.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네트워크 트래픽 및 네트워크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획득하고 설정할 수 있다.

  ●SNMP 에이전트
피관리 장치에 상주하며 SNM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관리자가 요구하는 관리 정보를 전송해 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셀룰러폰이나 무선호출기 등과 같이 성능이 제한된 무선장치들에서 인터넷에 접근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 규격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