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All-IP 기반 차세대 이동통신 핵심망 시스템 국내 최초 개발

ETRI, All-IP 기반 차세대 이동통신 핵심망 시스템 국내 최초 개발

- 유·무선 전화, 인터넷을 직접 연결하는 융합망 구축 -


All-IP 기반 차세대 이동통신망 핵심장비들이 국내 기술진에 의해 개발되
었다.
ERI의 All-IP 기술은 회선 교환망을 통해 제공되던 서비스들을 데이터 전
송망으로 통합시킴으로써, 모든 종류의 음성통화와 데이터 서비스를 IP
기반 이동망을 통해 경제적·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기술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http://www.etri.re.kr)은 All-IP 기반 차세대 이
동통신 기술 개발사업(사업책임자 신동진 박사)의 일환으로, All-IP 기반의
차세대 이동통신 핵심망을 구성하는데 필수적인 주요 시스템과 무선 접속망
시뮬레이터 등의 검증시스템을 2년간의 연구 끝에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현재 통신사업자는 일반 유선전화와 휴대전화를 위한 교환기, 문자메시지
등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라우터 그리고 교환기와 라우터를 잇는 모뎀의 집
합체인 모뎀 풀을 모두 설비해 음성통신과 데이터 통신을 별도의 시스템으
로 제공하고 있는데, All-IP 시스템 하나면 이 모든 장비들을 대체해 통합
된 단일망을 구축, 더욱 진화된 형태의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경제적
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장비 없이도 SIP(접속설정프로토콜, 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 VoIP(IP기반음성전송기술, Voice over IP)를 이용한 무
선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대규모로 제공할 수 있어, 공공 이동전화망을 인
터넷 전화로 전환하는 가능성을 열었다.
현재의 VoIP 서비스는 기술적 한계 때문에 소규모 고객들을 대상으로 낮
은 품질의 통화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이다.
ETRI의 All-IP 시스템의 개발로 무선 망 부문과 일반전화교환망(PSTN)
부문까지 패킷 기반으로 확대되고 공공성 있는 높은 품질의 유무선 멀티미
디어 통화서비스가 개발될 가능성이 크게 열리게 되었다.

⊙ 뛰어난 적응성과 진화능력 갖춘 개방형 무선 인프라

ETRI의 All-IP 기술은 멀티미디어 핵심망과 다양한 무선 접속규격의 장치
들을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통해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되어,
향후 시스템 규격의 진화 및 방식의 변화에 따른 망 구성 요소 기능의 재사
용성과 적응성이 높으며, 규격이 다른 시스템간의 호환성이 높다.
또한 ETRI는 RAN(무선접속망, Radio Access Network) 시뮬레이터 등의
검증시스템을 함께 개발하여, 신기술 적용에 필요한 휴대전화, 인터넷 이동
전화, 일반 전화, 무선 인터넷 접속 등의 성능시험을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국제표준 규격에 정의된 API(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사용하는 어떤 종류의 응용서버도 이동통신망에 접속
할 수 있도록 개방형 서비스 구조로 구현되어, 컨텐츠 사업자나 서비스 사
업자들이 이동통신망과 쉽게 연동하여 가입자들에게 착신과금, 위치확인 등
다양한 지능망 응용서비스를 직접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이동통신 인프
라가 새로운 디지털 서비스산업을 끊임없이 창출하는 거대한 디지털 자유
시장(Free Market)으로서 그 활용도를 크게 높이게 되는 것이다.

⊙ 3GPP2 기반의 국제 표준 시스템

ETRI의 All-IP 기반 차세대 이동통신 핵심망 시스템은 동기식 IMT-2000
표준의 공식 개발 기구인 3GPP2에서 연구되어 온 All-IP 표준규격(All-IP
NAM V.1.1.1.)을 준수하고 있어서, 국내외적으로 상호 운용성을 확보하는데
용이한 국제 표준시스템으로 개발되었다.
특히 3GPP2에서의 해당 규격의 표준화에 직접 참여하면서 장비 개발을 진
행함으로써 규격 완성의 시점에 병행하여 기술개발을 완료하였으며, 따라서
국내외를 통해 선도적인 기술개발로 국제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게 되었다.

⊙ 개발 결과의 의미 및 향후 전망

현재 IMT-2000 을 위한 패킷 접속망을 포설하고 있는 국내 이동통신 사
업자들은 향후 IP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구의 확장에 따라 All-IP 핵
심망을 구축하게 될 것이다.
ETRI의 All-IP 기술 개발로 우리 나라도 국내·외 시장에서 향후 전개될
All-IP 핵심망 기술에 대한 원천기술 및 이의 시험 시제품을 확보하게 되었
으며, 이들 기술을 발전시켜 차세대 망으로서의 All-IP 핵심망의 원활한 국
내외 시장 공급과,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기술 기반을 구축하게 되었다.
또한 현재 차세대 이동시스템의 무선 접속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핵심망 분야 기반 기술로서 활용이 가능하며, 유무선 통합
망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이에 대한 기반 기술로서도 활용 가능하다.
특히 All-IP 망의 선도적 구현은 최근 다양하게 전개되고있는 패킷 기반
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 접속 및 이에 기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핵심망으로서 가치가 있으며, 인터넷과 이동통신의 결합에
의해 다양한 산업적 부가가치 창출의 가능성을 활짝 열어주게 될 것이다.

⊙ IMT-2000의 완결점,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개발의 시작점

연구책임자인 ETRI 이동Ad-hoc네트워크팀 신동진 박사는, ETRI의
All-IP 기술은 동기식과 비동기식을 막론하고 현재 발표된 가장 완성된 형태
의 차세대 이동통신 핵심망 기술이라며, 모듈 구조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향후의 기술발전을 유연하게 수용하면서, 차세대 이동통신을 완성시켜 나갈
뼈대가 되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용 어 설 명 ]

● All-IP

3세대 이후의 이동통신망 기술로서 국제 표준화 단체인 3GPP와 3GPP2에서 표준화 작업중인 기술. All System over IP와 All Service over IP를 목표로 하고 있음.

●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기술은 음성과 데이터를 IP 기술을 이용하여 패킷 형태로 통합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기술을 말하며, 최근에는 영상 정보까지 통합 전송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음성데이터통합 기술이라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인터넷전화 서비스, 멀티미디어메세징 서비스 등 다양한 차세대 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구현하는 기술을 통칭한다.

● SIP(접속 설정 프로토콜,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는 VoIP 서비스를 실현하는 프로토콜 기술 중 하나로, 현재 제공되고 있는 대부분의 상용 인터넷전화 서비스에서 채택하고 있는 H.323 표준 기술을 대체할 목적으로 인터넷 표준 개발 기구인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개발된 차세대 프로토콜이다.
SIP 기술은 인터넷전화 뿐만 아니라 웹 이후의 새로운 차세대 킬러 응용으로 부각되고 있는 인스턴트 메시징 및 프리젠스(현재 위치 표시) 서비스의 핵심 표준기술로 자리잡고 있으며, 제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호(號) 제어 프로토콜로 채택되는 등 세계적으로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과 표준화 작업이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SIP 기반 장비 및 서비스 개발이 경쟁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와 3GPP2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2000 시스템은 단일 표준 하의 글로벌 로밍,
2Mbps 데이터 전송, 이동멀티미디어 및 고품질 서비스 제공의 목적으로 시작되었으나, 단일 표준안 도출에 실패하여 유럽과 일본 중심이 주도하는 비동기식의3GPP와 미국이 주도하는 동기식의 3GPP2로 양분되었다.
3GPP에서는 GSM을 기반으로 하는 비동기 방식의 WCDMA 시스템의 표준을 개발하고 있으며, 3GPP2에서는 IS-95 동기 방식으로부터 진화한 cdma2000 시스템의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