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 국산 임베디드 운영체제(Qplus)기반 홈서버 세계 최초 개발

ETRI, 국산 임베디드 운영체제(Qplus) 기반 홈서버 세계 최초 개발

- 엔터테인먼트 · 가전기기 제어 · 대화형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
다양한 홈 서비스 제공 -

 옆 집의 DVD를 우리 집에서 볼 수 있고, 길을 가다가 휴대폰으로 집에있는 음악을 들을 수 있고, 출장 중에도 우리 집의 가스 벨브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가 홈서버를 통해서 조만간 가능해진다. 

 국산 임베디드 운영체제인 Qplus 기반의 홈서버가 국내 기술진에 의하여세계 최초로 개발되었다. 이번에 개발된 홈서버는 국내 초고속 정보통신 인프라의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정보 서비스 창출의 초석이 될 수 있으며, 국내 기술력으로 만든 Qplus를 통해 외국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새로운 응용 제품들을 시장에 적시에 출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Qplus가임베디드 리눅스 기반 실시간 운영체제라는 점에서 안정성과 응용 분야가광범위하여 파급효과 또한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http://www.etri.re.kr) 정보가전연구부(부장 김채규)에서 정보통신부의 국책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인터넷정보가전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개발한 홈서버는 전력선, IEEE1394, 이더넷(유선넷), 홈PNA,무선랜, 블루투스 등 다양한 유무선 홈네트워크를 지원하며 다양한 디지털가전 서비스를 관장하는 집안의 핵심장치로서 ▲ SIP 기반의 대화형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인터넷상에서 음성이나 영상, 애니메이션 등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기법) 기술을 기반으로 E-메일 송수신 및 웹 서핑, 멀리 있는 친구나이웃과 인터넷폰으로 영상대화를 나누며 함께 같은 웹페이지를 검색하고 화이트보드를 통한 공동 작업 등이 가능하며 ▲디지털 컨버젼스 추세에 따라 디지털TV, DVD, e-Book 등을 통합함으로서 단일 홈서버를 통해 방송수신,영화시청 등 홈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며 ▲오디오, 비디오 기기를 위한 HAVi와 PC, 프린터 등 정보기기를 위한 Jini와 UPnP 및 가전기기와 센서를 위한 LonWorks로 구성된 제어 미들웨어를 기반으로 인터넷을 통해 집안의 컴퓨터에 있는 데이터를 백업하고, 다양한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이들 디지털 기기들을 자동으로 구성하고 원격지에서 상태 관리 및 제어하는 등 향후 디지털 가전 시장에서 새바람을 일으킬 수 있는 핵심적인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개발된 홈서버는 HAVi, Jini, UPnP, LonWorks 등 주요한 단체 표준 제어 미들웨어간에 상호호환성을 보장하는 통합 미들웨어를세계 최초로 개발함으로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여 미래지향적 디지털 가전 서비스의 구현 시기를 앞당기고 있다.

 세계적인 추세에서 볼 때,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미디어 센터와 같은PC 기반의 홈서버와 소니사의 게임 콘솔인 플레이스테이션에 홈서버 기능을 접목하는 등 각 업체별로 자사의 기술우위 분야를 중심으로 한 기술개발 및 제품 발표 등 적극적인 활동이 추진되고 있으나, 홈서버 개념을 ▲홈 컨트롤서버 ▲홈 멀티미디어 서버 ▲홈 인포메이션 서버의 3 가지를 통합한 형태로 개발한 ETRI의 홈서버는 기존의 개별적인 기능을 하나의 제품으로 통합하여 그 기능과 활용도를 배가시킴으로써 집안의 『유무선 통합 홈 서비스인프라』구축이 가능해진 것이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개발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홈 엔터테인먼트 허브』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함과 동시에 정보가전 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기술적으로 큰 의의를 갖는다.

 특히, 홈 서버에 사용되는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의 운영체제인 Qplus는 실시간 처리 및 전력관리 기능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이를 지원하는 타겟 시스템 재설정 도구인 타겟 빌더와 시스템 개발도구인 에스토(Esto: Embedded Systems Tool)는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주기를 크게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국내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분야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ETRI 정보가전연구부 김채규 부장은 "가정용 네트워킹 장치와 홈 오토메이션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킹 제품의 2002년도 세계시장규모는약 22억 달러(2조 6천 4백억 원)에 이를 전망이며, 2005년에는 약 78억 달러(9조 3천 6백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며, 본 기술의 상용화를 통해 세계 시장 10% 점유를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홈서버는 지난 8월 13일부터 15일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리눅스월드엑스포에 출품되었으며, Qplus 및 타겟 빌더, 에스토의 제품 전시를 통하여 마이크로소프트사, NASA, 캘리포니아 전력 관리 시스템 개발 업체인 Energyn 등 세계적인 회사들이 큰 관심을 보였다.

 한편, ETRI에서는 올 하반기부터 이번에 출품한 관련 기술분야에 대한 국내외 기술이전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에 개발된 홈서버를 계기로 향후 홈네트워킹 기술의 성능 개선과 상용화 추진을 위한 관련 핵심분야의 SoC(System on Chip)화 등 가정에서의 디지털 컨버전스 기술의 집중화를 통하여 정보가전 분야의 국가 경쟁력 확보와 수출 주력 상품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첨 부 : 용어설명) 

□ 홈서버(Home Server)
   가정 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장, 관리, 분배 기능과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각종 정보가전 기기의 제어, 관리 및 연동을 담당하는 인터넷 정보가전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전력선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가정과 사무실에 있는 기존의 전력선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
   하는 것으로 수백Kbps에서 1Mbps급 이상의 전송 속도를 제공

□ 무선 1394
   54Mbps급 IEEE820.11a 무선LAN 기술과 IEEE1394 규격을 사용하여 멀티미
   디어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차세대 무선 홈 네트워크 규격

□ HomePNA(Home Phoneline Network Alliance)
   여러 대의 PC 자원을 전화선을 이용하여 서로 공유하기 위한 것으로    10Mbps에서 100Mbps급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 규격 

□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인터넷 환경에서 사용자들의 위치를 파악하여 다자간 영상회의를 지원할 수    있도록 대화 채널을 접속하는 표준 접속 규격(IETF RFC2543)

□ HAVi(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소니, 필립스 등 가전업체가 중심이 되어 오디오·비디오 등의 가전기기 제어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속 규격 

□ Jini  
   선마이크로시스템즈, HP 등이 중심이 되어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PC와 프린터등의 구성과 데이터 교환을 정의한  홈 오피스 서비스 접속 규
   격

□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PC 중심으로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들의    구성과 제어, 관리를 위한 규격 

□ LonWorks
   전력선(10Kbps이하)에 연결되어 있는 각종 센서와 백색가전기기들을 제어    하기 위해 정의된 홈 오토메이션 서비스 접속 규격

□ 타겟시스템
   임베디드 시스템은 최종적으로 제품화 되기 전 개발 기간 중에는 개발에 필    요한 자원의 제한으로 인해 독립적인 개발 환경을 갖추기가 어려워 데스크
   탑 PC 및 워크스테이션과 같은 컴퓨터에 연결하여 개발을 하게 되는데, PC
   및 워크스테이션은 호스트 컴퓨터, 임베디드 시스템은 타겟 시스템이라함

□ 타겟 빌더
   ETRI에서 개발한 임베디드 리눅스 지원 타겟 시스템 설정 및 구축 도구로서,    기존의 설정 도구들이 커널 설정만을 지원하는데 비해, 라이브러리 및 응용
   까지 한가지 일관된 방식으로 지원한다는 장점이 있음 

□ 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통합개발환경을 의미하며, 임베디드 소프트웨어개발에 필요한 컴파일러,
   디버거, 모니터링 도구 등 다양한 도구들이 일관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
   스를 통해 통합된 형태로 개발자가 사용하기 쉽게 제공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

□ Esto(Embedded Systems Tool)
   ETRI에서 개발한 IDE로서 개발 호스트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와 리
   눅스 둘 다를 지원한다는 장점을 비롯하여, 실시간 디버깅을 위한 논스탑
   디버거, 응용의 전력 소모량 예측기 등 많은 강점을 가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