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ETRI소식 상상을 현실로, 진화하는 ICT세상, 고객과 함께 ICT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연구개발보도자료

ETRI, 똑똑한 3D체험 원천기술 개발


<
나만의 3D 아바타 탄생으로 무슨 옷 입을까? 고민 끝”>

ETRI, 똑똑한 3D체험 원천기술 개발

- 나만의 3D 아바타 생성 · 3D 가상 피팅 서비스 기술
- 1초만에 몸 스캔, 고품질 3D 캐릭터 생성 뚝딱!!
- TV홈쇼핑, 온라인 의류구매 혁신적 변화, 3D 얼굴자판기도 주목


 

이젠 손쉽게 나만의 3D 아바타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내 몸의 3D 정보를 1초 만에 스캐닝해 ‘나만의 3D 아바타’를 생성하는 리얼 3D 신체 계측 기술 덕분이다. 이 기술로 인해 앞으로 나만의 3D 캐릭터가 등장하는 애니메이션, 게임과 온라인 의류 및 의료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서비스가 이뤄질 전망이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는 사람의 3D 신체 정보를 실시간 계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나와 동일한 외형 정보를 가지는 나만의 3D 아바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술개발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기술은 실시간으로 신체를 계측하고 가상으로 의류를 입어볼 수 있는 리얼 '3D 신체 계측 핵심 원천 기술'과 '3D 가상 피팅 서비스 3D 가상 피팅 서비스(3D Virtual Fitting Service, 서비스명 ‘Real Fit’)기술'로 나뉜다.

실제 가상의 의류 피팅 서비스를 시연해 보면 나를 모델로 한 3D 아바타가 등장하고 나에게 꼭 맞는 옷을 선정해 준다. 또 옷을 입고 움직여 보면 사용자 몸의 움직임이 옷에 그대로 전달되어 마치 매장에 가서 옷을 입어보는 느낌이 들었다. 치마의 경우 팔랑거림이 자연스럽게 연출되기도 했다.

 현재 이러한 ‘3D 가상 피팅 서비스’는 차세대 의류 유통을 이끄는 혁신적 기술로 평가받으며 미국, 영국, 독일 등에서 개발을 경쟁적으로 진행하고 있다.하지만, 그동안 실시간으로 신체 외형과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의류에 적용, 실시간 시뮬레이션을 동시에 적용한 사례는 없었다. 단지 사용자의 몸에 의상을 단순하게 겹쳐 보이게 하거나 제한적인 옷의 움직임을 보여주는데 그쳤으나 ETRI가 이 한계를 극복했다.
 
ETRI는 본 기술과 관련, 향후 대두되게 될 3D 시장에 있어 디지털화의 필요성에서 연구를 시작했으며 다양한 산업분야로의 적용이 가능케 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향후 본 기술은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일반적인 사진들을 조합하여 자동으로 3D로의 변환이 가능할거로 내다보고 있다.
이번에 선보이는 ‘리얼 3D 신체 계측 기술’은 여러 대의 디지털카메라와  3D 센서의 영상 자동정렬, 센서 정보 및 위치, 자세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기술 등으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나만의 3D 아바타’를 만들 수 있게 된 것이다.

특히 이번 기술은 모듈형태로 제작되어 측정영역 및 정밀도에 따른 다양한 확장, 조합이 가능해 제품 및 서비스 적용에 활용성을 높였다. 또 반경 1.5m의 설치공간만 있으면 이동설치가 가능해 기존 고정식에 따른 공간 제약을 극복했다.

아울러 기존 고정식 신체 스캔의 기능과 성능을 유지하면서, 단 1초 만에  몸을 스캔할 수 있으며 10% 미만의 비용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높은 제작단가와 수작업 공정이 많이 필요한 디지털영화, 게임의 고품질 3D 캐릭터나 팬시제품 제작시 경제적, 기술적 장애 요인이 동시에 해결될 전망이다.

ETRI는 공동연구기관인 클로버추얼패션(CLO Virtual Fashion)과 함께 디지털 옷 시뮬레이션 기술을 연계해 옷을 입어 보지 않고도 내 자신에게 꼭 맞는 옷을 고를 수 있는 ‘3D 가상 피팅 서비스‘ 개발을 완료하고 1차 필드 테스트도 끝냈다. 아울러 올 하반기에 상용화를 추진해 차세대 패션 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온라인으로 옷을 구매시 직접 입어보고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서 반품되는 비율이 무려 60%이상 달했다. 따라서 이에 따른 운영 및 유지비용이 온라인 서비스의 큰 장애요인 이었으나, 이번 개발된 기술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ETRI는 내다봤다.
 
또 본 기술을 활용해 스티커 자판기와 같이 현장에서 얼굴 촬영으로 나만의 3D 얼굴 캐릭터와 애니메이션 동영상을 다운받는 ‘3D 얼굴 자판기’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기술개발을 총괄한 구본기 ETRI 영상콘텐츠연구부장은 “이번 리얼 3D 신체 계측 기술을 활용한 ‘3D 가상 의류서비스 기술’은 미국의 아마존(Amazon)이 온라인 서점의 새로운 산업변화를 창출한 것처럼 실제 옷을 입어보지 않고도 옷을 살 수 있는 온라인 패션문화를 주도할 혁명적 기술이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기술은 문화체육관광부의『산업융합 원천기술 개발사업의 방통융합형 Full 3D 복원기술』의 연구결과물로 현재, 기술이전 7건, 국제표준 2건, 국내표준 8건, 국제특허의 56건 출원 등의 절차를 마쳤다. 또 SCI(E) 논문 7건, 국내·외 저널 및 학술지 62편에 논문을 발표키도 했다. 또한, 동 기술은 2012년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정부연구개발 우수성과에 선정되어 연구의 기술적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본 기술은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에서 ▲나만의 3D 캐릭터를 제작, 나만의 주인공 탄생 ▲나만의 동화 애니메이션 제작 ▲정확한 신체 정보를 활용한 사용자 맞춤형 의류 ▲비만 측정 및 국민 표준 신체 데이터 측정 ▲개인의 3D 정보를 활용한 본인 인증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이 예상되는 기반 기술이다.

최근 K-POP의 인기와 함께 한국 문화의 글로벌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세계 속에 한국 고유 의상의 가상 피팅 체험을 통해 K-패션(Fashion) 문화 확산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ETRI는 내다봤다.

한편, 이번 기술은 지난해 11월, 미국 플로리다의 올랜도(Orlando)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테마파크 박람회인 ‘IAAPA Attraction Expo 2012’에도 출품, 현장에서 해외 바이어의 선주문 요구 등 전 세계 3D 전문가들 및 현지 언론에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관련 시장으로는 미국의 온라인 의류매장 시장이 연간 250억불 규모이며, 게임, 영화 등 전 세계 시장 규모도 2010년 185억불에서 2020년 1,974억불로 크게 증대할 것으로 보여 시장성 또한 유망하다는 판단이다.

[배포번호 : 2013-6호]

TOP