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KT스카이라이프 위성방송서비스 기술개발 완료


폭우·폭설·자연재해에도 끊김없는

위성방송시청 가능하다

ETRI-KT스카이라이프 위성방송서비스 기술개발 완료

- 우리나라 위성방송 기술 국제표준으로 채택, 세계적 평가로 국제적 지위 획득

- 폭우·폭설·자연재해에도 위성방송 단점 극복한 디지털 방송 및 고품질 위성방송 서비스 제공





일반적으로 위성방송은 다채널의 고화질 방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비가 많이 오게 되면 전파 감쇠 때문에 방송이 일시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채널 적응형 위성방송 기술을 적용하면 맑은 날에는 HD(High Definition) 방송을 시청하다가, 비가 많이 내리면 기존 방송처럼 방송이 중단되는 것이 아니라 HD 방송에서 SD(Standard Definition) 방송으로 화질이 전환되어 끊김없이 해당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즉, 이 기술은 사진<첨부사진>과 같이 비가 안 오는 지역에서는 HDTV가 수신되고, 비가 많은 지역에서는 방송이 중단되는 대신에 SDTV로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있는 차세대 디지털 위성방송 기술이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와 KT스카이라이프(사장 이몽룡)는 폭우·폭설·자연재해에도 끊김없이 위성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채널 적응형 스케일러블(Scalable) 위성방송서비스 기술 개발을 완료하여, Ka 대역 위성인 천리안위성을 통해 서비스 시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6일 밝혔다. 이 기술은 지난 10월 24일부터 27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되었던 ITU Telecom World 2011 전시회에 출품해 각 국으로부터 큰 관심과 호평을 받은 바 있다.

또한 ETRI는 국제 표준화 기구인 ITU-R에 채널 적응형 스케일러블 위성방송서비스 기술을  Ka 대역 위성방송서비스를 위한 국제 표준기술로 제안하여 채택되었다. 그 동안 ITU-R 표준화는 일본이 주도해 왔으나 이번 표준안 채택으로 우리나라 위성방송 기술의 우수성이 세계적으로 평가를 받은 것이며 향후 이 분야에서 선진국과  대등한 국제적 지위를 가질 것으로 전망된다.

Ka 대역 위성방송서비스는 현재의 Ku 대역 위성방송서비스보다 월등히 많은 채널의 HDTV(High Definition TV) 나 UHDTV(Ultra-HDTV)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차세대 위성방송 서비스다. 미국 DirecTV사에서는 이미 200여 채널의 Ka 대역 위성 HDTV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일본 NHK에서는 초고화질 방송서비스인 UHDTV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Ka 대역 위성방송 기술개발을 진행중이다.

기존의 위성방송 기술로 Ka 대역 위성인 천리안위성으로 위성방송서비스를 제공 할 경우, 강우에 따라 연간 방송 중단시간이 약 13시간(가용도 99.85%) 정도이나 본 기술을 적용하면 방송 중단시간이 약 4시간(가용도 99.95%) 정도로 대폭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번 시연에 사용된 시제품은 HD/SD급의 스케일러블 비디오 인코딩 기술과 가변 변복조 기술을 연동하여 수신기 스스로 강우 상태에 따라 최적의 수신방식을 결정하는 적응형 위성방송 핵심기술이 적용되었다.

ETRI 김흥남 원장은 “이번 기술이 방송통신위원회의 ‘채널 적응형 실감 위성방송 전송기술 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KT스카이라이프 등과 공동으로 연구 협력한 끝에 거둔 성과”라며 “세계 최초로 Ka 대역 위성을 통해 차세대 위성방송 기술인 적응형 위성방송서비스 기술을 시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말했다. 

한편, KT스카이라이프 이몽룡 사장은 “강우 적응형 위성방송 서비스는 그동안 폭우나 폭설에 약한 위성방송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획기적인 디지털 방송기술이고, 무엇보다도 기상변화에 강한 고품질 위성방송 서비스를 시청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향후 본 기술을 적용한 상용 위성방송 서비스를 검토 중이다.”고 밝혔다.

[배포번호 : 2011-83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